오늘의 대한민국을 있게 하신 참전용사와 참전국에 감사를!
- 국방부, 6·25전쟁 정전 및 한미동맹 60주년을 맞아 뜻깊은 행사 마련 -
◦ 국방부는 6·25전쟁 정전 및 한미동맹 60주년을 맞아 장병 및 일반 국민들에게 정전과 한미동맹의 의미를 되새기고, 올바른 역사의식을 도모하기 위한 범정부적 행사를 시행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기존 2011~2012 운영되었던 ‘TF’ 조직을 ‘단’ 규모로 확대하여 사업을 추진하게 된다.
◦ 국방부가 올해 추진하게 되는 사업은 참전용사에 대한 감사, 올바른 역사 및 안보의식 고취, 세계 평화에 기여하는 국가로서의 위상 정립이라는 의의를 갖고 정전 및 한미동맹 60주년과 건군 65주년을 맞는 대규모 국군의 날 행사와 연계하여 단계적으로 시행하는데,
◦ 1단계(1~3월)는 호국보훈의 분위기 조성 차원에서 군 창작뮤지컬을 시작으로 각계 의견수렴 및 기획홍보에, 2단계(4~7월)는 UN 참전국 재방한 및 전승행사와 정전 60주년에, 3단계(8~11월)는 국군의 날과 한미동맹 60주년에 중점을 두고 시행한다.
◦ 연간 세부사업은 ① 참전용사 명예선양 및 전통계승 ② 안보관 확립 ③ UN 참전국에 감사 ④ 호국문화 선양의 4가지 대과제로 구분되며,
◦ ① 참전용사 명예선양 및 전통계승 사업으로 추진되는 3대 전승행사(춘천지구 전투, 낙동강지구 전투, 인천상륙작전)는 1박 2일간 학생·시민이 참가할 수 있는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구성될 예정이며, 각군 대표 전투행사(육군-화령장 전투, 해군-대한해협 해전, 공군-351고지 전투, 해병대-9·28 서울수복)는 지자체 문화행사와 접목해서 추진하게 된다. 기타 44개 참전단체 추모·전승행사(4~11월)가 정성스레 준비되며, 연중 미국 등 21개국 총 800여명의 해외참전용사가 한국을 방문하여 주요 전투 전승행사 및 외국군 전투 상기행사에 참석할 예정이다.
◦ ② 안보관 확립 사업은 6·25상기 호국안보주간, 6·25전쟁 바로알기 기획홍보로 구성된다. 호국안보주간에는 부대별로 실정에 맞게 전승의지를 다지고 전투준비태세를 점검한다. 또한 참전용사 초빙강의, 전적비 정리 및 참배 등을 통해 참전용사에 대한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 과거 쓰라린 역사를 인식하는 시간을 갖는다.
◦ 6·25 정전 및 한미동맹 60주년 기획홍보는 자체 블로그(http://koreanwar60.tistory.com) 및 SNS(트위터, 페이스 북)를 쌍방향식 의견수렴 및 안보교육의 창구로 적극 활용해 쉽고 재미있는 전쟁 관련 정보(사진, 동영상)를 탑재하며, 연간 및 분기 이벤트를 시행하여 젊은층의 ‘6·25 및 한미동맹 바로알기’ 붐을 제고하고자 하며, 스마트 폰에 익숙한 신세대를 겨냥해 ‘체험형 6·25전쟁’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여 보급할 예정이다.
◦ ③ UN 참전국에 감사를 표하기 위한 사업은 설마리·가평지구 전투(4월, 가평), 지평리·화살머리 전투(5월, 양평), 군 창작뮤지컬 ‘프라미스’ 연장 공연, 가이사 기념관 준공 및 미 40사단 장병 초청 기념행사(9월, 가평고등학교)로 구성된다. 특히, 참전국에 감사를 전하고, 참전용사의 희생과 헌신을 기리기 위해 국방부와 (사)한국뮤지컬협회가 제작해 관객들로부터 많은 호평을 받았던 군 창작뮤지컬 ‘프라미스’는 서울과 대구에서 2~3월 중 연장공연을 준비중이며, 호국보훈의 달을 맞아 6~7월, 서울에서 공연할 예정이다.
◦ ④ 호국문화 선양 사업은 정전 60주년 도서 배포, 6·25전쟁 영상자료 제작, UN 참전국 군가집 제작·군악연주회로 구성된다. 최근 신세대 장병을 대상으로 알기 쉽게 제작한「우리가 겪은 6·25전쟁」만화형 책자는 간부양성학교 및 야전부대에 1차 배포하였는데, 추가 배포를 계획중에 있다. 한림대학교가 미 국립문서보존서로부터 획득하여 국방부와 공동활용을 위한 MOU를 체결한 바 있는 6․25전쟁 희귀 영상자료는 장병 교육 및 각종 전투행사, 부대별 역사자료로 활용이 가능토록 재가공하여 하달할 예정이며, 추후 학문적 연구 및 자료구축을 위해 목록화 및 전산화 작업을 추진중이다. 참전 21개국(전투지원국 16개, 의료지원국 5개)이 6·25전쟁 당시 즐겨 불렀던 군가를 수집하여 책자 및 CD로 제작 / 배포해 각종 우호증진 행사시 활용하고, 군가연주회 개최도 추진중에 있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