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A_NP_20140501_00817305.jpg 해군특수전전단과 해난구조대 잠수요원들이 세월호 실종자 야간 탐색·구조를 위해 침몰 인근 해상에서 대기하고 있다. 이들은 단 한 명의 실종자라도 더 찾기 위해 지금 이 순간에도 사선을 넘나들고 있다. 박흥배 기자

 

SSU   사선을 넘나들며 탐색·구조작전        
UDT/SEAL 가장 강력한 타격전력 ‘인간병기’

 

 지난 25일 전남 진도실내체육관. 민·관·군 합동구조팀 일원으로 활동하는 해군5성분전단 해난구조대(SSU) 주환웅 상사는 ‘세월호’ 실종자 가족들에게 탐색·구조작전 현황과 수중 수색의 어려움을 자세히 설명했다. 이날 실종자 가족들은 잠수요원들에게 처음으로 박수를 보냈다.

 단상을 내려와 체육관을 빠져나가려는 주 상사에게 한 부부가 다가와 쪽지를 건넸다. 청해진함으로 복귀한 주 상사는 애타는 부모의 심정이 담긴 쪽지를 읽고 눈물을 흘렸다. 이 같은 내용은 특수전전단(UDT/SEAL) 장병을 비롯한 해군 전 잠수요원에게 전파됐고, 목숨을 걸고 탐색·구조작전을 수행한다는 각오를 다지는 계기가 됐다.

 세월호가 침몰한 지 15일째인 4월의 마지막 날. SSU와 UDT/SEAL 잠수요원들은 이날 수심 91m까지 잠수할 수 있는 표면공급잠수(SSDS)를 병행해 선체를 집중 수색했다. 표면공급잠수는 헬륨과 산소를 섞은 혼합기체를 활용해 선저(배 밑바닥)까지 도달할 수 있고, 수중 통신도 가능하다.

 이들은 한 치 앞도 보이지 않는 미로 같은 선체에서 손으로 부유물을 헤쳐가며 탐색·구조작전을 진행했다. 연이은 잠수에 체내 질소량은 높아지고, 잠수병을 호소하는 장병도 늘었다. 그러나 해군 잠수요원들은 아들·딸·동생 같은 실종자를 찾기 위해 오늘도 차가운 바다에서 사투를 벌였다.

 # ‘바다의 119’ 해난구조대

 ‘바다의 119’로 불리는 SSU는 예측 불가능한 심해에서 임무를 수행한다. 1950년 9월 1일 ‘해군 해상공작대’로 창설됐으며, 55년 해난구조대로 부대 명칭을 변경해 오늘에 이르고 있다. 해난구조작전, 항만·수로 장애물 제거, 심해잠수사 양성·교육훈련 등이 주요 임무다.

 이들은 ‘더 넓고 깊은 바다로’라는 부대 표어가 말해 주듯 사선(死線)을 넘나들며 탐색·구조작전을 전개한다. 임무수행의 기초가 되는 수심 40m 스쿠버(SCUBA)는 물론 표면공급잠수, 300m 심해저를 극복할 수 있는 고난도의 포화잠수(Saturation Diving)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수중무인탐사기(ROV)와 심해구조잠수정(DSRV)을 이용하면 수중 500m에서도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

 SSU는 100% 지원자로만 선발하며 병사(12주), 부사관(25주), 장교(33주) 등 신분별 훈련 과정을 거쳐야 한다. 또 포화잠수·DSRV 등 특수과정을 이수해야 한다. 합격 기준이 매우 엄격해 평균 수료율은 60%에 불과하다. 2005년 부사관의 경우 지원자 중 절반 이상이 탈락했을 정도다.

 76년 신안 해저유물 발굴작전에서 2만 점이 넘는 국보급 도자기를 인양했고, 93년 서해 위도 페리호 침몰 사고 때는 사망자 전원(292명)을 찾아냈다.

 96·98년 북한 잠수함(정) 인양, 천안함 구조·인양작전을 성공적으로 수행했으며 2012년 12월에는 북한이 기습 발사한 장거리 미사일 잔해물을 모두 건져올렸다.

 # ‘불가능은 없다’ UDT/SEAL

 ‘불가능은 없다’ ‘가장 먼저 들어가서 가장 늦게 나온다.’

 UDT/SEAL의 역사는 1954년 6월 상륙전대 예하에 수중파괴대를 편성하는 것으로 시작했다. 이듬해 11월 미국 UDT 과정을 이수한 교관 7명과 제1기 수료자 25명 등 32명으로 UDT가 공식 출범했다. 68년 폭발물처리(EOD), 76년 특수전(SEAL), 93년 해상대테러(CT) 임무를 추가해 명실공히 해상·육상·공중 어디에서나 작전이 가능한 특수부대로 거듭났다.

 UDT/SEAL은 지옥을 방불케 하는 실전적 훈련과 임무별 특성화 훈련으로 ‘인간병기’로 새로이 태어나며, 우리 해군의 가장 강력한 타격전력 중 하나다.

 UDT/SEAL 일원이 되려면 병사는 10주, 장교·부사관은 26주 기초훈련을 통과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는 UDT체조·구보·전투수영 등으로 고강도 작전수행을 위한 체력을 다진다. 기초훈련은 이수자가 40%를 밑돌아 지옥훈련이라는 악명이 붙었다. 96·98년 북한 잠수함(정) 내부 수색작전에서는 폭발물을 완벽히 처리했으며, 2010년 3월 26일 발생한 천안함 피격사건 때도 전우를 구하기 위해 바닷속으로 몸을 던졌다.

 UDT/SEAL의 진면목은 2011년 1월 21일 전개한 ‘아덴만 여명작전’에서 잘 나타난다. 청해부대 6진 검문검색대원으로 소말리아 해역에 파병된 UDT/SEAL 대원들은 해적에게 피랍된 선원 21명을 전원 구출, ‘퍼펙트 신화’라는 찬사를 받았다.



  1. 특전사 공수교육 800기탄생

    육군특전용사라면 누구나 공중침투 능력을 배양하기 위해 받아야 하는 공수기본교육과정이 지난 5일 800기를 돌파했다. 이날 오전 육군특수전교육단에서 진행된 공수기본교육 800기 교육생들이 훈련 마지막 관문인 자...
    Date2016.08.10 Views1319
    Read More
  2. 해군·해병대 학군사관후보생, 해병대 전지훈련

    해군·해병대의 미래를 책임질 학군사관후보생들이 경북 포항시의 해병대교육단에서 해군·해병대의 정신을 몸 속 깊이 새겨넣고 있다. 해군교육사령부는 지난 5일 1군사교육단 장교교육대대에서 하계 입영교육 훈련을 ...
    Date2016.08.10 Views505
    Read More
  3. 해군교육사, 해군·해병대 학군사관후보생 첫 통합교육…전투수영·생존훈련 등 구슬땀

    남해의 뜨거운 햇살을 이겨내고 정예 학군사관으로 거듭나기 위해 해군 학군사관후보생(NROTC)들이 경남 진해에서 구슬땀을 흘리고 있다. 해군교육사령부(이하 교육사)는 후보생들이 지난달 25일부터 교육사 1군사교...
    Date2016.08.01 Views642
    Read More
  4. 군사시설 보호구역 해제 및 지정

    □ 국방부는 지난 7월 21일(목), 제49회「군사기지 및 군사시설 보호 심의위원회」에서 군사시설 보호구역 해제 및 지정을 심의하였다. □ 이번, 군사시설 보호구역의 해제 및 지정에 대한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다. ◦ ...
    Date2016.07.27 Views363
    Read More
  5. 육군3공수특전여단, 탈북청소년에 병영체험

    육군특수전사령부 3공수특전여단에서 진행된 탈북 청소년 병영체험 행사에서 참가자들이 낙하산 끌기 훈련 체험을 하고 있다. 탈북 청소년들이 자신의 한계를 극복하고 국가방위의 임무를 몸소 체험하기 위해 병영체...
    Date2016.07.20 Views554
    Read More
  6. 독도함-해군63전대-7해병연대 자매결연 체결

    해군6항공전단에서 열린 해군5성분전단 독도함, 해군63상륙기동헬기전대, 해병대7연대의 자매결연식에서 이동희(대령·오른쪽) 독도함장과 신창호(대령·가운데) 63상륙기동헬기전대장, 정종범(대령 진·왼쪽) 7해병연대...
    Date2016.07.19 Views573
    Read More
  7. 국방부, 우수제품‧기술 시범사용 업체 설명회 개최

    □ 국방부는 7월 13일(수), 14일(목) 양일간 국방컨벤션에서 강병주 전력자원관리실장 주관으로 ‘우수 제품‧기술 시범사용 업체 설명회’를 개최한다. * 군수 : 품목 전시, 분야별 현장심사 진행(13일 장비, 14일 물자)...
    Date2016.07.14 Views270
    Read More
  8. 한미, 주한미군 사드 배치 부지 발표

    한미(韓美), 주한미군 사드 배치 부지 발표 □ 북한의 증대되는 핵과 미사일 위협은 우리에게 국가와 국민의 생존과 직결되는 문제이며, 북한이 도발할 경우 가장 큰 피해자는 바로 우리나라와 우리 국민입니다. □ 한...
    Date2016.07.14 Views354
    Read More
  9. 육군특수전교육단, 고공기본 교육 현장을 가다

    13일 오전, 경기도 하남시 미사리 고공강하훈련장. 잿빛 구름이 낮게 드리워진 이곳에는 육군특수전교육단(이하 특교단)의 고공기본 교육이 한창이었다. 저 멀리서 잔뜩 찌푸린 하늘을 뚫고 거대한 바람을 일으키며 ...
    Date2016.07.14 Views779
    Read More
  10. 정호섭 해군참모총장·이상훈 해병대사령관, 서해 최전방 현장 지도

    백령도 해군 유도탄기지를 방문한 정호섭(앞줄 왼쪽) 해군참모총장이 군사대비태세를 점검하고 있다. 해군 제공 최근 미국의 대북 인권제재와 북한의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시험발사 등 한반도를 둘러싼 긴장이...
    Date2016.07.11 Views768
    Read More
  11. 해군·해병대 준사관후보생 수료 및 임관식

    57기 해군·해병대 준사관후보생 58(해군 48·해병대 10)명이 자랑스러운 준위 계급장을 달고 새로운 출발을 시작했다. 해군 교육사령부는 8일 사령부 연병장에서 김판규(중장) 교육사령관을 비롯한 주요 지휘관 및 참...
    Date2016.07.11 Views766
    Read More
  12. 육·해군, 해병대 합동 해안양륙군수지원훈련

    6일 밤 우리 군 최초의 야간 양륙훈련이 실시된 가운데 장병들이 잭업 바지선에서 내려진 물자를 야전형 지게차를 이용해 11.5톤 윙바디 트럭으로 옮기고 있다. 태안=조용학 기자 우리 군이 6일 밤, 화물선으로 수송...
    Date2016.07.08 Views701
    Read More
  13. "원샷 원킬", 최정예 저격요원 양성교육 현장을 가다!

    "원샷 원킬" 최정예 저격요원 특수전교육단 저격요원 양성교육 현장을 가다 군대를 다녀 오신 분들은 아마도 모두가 특등사수라고 자처할 것입니다. 물론 필자도 80년대에는 특등사수였답니다. ^^ 특등사수라면 군대...
    Date2016.07.05 Views508
    Read More
  14. 국방부, 서초구 정보사령부 부지 공개 매각

    국방부는 서울 서초구 서초동 일원에 주둔하였던 정보사령부가 이전함에 따라 해당 부지를 매각한다. ㅇ 해당 재산의 감정평가액은 9,026억 원이며, 국유재산법 등 관련법령에 따라 공개경쟁입찰 방식으로 일괄매각 ...
    Date2016.07.05 Views378
    Read More
  15. 국방부 전군 재난관계관 회의 개최, 전군 ‘인명피해 제로화’ 재난 대비 만전

    장마전선의 영향으로 전국적으로 많은 양의 비가 내린 5일 오후 육군3기갑여단 불사조대대 장병들이 강원도 홍천군 부대 내에서 배수로 상태를 점검하며 빗물이 범람하는 것을 막기 위해 수문을 개방하는 등 취약지역...
    Date2016.07.05 Views442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 202 Next
/ 202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