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일드캣.jpg

1일 작전 배치된 해군 해상작전헬기 ‘와일드캣(AW-159)’이 해상 기동을 하고 있다.뒤쪽에 보이는 함정은 광주함. 해군 제공




‘북 잠수함 잡는 헬기’ 와일드캣(AW-159) 신형 해상작전헬기가 1일 전력화돼 본격적으로 영해수호 임무를 시작했다. 해군은 지난해 두 차례에 걸쳐 인수한 와일드캣 8대 중 4대를 작전 배치했다. 와일드캣 작전배치로 북한 잠수함 위협에 대비한 해군의 대잠작전 능력이 한층 강화돼 입체적인 작전수행 역량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해군은 와일드캣 전력화에 맞춰 이날 경남 거제도 남방 해상에서 대잠전 훈련을 전개했다. 훈련에는 와일드캣 2대와 2500톤급 신형 호위함(FFG) 광주함이 참가해 함정 이착륙, 대잠 탐색 및 공격 절차 등을 펼쳤다.

적 잠수함을 탐색하기 위해 신형 해상작전헬기 와일드캣이 모습을 드러냈다. 호위함 광주함에서 서서히 이륙한 헬기는 이내 해상 한가운데서 적 잠수함을 탐지하기 위해 수면 위 80피트(약 24m)의 저고도로 비행하며 정지했다. 긴 줄에 연결된 수중형 음파탐지기, 디핑 소나(Dipping Sonar: 공중 정지 상태에서 수중으로 내려 잠수함을 탐지하는 능동 소나)를 수중 300m까지 깊숙이 내려 수중 물체 확인에 들어갔다. 디핑 소나가 약 9분간 음파를 쏘며 적 탐색에 나섰다. 적 잠수함으로 추정되는 미식별 수중 물체가 소나에 접촉되자 조종사가 해상 지휘관에게 긴급히 상황을 보고했다.

“수중 접촉물 접촉 보고! ○○○도 ○마일, 적 잠수함으로 판단됨.”

이어 헬기는 적의 예상 위치에 소노부이(Sonobuoy·부표형 음파탐지기) 4발을 투하해 적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했다. 조금 뒤 해상 지휘관으로부터 공격명령을 받았다. 와일드캣은 훈련용 어뢰, 해상 위치 표시탄인 ‘마린 마커’ 2발을 신속히 투하해 적 잠수함을 수장시키며 해군의 ‘핵심 대잠 전력’ 위세를 과시했다.

이날 전력화된 와일드캣은 지난해 6월 해군에 인도됐다. 해군은 기체 인수 이후 7개월간 작전임무 투입을 위한 조종사·조작사·정비사 양성, 주야간 비행훈련, 함정 이착륙 훈련, 전술훈련 등 와일드캣 4대의 전력화 과정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지난해 12월 인수한 나머지 4대는 조종사 등 운용요원을 추가로 양성해 올해 7월 작전 배치할 예정이다.

헬기 최초로 소노부이 장비를 장착한 와일드캣은 호위함 등 전투함에 탑재돼 대잠전·대함전 및 해상정찰 임무를 수행하게 된다. 잠수함 공격을 위한 ‘청상어’ 어뢰와 소형 표적 공격용 12.7㎜ 기관총을 무장으로 장착한다. 또한, 광학 및 적외선 유도 방식의 스파이크 대함유도탄을 장착, 공기부양정을 비롯한 적 함정의 조타실 창문까지 타격할 수 있다.

탐지장비 성능은 대폭 강화됐다. 기존 해상작전헬기 링스(Lynx)보다 엔진 출력, 최대 이륙 중량이 향상돼 체공시간이 약 1시간 증가하는 등 작전성능이 향상됐다. 또한, 링스보다 탐지거리가 2배 이상 늘었고, 탐지면적도 4배 가까이 넓어졌다. 디핑 소나보다 성능이 우수한 저주파 디핑 소나가 탑재돼 있다. 무엇보다 우리나라에 도입된 항공기 중에서는 처음으로 최장 200마일(약 360㎞)까지 탐지 가능한 능동위상배열(AESA) 레이더와 전자광학 열상장비를 장착해 원거리 정밀 감시능력을 갖췄다.

와일드캣은 디핑 소나만 장착할 경우 3시간 이상, 디핑 소나와 청상어 어뢰 1발을 장착했을 때는 2시간 이상, 디핑 소나와 어뢰 2발을 동시 장착했을 때는 1시간 이상 작전이 가능하다. 해군 관계자는 “와일드캣·링스 등 해상작전헬기는 수상함·해상초계기(P-3) 등과 협동으로 대잠작전을 수행한다”면서 “각 상황에 따라 선별적으로 무장을 탑재해 작전 효율성을 발휘할 수 있다”고 밝혔다.

와일드캣 전력화 임무를 수행한 곽한중(중령) 해군622비행대대장은 “AW-159 신형 해상작전헬기는 적 잠수함을 잡기 위한 최첨단 탐지장비와 공격 무기를 탑재하고 비행능력이 향상된 우수한 헬기”라며 “수상·수중 어디든 도발하는 적은 반드시 그 자리에서 수장시키겠다”고 말했다. <국방일보 조아미기자>


와일드캣(AW-159) 주요 제원

주요 임무: 대잠수함전, 대수상함전, 탐색 및 구조, 해상정찰
최대 이륙 중량: 6050㎏
주요 탐지장비: 능동위상배열(AESA) 레이더, 디핑 소나, 소노부이, 전자광학 열상장비
주요 임무장비: 자동비행장치, 디지털 디스플레이, 항재밍 GPS, 선박 자동식별장치(AIS: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전술 데이터 링크(Link-16), 구조용 인양기(Hoist), 대공 유도탄 대응체계
무장: 공대함 유도탄(스파이크 미사일·4기), 청상어 어뢰(2기), 기관총(12.7㎜)



  1. 아덴만의 영웅들, 환영 또 환영

    이명박 대통령은 5월30일 소말리아 해역에서 아덴만 여명작전을 성공적으로 완수한 청해부대 6진 장병들을 청와대로 초청, 훈·포장을 수여했다. 이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여러분은 멀리 소말리아 해역에서 근무 동안...
    Date2011.05.31 Views3161
    Read More
  2. 아덴만의 여명작전 참가장병수기

    청해부대가 소말리아 해적에게 피랍됐던 삼호주얼리호와 선원 전원을 구출하는 ‘아덴 만 여명작전’을 성공시킨 지 나흘이 지났지만 완전작전의 감격은 더욱 고조 되고 있다. 작전 당시 분위기를 실감할 수 있는 참가...
    Date2011.01.25 Views6497
    Read More
  3. 아덴만 작전의 영웅들

    해외 최초의 인질구출작전을 ‘완전 작전’으로 수행한 청해부대 6진 검문검색대 장병들이 지난 22일 최영함 함미 갑판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해군특수전여단(UDT/SEAL) 대원들로 구성된 검문검색대는 이번 ‘아덴 만...
    Date2011.01.25 Views5875
    Read More
  4. 아덴만 여명작전 3주년… 청해부대 파병 5년 성과

    아덴만 여명작전 3주년… 청해부대 파병 5년 성과, 해적 피해 제로… 선박 안전호송 퍼펙트 신화 21일은 세계 인질구출작전 역사에 ‘퍼펙트 신화’를 기록한 아덴만 여명작전 3주년이다. 대한민국 최초 전투함 파병이라...
    Date2014.01.20 Views3801
    Read More
  5. 아덴만 여명작전 13주년

    아덴만 여명작전 13주년 지금으로부터 13년 전인 2011년 1월 21일, 청해부대(당시 6진, 최영함)는 소말리아 해역에서 피랍된 삼호주얼리호와 선원 21명을 구출하기 위한 인질 구출작전을 실시하게 됩니다. 청해부대의...
    Date2024.01.21 Views11010
    Read More
  6. 싸이의 춘천대첩 그 뜨거웠던 순간들!

    싸이의 춘천대첩 그 뜨거웠던 순간들! 더 많은 사진은 국방홍보원 블로그 http://demaclub.tistory.com/966 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Date2012.10.09 Views1904
    Read More
  7. 심해의 특수부대 SSU 해군 해난구조대

    글 : 아시아경제 양낙규 기자 사진 : 한국국방안보포럼(KODEF) 손민석 사무국장 기원전 5세기경 페르시아 제어제스왕이 침몰선의 보물을 인양하기 위해 '시실리스'라는 잠수사를 고용했고 알렉선더 대왕은 용맹스런 ...
    Date2010.05.18 Views7784
    Read More
  8. 심승섭 해군참모총장, 해병대2사단·인천해역방어사령부 현장지도

    심승섭 해군참모총장이 해병대 장병들에게 “대비태세는 한순간의 방심도 있을 수 없기 때문에 현장 중심의 부대운영에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심 총장은 16일 해병대2사단 지휘통제실에서 서헌원(소장) 2...
    Date2018.08.20 Views460
    Read More
  9. 심승섭 해군참모총장, 해병대1사단·해군6전단 군사대비태세 점검

    심승섭(왼쪽 둘째) 해군참모총장이 지난 8일 해병대1사단을 방문해 해병대항공단 기지 건설 부지를 확인하며 해군·해병대 간부들에게 미래 항공전력 건설에 노력을 기울일 것을 당부하고 있다. 사진 해군본부 제공 심...
    Date2019.02.10 Views39336
    Read More
  10. 심승섭 해군참모총장, 해군·해병대 혹한기 훈련 현장 방문

    심승섭(둘째줄 오른쪽 다섯째) 해군참모총장이 해군·해병대 설한지 훈련 현장을 찾아 임무수행 능력 완비에 구슬땀을 흘리는 장병들을 격려했다. 심 총장은 15일 강원도 평창군 산악종합훈련장을 방문해 해군 특수전...
    Date2020.01.15 Views389
    Read More
  11. 심승섭 해군참모총장 해병대사령부 방문

    심승섭(앞줄 오른쪽) 해군참모총장이 12일 해병대사령부를 방문해 군사대비태세를 점검하고 해병대 발전 방향을 논의했다. 심 총장은 이날 오후 해병대사령부 작전회의실에서 전진구 사령관으로부터 주요 현황을 보고...
    Date2019.02.12 Views111334
    Read More
  12. No Image

    실패에 대한 두려움 없이 고난도 과제에 도전하는 국방연구개발 환경 조성

    [2024년 국방부 정책 돋보기] 도전적 연구개발이 필요한 미래도전국방기술 연구개발사업에 제재 처분을 완화하는「국방과학기술혁신 촉진법」일부개정법률안이 오늘 국무회의를 통과해 다음 주 공포될 예정이다. 이번...
    Date2024.01.02 Views7168
    Read More
  13. No Image

    실미도 공작원 유해 매장지 제보자를 찾습니다.

    □ ‘실미도 사건’은 대북침투작전을 목적으로 창설된 실미도부대가 1971년 8월 23일 가혹한 훈련과 부당한 처우에 반발해 부대를 탈출하여 서울로 향하던 과정에서 다수의 사망자가 발생한 불행한 과거사입니다. □ 사...
    Date2018.11.07 Views313
    Read More
  14. 신형전투복 착용한 국군장병들

    9월 28일 건군 63주년 국군의 날 기념식 리허설에서 촬영한 신형전투복을 착용한 국군장병들의 모습입니다. 위 사진은 공군으로 보이고 육군장병들은 베레모를 착용했는데 모두 처음이라 그런지 어색해하는 분위기였...
    Date2011.09.29 Views11484
    Read More
  15. 신형상륙함 4번함 ‘노적봉함’ 취역

    해군 신형상륙함(LST-II) 네 번째 함정인 4900톤급 ‘노적봉함’의 취역식이 열린 3일 진해해군기지에서 승조원들이 경례하고 있다. 국방일보 한재호 기자 포근한 날씨를 보인 3일 오후 2시 진해 군항 서해대. 빨간색과...
    Date2018.12.04 Views70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 193 Next
/ 193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