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jpg

지난달 20일 동해 상에서 우리 해군 광개토대왕함과 함께 구조작전을 펼치던 해경 5001함이 촬영한 일본 P-1 초계기(노란색 원 안)의 모습. 초계기가 상당히 낮게 비행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국방부 유튜브 캡처


국방부 유투브.jpg

지난달 20일 동해에서 구조작전을 하는 우리 해군 광개토대왕함을 일본 P-1 초계기가 촬영한 영상. 국방부에 따르면 당시 초계기는 광개토대왕함의 150m 위, 거리 500m까지 접근했다. 국방부 유튜브 캡처



국방부가 동해 상에서 인도주의적 차원의 구조작전을 하던 우리 해군 광개토대왕함(DDH)과 해경 함정을 상대로 일본 초계기가 저공 위협비행을 한 데 대해 일본에 강력한 항의 메시지를 보내며 관련 영상을 공개했다.

국방부는 지난 4일 ‘일본은 인도주의적 구조작전 방해 행위를 사과하고 사실 왜곡을 즉각 중단하라’는 제목의 입장 영상을 발표하며 “광개토대왕함이 자국 초계기를 향해 사격통제 추적레이더(STIR)를 조사(照射)했다”는 일본의 주장이 허위라고 밝혔다.

최현수 대변인은 이날 “이번 영상 공개는 일본이 일방적으로 일어·영어본 영상을 공개해 왜곡된 사실이 전 세계 네티즌들에게 전달됨에 따라 더 정확한 사실관계를 알리기 위한 목적”이라고 설명한 뒤 “다시 한번 밝히건대 일본은 더 이상 사실을 왜곡하는 행위를 중단하고 인도적 구조활동 중이었던 우리 함정에 위협적인 저공비행을 한 행위에 대해 사과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국방부는 이날 우리말 자막이 포함된 영상에 이어 영어 자막본도 추가로 공개했다. 최 대변인은 “앞으로 각국의 언어로 번역해 지속적으로 공개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국방부가 공개한 영상은 상황이 발생했던 지난달 20일 오후 3시쯤 구조작전을 하던 해경 5001함이 촬영한 부분과 일본 P-1 초계기가 촬영한 부분을 편집해 제작됐다.


국방부는 “광개토대왕함이 표류 중인 조난 선박에 대해 인도주의적 구조작전을 수행하고 있는 가운데 일본 초계기가 저고도로 진입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일본 초계기는 왜 인도주의적인 구조작전 현장에서 저공 위협비행을 했느냐?”고 반문했다.

영상에 따르면 일본 초계기는 광개토대왕함 150m 위, 거리 500m까지 접근했다. 국방부는 “당시 함정 승조원들이 소음과 진동을 강하게 느낄 정도로 위협적이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일본 초계기의 영상을 보여주며 “일본이 공개한 영상에서도 초계기는 구조상황을 인식하고 있었다”고 반박했다.


국방부는 “(일본 초계기는) 인도주의적 구조작전 중인 함정에 비신사적인 정찰활동을 계속하며 작전을 방해하는 심각한 위협행위를 했다”며 “상호 우발적인 충돌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무장한 군용기가 타국 군함에 저공 위협비행을 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국제법을 준수했다는 일본의 주장에 대해서는 “국제법을 자의적으로 왜곡하여 해석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일본은 초계기가 국제항공법을 준수했다는 근거로 국제민간항공협약과 일본 항공법 시행규칙을 인용했다.


하지만 국방부는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국제민간항공협약 부속서(Annex) 2-4에 고도 150m 이하의 시계비행을 금지하는 조항이 있기는 하지만 그 취지는 일반 민항기 운항과 안전을 위한 일반 비행규칙을 정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군용기에는 적용하지 않는다고 명확히 규정하고 있다”고 밝혔다.

국방부는 광개토대왕함은 선박 구조를 위해 탐색레이더만 운용했을 뿐 일본 초계기를 향해 STIR을 조사한 적이 없다는 점도 명확히 했다.


국방부는 “일본이 공개한 영상에서 일본 초계기는 레이더 전파를 탐지했다고 주장하면서도 여전히 광개토대왕함 주위를 비행했다”며 “저공비행을 하면서 광개토대왕함의 무장(함포)이 자신들을 향하고 있지 않다며 공격의도가 없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전했다. 이어 “광개토대왕함이 추적레이더를 작동했다면 일본 초계기는 즉각 회피기동을 했어야 한다”며 “하지만 광개토대왕함 쪽으로 다시 접근하는 상식 밖의 행동을 보였다”고 덧붙였다.

당시 광개토대왕함에 수신된 일본 초계기의 실제 통신 음성도 공개했다. 음성을 들어보면 일본 초계기가 광개토대왕함을 향해 무언가를 이야기하고 있지만 ‘코리아(Korea)’ 정도만이 들릴 뿐 잡음으로 인해 그 이상은 이해할 수 없는 정도다.


국방부는 “일본이 시도한 통신은 광개토대왕함에서는 명확히 들리지 않았다”면서 “더구나 일본 초계기가 통신을 시도한 시점은 이미 구조작전 상공을 상당히 벗어난 뒤였다”고 설명했다.

국방부는 “우리 해군은 우방국 해상 초계기에 어떤 위협행위도 하지 않았다”며 “만일 일본이 주장하는 STIR 조사 증거자료(전자파 정보)가 있다면 두 나라 간 실무협의에서 제시하면 된다”고 밝혔다. 이어 “일본은 인도주의적 구조활동 중이었던 우리 함정을 향해 위협적인 저공비행을 한 것에 대해 사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국방부는 대화를 통한 해결의 끈을 놓지는 않았다. 국방부는 "실무협의를 통해 사실확인 절차에 들어가야 한다"며 대화를 통해 이견을 해소하고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기존의 방침을 재확인했다. 


한편, 강경화 외교부 장관도 같은 날 고노 다로 일본 외무상과 전화 통화를 하고 국방당국 간의 대화 필요성에 의견을 같이 했다. <국방일보>



  1. No Image

    평택 험프리스 기지에 한미동맹 상징조형물 설치 보도자료

    □ 국방부 주한미군기지이전사업단은 주한미군사령부‧주한미국상공회의소와 함께 7월 10일 오전 10시 30분, 평택 험프리스 기지에서 「한미동맹 상징조형물 제막식」을 개최하였습니다. ◦한미동맹 상징조형물은 한미동맹...
    Date2019.07.15 Views169
    Read More
  2. No Image

    해군 2함대 거동수상자 상황 발생 관련 수사결과 보도자료

    □ 지난 7월 4일(목) 22시 02분경 발생한 해군 2함대사령부 거동수상자 발견 상황과 관련 수사결과입니다. □ 국방부조사본부는 정경두 국방부장관 지시에 따라 7월 12일(금) 현장에 수사관 25명을 급파하여 수사본부를...
    Date2019.07.15 Views192
    Read More
  3. 제60기 해군· 해병대 준사관 후보생 수료·임관

    지난 5일 해군교육사령부 호국관에서 ‘제60기 해군·해병대 준사관 후보생 임관식’이 진행된 가운데 신임 준위들이 임관 선서를 하고 있다. 사진 제공=박미현 중사(진) 해군교육사령부가 지난 5일 부대 호국관에서 해...
    Date2019.07.10 Views530
    Read More
  4. 해군사관학교 연안실습전대 500여 명 독도 수호 결의

    해군사관학교 3학년 생도들이 지난 5일 연안실습의 하나로 독도를 방문한 가운데 독도 수호 결의대회에 참가해 결의문을 제창하고 있다. 부대 제공 신형 기뢰부설함 남포함(MLS-Ⅱ·3000톤급)과 신형 상륙함 일출봉함(L...
    Date2019.07.10 Views217
    Read More
  5. No Image

    북한 소형목선 상황 관련 국방장관 사과문

    □ 국방장관 사과문 존경하는 국민 여러분, 지난 6월 15일 북한 소형목선이 NLL을 남하하여 삼척항으로 입항하는 과정에서 우리 군이 이를 제대로 포착하여 경계하지 못하였고, 또한, 국민 여러분들께 이러한 상황을 ...
    Date2019.07.04 Views137
    Read More
  6. No Image

    정부, 해킹메일 예방 위해 만화로 보는 알기 쉬운 해킹메일 대처법 발간

    □ 정부는 공공기관이나 기업을 사칭하는 해킹메일로 인한 국민적 피해 방지를 위하여 관계부처 합동으로 「만화로 보는 알기 쉬운 해킹메일 대처법」을 제작⋅발간한다고 밝혔다. o 해킹메일은 해커가 공공기관, 기업 ...
    Date2019.07.04 Views192
    Read More
  7. 2019 전반기 해군·해병대 수송관계관 회의

    2019년 전반기 해군·해병대 수송관계관 회의가 24일 해군진해기지사령부 시설전대 대회의실에서 진행되고 있다. 해군 제공 해군이 24일과 25일 이틀간 해군진해기지사령부 시설전대 대회의실에서 ‘전반기 해군·해병대...
    Date2019.06.30 Views266
    Read More
  8. No Image

    육군207항공대대, 해병대1항공대와 상호교류행사 개최

    육군21항공단 예하 207항공대대는 19일 영천기지에서 해병대1항공대와 상호 교류 행사를 했다. 지난 4월 25일 자매결연을 한 두 부대는 항공기 운용 부대라는 공통점을 바탕으로 지속적인 교류·협력을 해오고 있다. ...
    Date2019.06.22 Views510
    Read More
  9. 해군, 심승섭 해군참모총장 주관 전반기 주요지휘관회의 개최

    20일 해군본부 회의실에서 열린 전반기 해군 주요지휘관회의에서 심승섭(가운데) 해군참모총장과 이승도 해병대사령관을 비롯한 해군·해병대 주요 지휘관들이 국기에 대한 경례를 하고 있다. 해군 제공 해군이 20일 ...
    Date2019.06.22 Views226
    Read More
  10. 제126기 해군·해병대 사관후보생 임관식

    제126기 해군·해병대 사관후보생 292명(해군 170·해병대 122)이 30일 소위 계급장을 달고 초급 장교로 첫발을 내디뎠다. 해군은 이날 오후 2시 경남 창원시 진해구 해군사관학교 연병장에서 ‘제126기 해군·해병대 사...
    Date2019.06.05 Views450
    Read More
  11. ‘육군훈련소의 추억 사진·사연’ 공모전

    “그때 그 시절, 진짜 사나이들의 진짜 이야기, 여러분의 추억이 육군훈련소의 역사가 됩니다.” 육군훈련소가 국민과 국군 장병을 대상으로 ‘육군훈련소의 추억 사진·사연’을 첫 공모한다. 27일부터 7월 31일까지 우편...
    Date2019.05.27 Views483
    Read More
  12. 文대통령, 軍에 "9·19 합의 이행해 남북 신뢰구축" 지시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달 진급 및 보직신고를 받은 후 장성들과 함께 걸어나오고 있다.사진 = 청와대 문재인 대통령은 3일, 지난 4월 장성인사를 통해 새롭게 구성된 군 지휘부에 “9·19 군사합의를 성실하게 이행해 한...
    Date2019.05.03 Views545
    Read More
  13. 정경두 국방부 장관, 인천·강화 지자체장·장병들과 간담회

    정경두 국방부 장관이 22일 인천시 강화군 강화역사박물관에서 열린 국방부 장관·강화군수·군장병 간담회에서 맺음말을 하고 있다. 이날 정 장관은 국방부가 추진하는 병영문화혁신 정책에 대해 장병들과 진솔한 이야...
    Date2019.04.23 Views685
    Read More
  14. 정부, 군 장성 인사 발표

    제48대 육군참모총장에 서욱(56·중장) 합동참모본부(합참) 작전본부장이 내정됐다. 원인철(58·중장) 합참 차장은 제37대 공군참모총장으로 내정됐다. 서욱(왼쪽) 육군참모총장 내정자와 원인철 공군참모총장 내정자. ...
    Date2019.04.10 Views1297
    Read More
  15. 일과후 병사 휴대전화 사용 시범운영 전 부대로 확대

    1일부터 일과시간 이후 병사 휴대전화 사용제도 시범운영이 전 부대로 확대됐다. 사진은 병사들이 생활관에서 자유롭게 휴대전화를 사용하고 있는 모습. 국방일보 양동욱 기자 일과시간 이후 병사 휴대전화 사용의 시...
    Date2019.04.02 Views116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 193 Next
/ 193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