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군 최초 여군 기능장 탄생

by 운영자 posted Jun 13, 201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2003년 10월 해군 첫 여군 부사관이 임관한 이래 처음으로 여군 기능장이 탄생해 해군의 여군 역사에 또 하나의 기록을 새겼다. 


 기록의 주인공은 해군 이지스구축함 율곡이이함(DDG, 7,600톤급)에 근무하고 있는 유지현 중사(33세, 부사관 201기). 유 중사는 지난 5월 말 해군 여군 최초로 ‘통신설비 기능장’ 시험에 합격했다.

 

 ‘기능장’이란 기능계 기술자격 등급 중 가장 높은 등급으로, 해당 분야에 대한 최고도의 전문지식과 실무경험을 갖춘 전문가에게 부여되는 국가기술자격이다. 산업기사나 기능사 자격 취득 후 5~7년 이상 실무에 종사하거나 9년 이상 해당업무를 수행해야 자격취득 기회가 주어진다.


 첨단무기체계로 이루어진 함정에서 장비를 직접 운용하는 부사관들의 전문성은 전투력 발휘의 핵심요소이다. 그만큼 이번 유 중사의 기능장 시험 합격은 여군이 전문성을 겸비한 전투 전문가로서 최고 수준의 업무능력을 갖추고 해군의 전투력 강화에 기여하고 있음을 입증하는 것이다.


 유 중사가 통신설비 기능장 시험에 도전을 결심한 것은 지난해 3월이다. 율곡이이함 전산부사관으로 부임해 함정 내 모든 컴퓨터와 데이터링크 등 네트워크 장비 운용을 담당하면서 보다 전문적인 능력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또한 취역 이후 지금까지 기능장 42명을 배출할 정도로 부사관들의 기능장 자격증 취득을 적극 장려하는 율곡이이함의 전통도 한 몫을 했다.  

 

 유 중사의 기능장 도전은 결코 쉬운 길이 아니었다. 배가 출동을 나가면 8시간씩 당직임무를 수행하고 남는 시간에 수면시간을 아껴가며 흔들리는 함정에서 시험을 준비했다. 육상에 정박해 있을 때도 퇴근하면 초등학교와 유치원에 다니는 두 자녀의 엄마로서 육아에 전념하고, 자녀들이 모두 잠든 뒤에야 시험공부를 할 수 있었다. SSU대원인 남편 한덕수 상사(부사관 156기)도 청해진함에서 함정근무를 하고 있기 때문에 공부할 시간을 내기가 쉽지 않았다.


 유 중사의 이번 기능장 자격증 취득이 더 대단한 것은 대학에서 관련학과를 전공하지 않고 오로지 해군에 입대해서 쌓은 ‘스펙’으로 이루어 냈다는 점이다. 유 중사는 항공승무원을 희망해 부산의 동주대 항공운항과 2학년에 재학하다가 당시 현역 해군 부사관이었던 부친(유동진 예비역 원사, 부사관 24기)의 권유로 2003년 해군의 첫 여군 부사관으로 입대했다. 주로 함정 외부에서 임무를 수행하는 갑판 직별 출신인 부친이 실내에서 근무하는 직별을 권유해 정보통신 직별을 지원했다. 

 

 입대 전 컴퓨터나 통신설비와는 전혀 관계가 없던 유 중사는 첫 여군 부사관으로서 최선을 다해 모범을 보여야 한다는 책임감으로 업무에 매진했고 군수지원함 대청함ㆍ구축함 문무대왕함, 해군작전사령부 정보통신대 등에서 근무하며 실무능력을 배양하는 한편 바쁜 시간을 쪼개 임무수행에 필요한 자격증 취득에 도전했다.


 그 결과 이번 통신설비 기능장을 비롯해 정보처리 산업기사, 전자계산기 산업기사, 정보기기 운용 기능사, 행정사 등 자격증 5개를 취득했다. 유 중사는 “해군 부사관은 기능 분야 전문가이자 전투기술자로서 전투기술 향상을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야 한다. 적의 포탄은 남녀를 구분하지 않는다. 오로지 제 몫을 해내는 한 사람의 군인으로서 당당해지고 싶어 기능장에 도전했다.”며 “전문성과 기술력을 갖춘 정보통신 부사관으로서 부대 전투력 발휘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 한편, 세 자매 중 막내인 유 중사의 가족은 군인 가문으로도 해군 내에서도 유명하다. 부친은 예비역 해군원사, 첫째 형부는 육군소령, 둘째 형부는 해군상사, 유지현 중사 본인과 남편도 해군 부사관이다.



Articles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