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 2016년 6․25전사자 유해발굴 개시

by 운영자 posted Mar 23, 201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 조국 대한민국을 위해 하나뿐인 목숨을 바쳤으나 아직도 이름 모를 산야에 쓸쓸히 묻혀 계시는 6․25전사자. ‘나라를 위해 희생하신 분들은 국가가 끝까지 책임진다’는 국가 무한책임을 실현하기 위한 숭고한 호국보훈 사업이 재개된다.

□ 국방부는 21일, 해병 1사단(발굴지 : 경북 영덕)과 50사단(발굴지 : 경북 영천)을 시작으로 2016년 6․25전사자 유해발굴을 본격적으로 개시한다고 알렸다.

□ 올해 유해발굴사업은 3월 21일부터 11월 11일까지 총 8개월(8월은 우기로 인한 정비)간 6․25전쟁 당시 주요 격전지를 중심으로 전국 85개 지역에서 34개 사(여)단 장병 연 10만여 명이 참가하여 임무를 수행한다.

□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은 지난해 11월 한양대 문화재 연구소와 학술교류 협약을 맺고 발굴․감식분야 전문과정 교육을 통해 전문성을 향상시켰으며, 발굴 예정 지역에 대한 집중탐사와 발굴 장병 소집교육, 지역단위 전담 전문 감식관(석․박사) 편성 등 유해발굴 성과 향상을 위해 시스템을 개선했다.

□ 또한 올해 2월에는 국방부 인사복지실장 주관으로 전군 주요 인사참모를 소집, 유해발굴 추진 협조회의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①유가족 유전자 시료채취 집중 기간 운영, ②마을 어르신들을 많이 만나는 예비군 지휘관을 활용한 유해소재 제보 및 유가족 유전자 시료채취 등 실행 가능한 방안들은 바로 적용키로 했다.

□ 특히, 유해발굴감식단은 지난 16일 한국홍보전문가 서경덕 교수를 홍보대사로 위촉하여 사업에 대한 국민 공감대 형성은 물론, 올바른 역사 인식을 위한 홍보 프로젝트를 적극 추진 할 예정이다.

□ 이외에도 기존에는 유해발굴감식단을 찾는 유가족 및 민원인을 정중히 안내 할 수 있는 공간이 없었으나 ‘나라를 위해 희생하신 영웅들의 가족’으로서 자부심을 느낄 수 있도록 오직 유가족 및 민원인을 위한 접견실(1층)을 별도로 마련하여 다양한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 국방부는 작년보다 체계적이고 성과 있는 유해발굴사업을 추진함으로서 올해는 전사자 유해발굴 800위, 신원확인을 위한 유가족 유전자 시료채취 3,000명, 신원확인을 통한 국립 현충원 안장 10위 이상을 목표로 하고 있다.

□ 2016년 주요 유해발굴사업은 다음과 같다.

◦중국군 유해 입관행사(3.28.), 유해 송환행사(3.31.)
◦유가족 초청 사업설명회:서울(4월), 광주․전남(9월)
◦참전용사 증언청취/사업설명회:부산․경남(3월), 원주(5월), 광주(9월)
◦주한 국방무관단 초청 사업설명회 : 5월(협의 중)
◦국군전사자 15위 국내봉환 및 미군전사자 미국송환(일정 협의 중)
◦육군 참모총장 주관 합동안장식(6월), 국무총리 주관 합동봉안식(12월)

□ 한편, 유해발굴사업은 2000년 6․25전쟁 60주년을 맞아 한시적으로 시작하였으며, 2007년 국방부 직할 기관으로 유해발굴감식단이 창설되어 오늘까지 국군전사자 9,100여 위를 발굴하였으며, 109위의 신원을 확인해 가족의 품으로 돌려드렸다.

□ 신원확인의 중요한 단서가 되는 유전자 시료채취에 동참한 유가족은 현재 약 3만여 명으로 6ㆍ25전사자 13만 3천여 위와 비교 시 23% 수준이며, 신원확인율(190위)은 약 1.2%에 불과하다. 시간이 지날수록 6․25 경험세대와 유가족의 고령화 및 국토개발에 따른 지형변화 등이 심화되어 유해발굴사업은 점점 시간을 다투는 일이 되고 있다.

□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장(대령 이학기)은 “유해발굴사업은 잊혀져가는 6ㆍ25전쟁을 요즘 세대와 이어 줄 수 있는 유일한 연결고리”라면서, “전사자들의 유해를 발굴하고 그들을 조국과 가족의 품으로 돌려드리는 임무는 우리 후손들의 소중한 책무인 만큼 국민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끝.


Articles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