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기동헬기 ‘수리온’ 개발 완료

세계 11번째로 헬기 개발 국가 대열 진입 사업 착수 7년 만에 KUH 국방규격 제정 회전익기 기술 인프라 구축에도 큰 의미

 

BBS_201303310400207130.jpg 현재 군에서 운용 중인 노후헬기 UH-1H와 500MD를 대체하는 한국형기동헬기(수리온·KUH). 수리온 개발을 마침에 따라 우리나라는 세계 11번째로 헬기개발국이 됐다. 방위사업청 제공

 

 한국형기동헬기(KUH: Korean Utility Helicopter) 수리온 개발이 완료됐다.

 방위사업청은 지난달 28일 사업 착수 7년 만에 KUH 국방규격 제정을 통해 개발 완료를 최종 승인하고, 29일 개발 성공을 공식 발표했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은 세계 11번째로 헬기 개발 국가 대열에 진입했다.

 KUH는 군에서 운용 중인 노후된 기동헬기 500MD 기본형 등 노후 기동헬기를 대체하고 국내 헬기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2006년 6월부터 2012년 6월까지 약 6년간 1조3000억 원을 투입한 초대형 국책개발사업의 결과물이다.

 방위사업청과 지식경제부가 공동으로 주관하고 국방과학연구소의 기술관리와 한국항공우주산업(KAI), 국방과학연구소,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등 3개 개발주관 기관이 개발을 주도했다. 여기에 국내 98개, 해외 49개 등 147개 협력업체, 28개 대학·연구기관도 참여해 회전익 항공기 개발에 한 획을 그었다는 평가다.

 KUH는 지난 2006년 6월 개발에 착수, 2009년 7월에 시제 1호기를 출고하면서 개발 성공에 청신호가 켜졌다.

2010년 3월에는 첫 비행에 성공했다. 이후 시제기 4대를 활용해 2010년 3월부터 2012년 4월까지 약 2000회의 비행시험을 시행한 결과 단 한 건의 안전사고도 없이 성공적으로 시험을 완료했다.

 개발과정에서 기본성능, 항공전자·임무탑재장비의 성능과 통합 운용능력, 임무수행능력 등 총 275항목 약 7600여 시험조건에 대한 평가도 거쳤다. 2012년 6월 군용 헬기로서는 최초로 국내에서 감항인증과 전투용 적합판정도 받았다.

 특히 영하 32도 이하 환경에서의 운용능력을 검증하기 위해 지난해 12월 24일부터 올해 2월 7일까지 알래스카에서 50여 회의 비행시험을 거쳐 총 121개의 저온시험 항목에 대한 테스트도 통과했다.

 KUH는 한국 자체 기술과 외국과의 기술 협력을 결합하는 방식으로 개발됐지만 국내에서 체계통합 과정을 거쳐 독자 모델의 헬기를 개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는 평가다.

특히 전적으로 해외도입에만 의존해 오던 군용 헬기 분야의 기술력을 일정 부분 확보했다는 점에서 우리나라 무기개발사에 한 장을 새로 썼다고 할 수 있다.

 현재 군이 운용 중인 기동헬기의 50% 이상이 수명연한이 도래한 시점에서 고성능의 KUH가 군에 전력화됨으로써 전력증강에도 크게 기여할 전망이다.

헬기 개발에 필요한 다양한 인프라를 구축함으로써 고부가가치 산업인 항공산업 발전의 견인차 역할을 할 것이란 기대도 나온다.

 KAI 관계자는 “전체 사업비용의 62.5%에 달하는 국산화 기반을 토대로 앞으로 후속, 파생형 헬기 개발 시 효율적·경제적 개발이 가능하게 됐다”고 평가했다. 이 관계자는 “우리나라는 초음속 고등훈련기 T-50, 기본훈련기 KT-1 개발에 이어 헬기 핵심 개발능력도 확보해 항공 선진국 수준의 기술력을 갖추게 됐다”고 덧붙였다. 

KUH의 성능은? 항공전자장비·조종계통 성능 매우 우수악천후 속 전술기동·4축 자동제어 가능

 

 한국형기동헬기(KUH)는 기존 군에서 운용하던 헬기와 비교할 때 특히 항공전자장비와 조종계통에서 차별화된 우수한 성능을 갖춘 것이 특징이다. 최신 3차원 전자지도, 통합 헬멧 시현장치, 4축 자동비행조종장치 등을 장착해 주·야간 악천후에도 전술기동이 가능하다.

 아울러 비행조종 컴퓨터를 통해 전후, 좌우, 회전, 상승과 하강 등 모든 방향에 대한 자동제어가 가능해 조종사가 조종간이나 페달로부터 손발을 떼고도 제자리비행이 가능하다. 자동비행조종 시스템으로 이륙 후 전술목표까지 자동비행이 가능하고 고난도 정밀 화물공수 등의 임무수행이 가능한 것도 장점이다.

 기존 아날로그 계기판 대신 통합 디지털 계기패널(Glass Cockpit)을 탑재했다. 그 덕에 각종 비행·임무 정보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어 조종사의 임무부담(workload)을 줄이고 임무수행능력을 극대화했다. 주요 구성품의 결함 여부와 잔여 수명주기 등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는 상태감시장비(HUMS)도 장착, 정비 소요시간을 줄이고 작전가동률도 높였다.

 로터계통, 조종석, 엔진, 연료탱크 등 비행안전 필수 부분에는 적 화기의 사격에 견딜 수 있는 내탄능력을 부여했다. 모든 계통은 이중구조로 제작해 결함 시 백업시스템이 작동되는 등 안전성을 확보했다. 적의 방공무기 위협에 대응하는 다양한 탐지장비와 대응체계를 구축해 전장에서의 생존성도 대폭 향상했다. <국방일보 김병륜기자>



  1. No Image

    시민단체, 국방장관ㆍ해병대사령관 사퇴 요구

    "軍 인권실태 전면 조사..수뇌부 책임져야" (서울=연합뉴스) 조성흠 기자 = 시민단체인 군인권센터와 인권연대는 14일 영등포동 여성미래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김관진 국방부장관과 유낙준 해병대사령관이 해병대...
    Date2011.07.14 Views2264
    Read More
  2. No Image

    국군화생방방호사령부, 화학무기금지기구(OPCW)로부터 화학작용제 정밀 분석 ‘공인실험실’ 자격 획득

    ◦ 국군화생방방호사령부 화학방어연구소는 9월 17일 화학무기금지기구(OPCW : Organization for the Prohibition of Chemical Weapons)로부터 화학작용제 정밀분석 ‘공인실험실’ 자격을 획득했다. ◦ 국군화생방방호사...
    Date2012.10.10 Views2264
    Read More
  3. No Image

    공군방공포병사령부, 공군방공유도탄사령부로 명칭 개정

    공군방공포병사령부, 공군방공유도탄사령부로 명칭 개정 - 공군제30방공관제단은 공군방공관제사령부로 승격 6월 11일(화) 공군방공포병사령부가 공군방공유도탄사령부로 명칭이 개정되었다. 이와 함께 공군 제30방공...
    Date2013.06.11 Views2265
    Read More
  4. 군병력 12만명 감군 해병대 감축은 보류

    ‘국방개혁 기본계획’ 일부 수정 국방부는 현재 64만명에 달하는 군 병력을 2022년까지 52만 2000명 규모로 줄이되 해병대는 현재의 2만 8000명 병력 수준을 그대로 유지하기로 했다. 이같은 병력 규모는 지난 2009년 ...
    Date2012.08.25 Views2271
    Read More
  5. 허술한 軍의료체계…어머니의 절규

    "신영록 선수 어머니가 부럽습니다" (서울=연합뉴스) 김승욱 기자 = 뇌수막염을 앓던 훈련병이 행군 복귀 후 타이레놀 2정만 처방받고 제대로 된 치료를 받지 못해 숨졌다는 연합뉴스 단독 보도 이후 사흘이 지난 19...
    Date2011.05.29 Views2273
    Read More
  6. No Image

    2011 육군토론회

    육군이 ‘국가방위의 중심군’이 되기 위해서는 적정 규모의 지상전력을 확보해야 하고, 전장기능별 무기체계를 개선·보강하는 것은 물론 상비전력의 역할 조정을 강구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 같은 의견은 육...
    Date2011.06.09 Views2273
    Read More
  7. No Image

    내년부터 전투병과에 여군 배치 확대

    육군 포병·기갑, 공군 방공, 해군 갑판 등 12개 병과 / 이주형기자 2011.09.16 각군 교환보직제 검토… 진급 적기 경과자 개념도 폐지 내년부터 포병과 기갑 등 전투병과에 여군 배치를 확대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국...
    Date2011.09.27 Views2274
    Read More
  8. 수리온 “영하 40도 혹한도 문제없다”

    수리온 “영하 40도 혹한도 문제없다” / 국방일보 2013. 02. 21 16:53 입력 한국형 기동헬기 수리온(KUH)이 지난해 12월 31일 알래스카의 영하 40도 혹한 속에서 저온 비행시험을 받고 있다. 방사청 제공 순수 국내기...
    Date2013.02.21 Views2284
    Read More
  9. 강훈으로 무더위 극복한다

    해사, 학년별 군사실습훈련 구슬땀 전투형 군대 적합한 실무능력 체득 / 국방일보 2012.07.16 군사실습 훈련에 참여한 해군사관학교 2학년 생도가 해군 해난구조대 훈련장에서 스쿠 버다이빙 교육을 받고 있다. 부대...
    Date2012.07.15 Views2290
    Read More
  10. No Image

    확장억제수단 운용 연습 한미 사상 첫 실시

    8~9일 미 전략사령부서 “북 핵 등 억제력” 기대 / 2011.11.07 한국과 미국이 북한의 핵무기 등 대량살상무기에 대처하기 위한 확장억제수단 운용 도상연습(TTX:Table Top Exercise)을 사상 처음으로 실시한다. 북한이...
    Date2011.11.06 Views2293
    Read More
  11. No Image

    해군 `해상종합훈련장' 만든다

    국방부, 해군2함대에 설치 2013년까지 237억원 투자 대잠수함·조함 훈련 가능 / 2011.10.24 국방부가 서해에서 적 잠수함에 대한 대처 능력을 높이기 위해 해군2함대에 해상종합훈련장을 신설하기로 했다. 국방부는 ...
    Date2011.10.24 Views2297
    Read More
  12. 軍 "대한민국 어디서 발사해도 북한 전역 타격 가능"

    신 기획관은 "군이 보유한 순항미사일은 수백㎞ 떨어진 적의 창문 크기 목표물을 정확히 타격할 수 있다"며 "북한의 시설, 인원, 장비 등을 정확히 타격하는 등 군사적 목표를 타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북한...
    Date2012.04.19 Views2298
    Read More
  13. 한국형 공중조기경보통제기 도착

    한국형 공중조기경보통제기 1호기가 지난달 30일 미국에서 출발, 1일 공군 김해기지에 도착하고 있다. 360도 전방위 감시 가 가능한 MESA 레이더를 갖춘 이 항공기는 북한 지역의 공중과 해상에 떠 있는 모든 물체를 ...
    Date2011.08.01 Views2299
    Read More
  14. 2013년도 징병검사 날짜는

    2013년도 징병검사 날짜는 / 국방일보 Q:내년도에 징병 신체검사를 받을 1994년생입니다. 징병검사도 일자와 장소를 본인이 선택할 수 있다고 하는데 자세히 알려주세요. <김동식, 서울시 동작구> A:오는 12월 24일 0...
    Date2013.01.07 Views2299
    Read More
  15. 국가안보총괄점검회의 결론내용

    이상우 국가안보총괄점검회의 의장 겸 국방선진화추진위원장이 군 장성을 100명가량 감축하는 방안을 단계적으로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13일 밝혔다. 천안함 사건에 따라 지난 5월 민간인 5명과 예비역 장성 10명으로 ...
    Date2010.08.14 Views230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 193 Next
/ 193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