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을 갈라놓고 있는 군사분계선은 서쪽으로 예성강과 한강 어귀의 교동도에서부터 개성 남쪽의 판문점을 지나 중부의 철원 김화를 거쳐 동해안 고성의 명호리에 이르는 248㎞( 155마일)의 길이로한반도를 가로 지르고있다.
이 군사분계선 상에 직경 8 0 0 m의 타원형 모양의 좁은 공간이 판문점 공동경비구역, JSA(Joint Security Area)이다. 행정구역상으로 경기도 파주시 군내면에 속하는 이곳 JSA는 한국전쟁 기간중 정전회담이 개최되어 장장 2년 1 9일 동안에 무려 1 , 0 7 6회에 걸친 회합을 가진끝에 1 9 5 3년 7월 2 7일마침내 정전협정이 체결된곳이다.

▶ 판문점의 유래
한국전쟁 당시 정전협상이 열렸던 회담장소는 현재의 위치에서 1㎞ 정도 북쪽에 있었으며, 4채의 초가집과회담장으로 쓰였던 가건물, 조립식 막사등이있었다 .
원래 판문점의 지명은‘널문리’로서 임진왜란 때는 선조 임금이 피난길에 하룻밤을 머물고 간 곳이기도 하다. 이곳을 판문점이라고 부르게 된 것은 정전회담에 참석한 중공군 대표들이 이곳을 쉽게 찾아보게 하기 위해 당시 회담장소 부근에 있던 주막을 겸한 가게(店)를 한자로 적어 ‘板門店’으로표기한 것에서 유래한다.

▶ 판문점에 새겨진 애환
판문점에는 지금까지도 분단의 아픔을 그대로 전해주는 상처가 남아 있다. 그것은 바로 1 9 7 6년 8월 1 8일 오전 11시에 북한군이 저지른 소위 ‘도끼만행사건’(일명 ‘ 8 . 18 사건’)이다. 당시 유엔사측이 초소의 시야를 가로막고 있던 미루나무를 자르려 하자 북한군이 이를 가로 막으며 Bonifas 대위(死後소령 진급)와 Barrett 중위를 도끼로 살해하였으며, 그 외에도 미군 4명과한국군 4명에게 중상을입혔다.
이 사건 후에 유엔사는「Paul Bunyan작전」을 수립하여 문제의 미루나무를 베어 냈고, 지금은 당시의상처를그대로 안은 채나무의밑둥만 남아 있다. 판문점공동경비구역 남측지역을 관할하고 있는 경비부대를「캠프 보니파스」라고 명명한 것은 보니파스 대위의 넋을 기리기위함이다.

 

hb_gbb_11.jpg

 

판문점 옆에는 군사분계선을 따라 ‘사천강’이 흐르고 있다. 이 강을 가로질러 남측지역과 북측지역을 연결하는 다리가 놓여져 있는데, ‘돌아오지 않는 다리’라고 불린다. 그것은 정전 직후 이곳에서 전쟁포로들의 교환이 이루어졌는데 이때 포로들이 다리 위에서 일단 방향을 선택하면다시는 돌아갈 수없었기 때문이다
이 후, ‘돌아오지 않는 다리’는 북측이 판문점으로 들어오는 유일한 통로였다. 그러나 ‘8.18 사건’으로 쌍방 인원들이 군사분계선을 넘지 못하게 되자 북측은 이 다리를 사용할 수가 없게 되었고 결국 새로운 다리를 구축했다. 그런데 이 다리는 7 2시간만에 놓여진 것이라 하여 유엔사측에서는 ‘ 7 2 시간다리’라는 이름으로 부르고 있다. [자료출처 : 한미동맹과 주한미군]



  1. 서해서 실전적 합동기동훈련

    함정 20척·항공기 50대·병력 4500명 투입 / 2010.08.05 우리 군의 육·해·공군·해병대 등 전군이 참가한 합동해상기동훈련이 5일부터 서해상에서 고강도로 펼쳐진다. 김경식(해군소장) 합참작전참모부장은 4일 “적의 ...
    Date2010.08.05 Views2681
    Read More
  2. 해군 교육사, 해군·해병대 준사관 수료·임관식

    황병진 준위 참모총장상 수상 해군 교육사령부는 30일 사령부 호국관에서 손정목 해군 교육사령관을 비롯한 해군 주요 지휘관 및 참모, 그리고 임관자 가족과 친지 등 15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해군ㆍ해병대 준사관...
    Date2010.08.03 Views5353
    Read More
  3. 동해에 몰려온다, 지옥의 군단 (한겨례21)

    한-미 연합 훈련, 북-중 코앞에서 미 7함대의 무시무시한 첨단무기 과시… 한반도에서 ‘신냉전’은 시작되는가 글 안수찬 기자 ahn@hani.co.kr· 김보협 기자 bhkim@hani.co.kr 사진 류우종 기자 wjryu@hani.co.kr 지구...
    Date2010.08.02 Views2869
    Read More
  4. 독도함을 치키는 한밤의 파수꾼

    모두가 잠든 시간. 함정에서는 잠들지 않는 이들이 있습니다. 출동 중에도 정박 중에도 함내 구석구석을 돌며 이상유무를 확인하는 안전당직자들이 바로 그들입니다. 제한된 공간 안에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격실과...
    Date2010.07.30 Views4137
    Read More
  5. 한미연합훈련 불굴의 의지

    지난 25일 시작된 ‘불굴의 의지’ 훈련은 해상 사격을 하는 등 점차 강도 높게 이어지고 있습니다. 한미해군의 멋진 훈련사진을 공개합니다 ! 대한민국 해군의 구축함인 문무대왕함과 최영함은 함포 사격에서부터 잠수...
    Date2010.07.30 Views4151
    Read More
  6. 독도함

    독도함 (사진출처 : 해군플리커)
    Date2010.07.30 Views2499
    Read More
  7. 2010 한미합동해상훈련

    2010 한미합동해상훈련 (사진:해군플리커)
    Date2010.07.30 Views3365
    Read More
  8. 북한지도체계 및 김정은 후계체계의 군부조직과 엘리트

    자료출처 : 합참 44호
    Date2010.07.28 Views1617
    Read More
  9. 하늘과 바다가르는 불굴의의지 작전

    26일 동해상에서 열린 한ㆍ미 연합훈련 ‘불굴의 의지’에서 미 항공모함조지워싱턴호와 아시아 최대 수송함인 독도함을 비롯한 미 구축함과 우리 초계함 등이 편대 운항을 하고 있다. 훈련 사흘째인 27일 양국은 동해 ...
    Date2010.07.28 Views3172
    Read More
  10. 무장장착훈련

    무장장착훈련 공군8전투비행단 / 2009 국방화보
    Date2010.07.26 Views5175
    Read More
  11. 고등비행훈련기 T-59와 T-38

    나란히 비행하고 있는 고등비행훈련기 T-59(왼쪽)와 T-38
    Date2010.07.26 Views5588
    Read More
  12. 호크미사일 발사장면

    서해안 공군사격장에서 발사되고 있는 호크미사일
    Date2010.07.26 Views6749
    Read More
  13. A-50의 공대공미사일발사장면

    국산 경공격기기 A-50의 AIM-9L 공대공미사일발사장면 국방화보 2005
    Date2010.07.26 Views3431
    Read More
  14. 육군15사단 비무장지대內 광심리계곡

    육군15사단 비무장지대內 광심리계곡의 여름풍경 / 국방화보 2005
    Date2010.07.25 Views7080
    Read More
  15. 한미 연합훈련 `불굴의 의지' 본격 돌입

    美 조지워싱턴 함·한국 독도함·F-22전투기 육·해·공군·해병대 병력 8000여 명 참여 /국방일보 이주형기자 2010.07.26 불굴의 의지(Invincible Spirit)로 명명된 한미 연합훈련이 시작된 25일 오전 우리 해군의 독도함...
    Date2010.07.25 Views419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Next
/ 193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