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jpg


국방부는 15일 공개한 ‘2018 국방백서’를 통해 북한의 핵·미사일 능력은 2년 전에 비해 고도화했으나, 재래식 전력은 대체로 현상 유지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평가했다.

북한군에 대한 국방부의 평가 등이 담긴 국방백서는 2년마다 발간된다.

국방백서는 북한 미사일 관련, “북한은 작전 배치됐거나 개발 중인 미사일에 대한 시험발사를 2012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했으며, 2017년에는 북극성-2형, 화성-12, 14, 15형 등을 시험 발사했다. 특히 2017년 5월과 8월, 9월에는 화성-12형을 북태평양으로 발사했으며, 7월과 11월에는 미국 본토를 위협할 수 있는 화성-14과 화성-15형을 시험 발사했다”고 기술했다.

북한이 작전 배치했거나 개발 중인 중거리탄도미사일(IRBM)과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의 사거리에 대해서는 무수단 3천㎞, 화성-12형 5천㎞, 화성-13형 및 화성-14형 5천500㎞ 이상, 화성-15형 1만㎞ 이상으로 평가했다.

2년 전 발간된 2016 국방백서에는 사거리 5천㎞ 이상인 북한 미사일이 대포동만 있었지만, 2018년 국방백서에는 대포동과 화성계열을 포함해 6종류로 늘었다.

국방백서는 다만, “탄두의 대기권 재진입기술 확보 여부를 검증할 수 있는 실거리 사격은 실시하지 않아 이에 대한 추가 확인이 필요하다”며 북한의 ICBM 능력의 완성 여부에 대해서는 평가를 유보했다.

백서는 북한의 핵 능력에 대해서는 “2013년 2월, 2016년 1월과 9월, 2017년 9월 등 4차례(3~6차)의 추가 핵실험을 감행했다”며 “특히 6차 핵실험에서 보여준 핵폭발 위력은 약 50kt로 이는 과거 핵실험에 비해 현저히 증대돼 수소탄 시험을 시행한 것으로 평가됐다”고 기술했다.

핵무기의 ‘원료’ 중 하나인 고농축우라늄(HEU)과 관련해 지난번 2016 국방백서는 “HEU 프로그램도 상당한 수준으로 진전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고 기술했으나, 이번 국방백서는 “HEU도 상당량 보유한 것으로 평가된다”고 기술했다. 북한의 HEU 보유를 인정한 셈이다.

또 다른 핵폭탄 원료인 플루토늄은 50여㎏ 보유하고 있다는 평가가 유지됐고, 북한의 핵무기 소형화 능력에 대해서도 “상당한 수준에 이른 것으로 보인다”는 표현에 변화가 없었다.

육·해·공군의 재래식 전력 평가에선 병력(128여만명)와 전차(4천300여대), 장갑차(2천500여대), 야포(8천600여대), 전투함정(430여척), 전투임무기(810여대) 등에서 현상 유지 상태인 것으로 평가됐다.    


다만, 육군 전력 평가에서 “122㎜와 200㎜ 견인방사포를 추가 생산해 전방과 해안 지역에 집중 배치하고, 최근에는 사거리 연장탄 및 정밀유도탄 등의 다양한 특수탄을 개발해 운용하고 있다”는 기술이 눈에 띈다.

특히, 북한군은 방사포탄을 개량해 정밀유도탄, 사거리연장탄, DPICM(이중목적고폭탄)탄, 화염탄, 대공표적 제압용 공중작용탄 등의 특수탄을 개발한 것으로 평가됐다.

기갑 및 기계화부대에는 ‘준마호’라는 신형 장비(전차)가 추가 배치됐고, 주력전차인 ‘선군호’는 성능이 개량된 것으로 평가됐다.

북한군의 방공망에 대해서는 SA-2와 SA-3 등 지대공 미사일과 고사포로 대공 방어망을 형성하고 있다는 기존 기술에다 “GPS 전파교란기를 포함한 다양한 전자교란 장비를 개발해 대공방어에도 운용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는 기술이 추가됐다. 북한도 첨단장비를 개발해 국방 분야에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북한군의 군사지휘구조에선 총정치국 산하에 있던 보위국이 최고사령관(김정은 국무위원장) 직속으로 변경된 것으로 평가됐다. 이는 총정치국의 권한이 약화하면서 경제 분야에 집중하는 상황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총참모부 산하의 군단급 부대는 기존 정규군단 10개, 기계화군단 2개, 91수도군단(평양 방어), 11군단(특수전)에 평양방어 임무를 수행하는 고사포군단이 추가됐다.

국방백서는 북한군의 군사전략에 대해서는 “북한군은 유사시 비대칭 전력 위주로 기습공격을 시도해 유리한 여건을 조성한 후 조기에 전쟁을 종결하려 할 가능성이 크다”면서도 “한편, 북한이 그간 전략적 환경 변화에 맞춰 군사전략을 변화시켜 온 것처럼 한반도 비핵화 및 평화체제 구축과정에서 비핵화 협상 진전 여부 등에 따라 변화를 모색할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다. <디지털국방일보팀>



  1. 해병대 최초 세 쌍둥이 빨간 명찰 탄생

    해병대 최초로 세쌍둥이 해병대원이 된 김용호·용환·용하 이병(왼쪽부터)이 서해수호 의지를 다지며 거수경례를 하고 있다. 사진 부대 제공 해병대 최초 세쌍둥이 해병대원이 탄생했다. 8일 해병대 교육훈련단 연병장...
    Date2021.04.08 Views359
    Read More
  2. 국방부, 연평도포격전으로 명칭 변경

    국방부, 연평도포격전으로 명칭 변경 국방부는 31일 ‘연평도 포격 도발' 정부 공식 명칭을 ’연평도 포격전’으로 변경했다고 밝히고 이날 연평도 포격전용어 변경 지시를 각급 부대에 하달했다.다만 국방부는 장병 교...
    Date2021.04.02 Views218
    Read More
  3. 국립서울현충원 2021년도 현충원 호국문예 백일장 그림 그리기 대회 안내

    국립서울현충원, 제30회 호국문예 백일장/제16회 그림 그리기 대회 안내 참가 신청 ☞ www.2021snmb-contest.com 매년 5월에 실시하는 국립서울현충원 호국문예백일장 및 그림 그리기 대회가 코로나19의 지속으로 인해...
    Date2021.04.02 Views223
    Read More
  4. 한미 해군·해병대 주임원사단, 서해수호의 날 맞아 굳건한 한미동맹 재확인

    한미 해군·해병대 주임원사단, 서해수호의 날 맞아 굳건한 한미동맹 재확인 30일 백령도 천안함 위령탑을 방문한 한미 해군·해병대 주임원사단 정도일 해군주임원사, 다렐 L. 팀파 주한 미해군사령부 주임원사, 양병...
    Date2021.03.31 Views199
    Read More
  5. 해군특수전전단, 한주호 준위 제11주기 추모식

    해군특수전전단, 한주호 준위 제11주기 추모식 해군특수전전단은 30일 경남 창원시 진해루해변공원 한주호 동상 앞에서 제11주기 고(故) 한주호 준위 추모식을 거행했다. 유재만(준장) 전단장 주관으로 열린 추모식은...
    Date2021.03.30 Views248
    Read More
  6. 해군군사경찰단, 헬기레펠 훈련

    해군 군사경찰부대 특임반 대원들이 24일 진해 비행장에서 해상기동헬기에 탑승해 헬기레펠 훈련을 하고 있다. 사진 해군 제공 해군군사경찰단은 지난 23일부터 25일까지 진해 육상훈련장과 비행장에서 예하 군사경찰...
    Date2021.03.25 Views376
    Read More
  7. 김영관 8대 해군참모총장 별세

    김영관 8대 해군참모총장 제8대 해군참모총장을 지낸 김영관 예비역 대장이 21일 밤 10시경 별세했다. 향년 96세. 고인은 해군병학교(현 해군사관학교) 1기생으로 입교해 1947년 해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사관생도 ...
    Date2021.03.22 Views253
    Read More
  8. 한미국방장관회담 결과

    국방부는 서욱 국방부장관과 로이드 오스틴(Lloyd James Austin Ⅲ) 미국 국방부장관은 2021년 3월 17일 서울에서한미 국방장관회담을 개최하고, 한반도 안보상황과 전작권 전환 추진 경과, 규칙에 기반한 국제사회 보...
    Date2021.03.18 Views135
    Read More
  9. 육해공군 병사 두발 완화, 해병대는 상륙돌격형 머리 그대로 유지

    육·해·공군이 간부들의 두발 규정을 병사에게도 적용하여 통일하기로 하고 개선작업에 착수했다. 육군은 간부와 병사 등 전 장병에게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두발 규정을 개선하기로 하고 이달 초 설문조사에 나...
    Date2021.03.17 Views1486
    Read More
  10. 제8기 어머니 장병급식·피복 모니터링단 모집 공고

    제8기 어머니 장병급식·피복 모니터링단 모집 공고 ● 모집요강 - 모집기간 : 2021년 3월 15일(월) ~ 4월 2일(금) - 면 접 : 4월 예정(서류 통과자 개별통보) - 최종합격 : (1차)서류전형 -> (2차)면접전형 -> 최종합...
    Date2021.03.16 Views135
    Read More
  11. [국방부] 철책·해안 등 경계작전 투입 장병 먼저 백신 맞는다

    군, 6월 코로나19 백신 순차적 접종 사회 필수 인력 중 군인 58만여 명 대상 국방부 “보건당국과 일정 협의 중” [국방일보] 오는 6월 시작될 우리 군의 코로나19 백신 접종은 경계작전 등 필수 작전부대부터 우선 진...
    Date2021.03.16 Views248
    Read More
  12. 2021년 해군해병대 예비역간부 진급선발 공고

    2021년 해군해병대 예비역간부 진급선발 공고입니다. - 접수기간 : 2021년 3월 8일 (월) 09:00 ~ 4월 9일 (금) 18:00 - 문의처 : 해군본부 정보작전참모부 예비군과 ☏ 042-553-3421 - 제목 하단의 첨부파일 2021년 해...
    Date2021.03.15 Views524
    Read More
  13. 해군사관생도 제75기 해군·해병대 장교로 임관한 6·25전쟁 참전용사 후손들과 화제의 인물들

    해군사관생도 제75기 해군·해병대 장교로 임관한 6·25전쟁 참전용사 후손들과 화제의 인물들 해군사관생도 제75기 해군·해병대 장교로 임관한 6·25전쟁 참전용사 후손들 12일 오후 해군사관학교 연병장에서는 해군사...
    Date2021.03.12 Views243
    Read More
  14. 해군사관학교 제75기 사관생도 졸업 및 임관 신임 소위 144명 탄생

    해군사관학교 제75기 사관생도 졸업·임관식, 신임 소위 144명 탄생 해군사관학교 제75기 사관생도 졸업·임관식이 12일 오후 2시 해군사관학교 연병장에서 개최됐다. 행사는 국민의례, 우등상 수여, 졸업증서 및 임관...
    Date2021.03.12 Views1145
    Read More
  15. 한미국방장관회담 3월 17일 서울서 개최

    국방부는 로이드 오스틴(Lloyd James Austin Ⅲ) 미국 국방부 장관이 3월 17일(수) 부터 19일(금) 까지 한국을 방문할 예정이며 서욱 국방부 장관은 17일 서울에서 오스틴 장관과 한미 국방장관회담을 개최한다고 밝혔...
    Date2021.03.11 Views8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 201 Next
/ 201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