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규모 ‘DMZ 유해발굴 전담팀’ 만든다

by 운영자 posted Oct 15, 201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유해발굴.jpg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이 남북 공동 유해발굴을 위해 86명의 전문인력을 새로 채용할 계획이다. 사진은 지난 2일 육군5사단 공병대대원들이 공동 유해발굴 작업을 위해 비무장지대인 강원도 ‘화살머리고지’ 일대에서 지뢰제거 작전을 펼치고 있는 모습. 철원=국방일보 조용학 기자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이 남북 공동 유해발굴 사업을 위해 80여 명의 신규 인력을 대거 채용, 전담팀을 구성한다. 이들은 내년 4월 공동경비구역(JSA)과 비무장지대(DMZ) 일대에서 첫 삽을 뜨게 되는 남북 공동 유해발굴 사업에 투입될 예정이다.

이학기(대령)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장은 지난 12일 국방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밝히며 “새로 채용될 86명의 전담팀은 유해발굴 경험이 있는 인재들 가운데 엄선해 선발할 것”이라며 “특화된 교육으로 전문성을 높인 뒤 유해발굴 현장에 투입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 단장에 따르면 신규 전담팀은 올해 말에서 내년 초 사이에 채용될 예정이다. 신규 채용인원은 유해발굴 작업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예비역들을 중심으로 모집할 계획이다. 지난 2000년부터 시작된 유해발굴 사업에는 연인원 10만 명이 참가하고 있다. 이 단장은 “유해발굴 노하우를 갖춘 인재를 채용하면 교육 기간을 단축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이들은 유해 확인 방법, 수습 과정과 절차 등 유해발굴에 대한 전문교육을 받은 뒤 역사적인 공동 유해발굴의 최전선에 설 예정이다.

전담팀에는 86명 가운데는 전문감식요원 15명이 포함됐다. 현재 국유단에서 근무하는 전문감식팀은 13명이다. 이들이 합류하면 국유단 전문감식요원은 지금의 2배 이상이 된다. 나머지 71명은 현장조사와 발굴작업을 맡게 된다. 현재 전문감식요원을 제외한 유해발굴팀은 총 72명으로 구성돼 있다.

전문인력 충원과 관련, 이 단장은 “유해발굴에 대한 우리 정부의 관심과 노력을 방증하는 것”이라고 설명한 뒤 “내부적으로는 경험 있는 인재를 많이 충원해 전문성과 효율성을 동시에 잡는 효과를 거두는 것은 물론 외부적으로 청년 일자리 창출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JSA·DMZ 공동 유해발굴 전담팀이 발족하면 현재 임무를 수행하고 있는 8개 팀은 이미 계획된 기존 임무를 그대로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이 단장은 “현재 DMZ 지역에 대한 유해분석지도를 만드는 등 기본 준비는 마친 상태”라면서 “하지만 안전에 대한 확신이 설 때 본격적인 발굴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이 단장은 국유단이 보유한 18년의 발굴 경험이 이번 공동 유해발굴의 성공을 담보할 것으로 자신했다. 그는 “국유단은 유해발굴 선진국인 미국 못지않은 우수한 기술과 시스템, 노하우를 가지고 있다”며 “이런 탄탄한 기반이 공동 유해발굴에 큰 힘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국방일보>



Articles

75 76 77 78 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