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jpg창군 이래 병사들이 착용하는 육군 전투복은 여섯 차례 변경됐다. 우리 군은 반세기를 겨우 넘긴 짧은 역사를 가지고 있지만 군복 변천사는 나름의 긴 사연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육군의 전신인 조선경비대 시절에는 일정한 제식 없이 여러 가지 군복이 혼용됐다. 모든 것이 부족하던 시절이기 때문이다. 구 일본군의 군복을 그대로 착용하기도 했으며 1946년 9월부터 미군이 지급한 전투복을 착용하기도 했다. 혹은 미군 전투복을 흉내냈지만 형태가 약간 다른 국산 전투복도 착용했다.

이러한 혼란은 6·25전쟁 중에도 계속됐다. 실물로 남아 있는 군복들을 보면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착용한 미 육군용 전투복은 물론이고 정글용 전투복이나 미 해병대·해군용 전투복을 개조한 경우도 발견된다. 규정된 군복 자체가 없었다고 할 만큼 혼란스러운 시기였다.

54년 9월1일 육군 잠정 규정 23호를 통해 통일된 전투복 규격이 처음으로 마련됐다. 54년형 군복은 미군 군복과 거의 유사한 디자인으로 상의는 컨버터블 칼라에 다섯 개의 단추를 부착한 형태며 하의는 대퇴부에 속붙임 사선 주머니를 붙인 일반적인 바지 형태였다.

65년 다시 전투복이 변경됐다. 65년형 전투복은 팔꿈치·무릎·엉덩이 등 쉽게 마모되는 부분에 보강용 천을 덧댄 것이 특징이다. 당시 전술 훈련이 강화되고 야전 진지 보강 작업이 활발히 진행돼 튼튼한 전투복이 요구됐기 때문이다.

하지만 별도의 외출복이 없는 현실에서 덧댐이 많은 군복은 품위가 없다는 이유로 2년 만인 67년에 폐지됐다. 67년에 제정된 군복은 54년형 군복과 유사하지만 칼라의 형태가 오브론(oblong) 양식으로 변경됐다.

또 이때부터 병사들이 평시에 입는 군복의 정식 명칭을 작업복이 아닌 전투복으로 부르게 된다.
70년대에는 국가 경제 발전에 힘입어 군복도 한국인의 체질과 특성을 지닐 수 있는 양식으로 변경돼야 한다는 의견이 높았다.

그 결과 탄생한 군복이 71년형 군복이다. 이 군복의 가장 큰 특징은 상의를 하의 밖으로 내어 입는다는 점이었다. 이렇게 착용하는 것이 전투·훈련·작업 등 각종 활동에 편리하기 때문이다. 칼라의 형태도 전통적인 컨버터블 형태로 환원됐다.

하지만 상의를 하의 밖으로 내어 입으면 키가 작아 보이고 외관상 군기가 불량해 보인다는 이유로 이 군복도 2년 만인 73년에 폐지됐다. 73년에 새로 제정된 군복은 대퇴부 상단에 부착하는 주머니를 소형으로 교체했으며 착용 방법도 상의를 하의 안으로 넣어 입는 방식을 채택했다.

이 군복은 90년 11월23일 형태는 크게 바꾸지 않은 상태에서 색상만 얼룩무늬 위장색으로 변경됐다. 단색에 비해 위장색 군복은 적에게 식별되지 않아 전장에서 생존율을 높일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녹색의 삼림과 황색의 토양 등 한국의 자연 지형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색깔을 감안, 현행 육군 전투복은 흑색 20%, 녹색 30%, 갈색 30%, 모래색 20%의 비율로 구성돼 있다.

또 현행 군복은 VAT·환원 염료 등 특수 재질로 염색, 적의 적외선 장비로부터 잘 탐지되지 않게 하고 있다. 과학적인 고려가 밑바탕에 깔려 있는 것이 현행 전투복의 특징이다.

<국방일보 김병륜 기자   lyuen@dema.mil.kr >




  1. 신원식 국방부장관 인터뷰 ③ "팍 일하고 푹 쉬는 군대 만들겠다"

    신원식 국방부장관 인터뷰 ③ "팍 일하고 푹 쉬는 군대 만들겠다"
    Date2024.01.14 Views8245
    Read More
  2. 연예병사 육군3사단 진백골연대 혹한기 훈련 현장을 가다

    지난 26일 국방부 근무지원단 홍보지원대 정범균(왼쪽) 상병과 김형수(이완) 일병이 육군 3사단 진백골연대 장병들과 함께 혹한기 훈련을 받고 있다. 박흥배 기자 위문열차 공연 중 한 장면. 입담과 재치, 열정적인 ...
    Date2011.01.28 Views8223
    Read More
  3. 이종호 해군참모총장 해병대사령부 방문

    이종호(앞줄 가운데) 해군참모총장이 지난 22일 해병대사령부를 방문해 김태성(왼쪽) 해병대사령관으로부터 대비태세 현황을 보고받고 있다. 사진 해군 제공 이종호 해군참모총장이 취임 후 처음으로 해병대사령부를 ...
    Date2022.07.24 Views8214
    Read More
  4. No Image

    국방부, 프라미스 작전 유공 정부포상 및 장관표창

    신원식 국방부장관은 오늘(12.19.) 수단 우리 국민 철수 ’프라미스 작전‘ 유공자 정부포상 및 국방부장관 표창 친수식을 실시했다. ’프라미스 작전‘은 아프리카 ‘수단’ 군부 간 무력충돌 발생(4.15.)으로, 우리 국민...
    Date2023.12.20 Views8168
    Read More
  5. No Image

    국방부 6·25 비정규군 보상 시행 1주년 성과

    □ 국방부 비정규군 공로자 보상심의위원회(위원장 임천영 변호사, 이하 ‘위원장’)는 “6·25 비정규군 보상법 시행 후 약 1년간 14차례에 걸친 심의를 통해 1,792분을 6·25 비정규군 공로자로 인정하고 본인 및 유족에...
    Date2023.03.31 Views8157
    Read More
  6. 제 55주년 예비군의 날 주간 문화혜택 안내

    4월 3일(월)부터 9일(일)까지는 '예비군 주간'입니다. 제 55주년 예비군의 날과 예비군 주간을 맞아 국방에 헌신하는 예비군들을 위해 문화공연 및 놀이공원, 관광지 등의 무료관람 및 할인혜택을 마련하였습니다. 자...
    Date2023.04.02 Views8146
    Read More
  7. 공군 방공포병 병과

    공군 방공포병 병과는 1955년 5월 12일 이승만 대통령 임석 하에 6ㆍ25전쟁에 참전한 고사포 5개 대대를 모체로 육군 제1고사포병 여단으로 태동한 이래 1972년 12월 1일 2개 여단으로 구성된 방공포병사령부로 확대 ...
    Date2010.11.21 Views8132
    Read More
  8. No Image

    포항 수성사격장 민군 상생 양해각서 체결

    「포항 수성사격장 반대대책위원회 ( 이하 “대책위”)」와 국방부는 3월 30일(목), 포항에서 수성사격장 관련 민·군 상생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하였다. 이날 행사에는 대책위 대표위원장 및 임원진과 국방부 정책기획...
    Date2023.03.31 Views8131
    Read More
  9. 육군27사단 수색대대

    북한이 연평도 포격도발 만행을 저지른 지 오늘(6일)로 2주가 됐다. 군은 적의 추가도발에 대비한 즉응 전투태세 완비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휴일에도 긴장의 강도를 한층 높이며 즉각적이고 강력한 대응태세...
    Date2010.12.05 Views8126
    Read More
  10. No Image

    국방부, 대통령 주재 「전군 주요지휘관 회의」 개최

    국방부, 대통령 주재 「전군 주요지휘관 회의」 개최 보도자료 □ 국방부는 7월 6일(수) 계룡대에서, 윤석열 대통령 주관으로 전반기 「전군 주요지휘관 회의」를 개최하였습니다. • 회의에는 이종섭 국방부장관, 김승겸...
    Date2022.07.06 Views8104
    Read More
  11. No Image

    2023년 예비군훈련 정상시행

    □ 국방부는 3월 2일(목)부터 ’23년 예비군훈련을 정상적으로 시작합니다. ◦ '22년 혼합형 예비군훈련(소집훈련 1일 + 원격교육 1일)이라는 과도기를 거쳐 '23년에는 예비군훈련의 정상화를 추진하여, 엄중한 안보상황...
    Date2023.01.17 Views8102
    Read More
  12. 국방부, 국방 로봇체계 발전방안 토의 개최

    신원식(가운데) 국방부 장관이 27일 서울 용산구 국방부에서 열린 ‘국방로봇체계 발전방안 토의’를 주관하고 있다. 사진 국방부 제공 국방부는 5월 27일(월) 신원식 국방부장관 주관으로「국방 로봇체계 발전방안 토...
    Date2024.05.27 Views8098
    Read More
  13. No Image

    북한의 고체추진 ICBM 도발 관련 한미일 차관보급 화상회의 개최

    허태근 국방부 국방정책실장은 2023년 12월 19일 늦은 저녁, 일라이 래트너 미국 국방부 인태안보차관보와 카노 코지 일본 방위성 방위정책국장과 3자 화상회의를 갖고, 12월 18일 북한의 ICBM 도발에 대한 한미일 공...
    Date2023.12.20 Views8092
    Read More
  14. 육군 전투복 변천사

    창군 이래 병사들이 착용하는 육군 전투복은 여섯 차례 변경됐다. 우리 군은 반세기를 겨우 넘긴 짧은 역사를 가지고 있지만 군복 변천사는 나름의 긴 사연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육군의 전신인 조선경비대 시절에는...
    Date2010.11.22 Views8087
    Read More
  15. No Image

    국방부 유해발굴 감식단, 15,470km 여정 끝에 6·25전사자 신원확인

    국방부 유해발굴 감식단(이하 국유단)은 미(美) 국방부 전쟁포로 및 실종자 확인국(DPAA)으로부터 봉환된 유해의 신원을 고(故) 박진호 일병으로 확인하였다고 15일 밝혔다. 고인의 신원확인은 ’20년 고인의 남동생이...
    Date2022.07.16 Views808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193 Next
/ 193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