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백서(국방부·2006)는 북한의 특수부대에 대해 “전방군단 특수전 부대를 포함해 12만여 명에 달하고, 유사시 남한 전 지역에 동시 다발적으로 침투해 후방지역 교란과 혼란 조성을 기도할 것이며, 전선지역의 주요 접근로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되는 땅굴을 통해 은밀 침투를 병행할 때에는 기습 효과가 배가될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북한은 1991년 기존의 특수8군단을 포함, 특수전부대들에 대한 통제와 효율적인 전력 강화를 위해 총참모부 산하에 경보교도지도국(당시 교도대지도국)을 발족시켰다. 경보교도지도국은 예하에 25개의 특수전 여단과 12만여 명의 병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북한군 전체 병력의 10%에 이른다.

경보교도지도국은 한국 육군의 특수전사령부(특전사)에 비교될 수 있는 부대로 북한군 내에서 최상의 전력을 자랑하고 있으며 유사시 레이더에 걸리지 않는 AN - 2기와 헬리콥터 등 다양한 침투장비를 이용, 후방으로 침투하는 부대다. 현재 예하 특수전부대로는 ‘저격여단’ ‘경보병여단’ ‘군단 정찰대대’ 등이 있으며 해·공군의 통제를 받는 ‘해상저격여단’ ‘공군저격여단’도 경보교도지도국 소속은 아니지만 특수부대다.

경보교도지도국 산하 특수전부대는 군관(장교)이나 하사관(부사관) 비율이 높아 일반 전투부대보다 정예 병력으로 구성돼 있다. 이들은 평시에는 최전선에 있는 각 보병군단에 배속돼 임무를 수행하고, 전시에는 땅굴·육로·해로를 통해 남한에 침투해 후방을 교란시키는 임무를 수행한다. 경보교도지도국 이외에도 대남 공작을 담당하는 노동당 중앙위원회 작전부와 총참모부 정찰국도 특수작전 요원들을 양성하고 있다.

노동당 중앙위원회 작전부는 공작원들에 대한 기본교육훈련, 침투공작원의 호송·안내·복귀, 대남 테러공작 및 침투로 개척 등을 주 임무로 하고 있으며, 고급 공작원 호송·중요 시설 정찰 등 좀 더 은밀하고 정치적 성격이 강한 임무를 주로 수행한다. 또 같은 특수부대라도 노동당 중앙위원회 직속부대는 총참모부 소속 특수전부대보다 당성이나 훈련 정도 등에서 수준이 훨씬 높은 대원들로 구성돼 있다. 정찰국은 북한군 총참모부 소속으로 3개 정찰여단이 있으며, 무장공비 양성 및 남파·요인 암살·파괴·납치 등 게릴라 활동, 대남 군사정보 수집 등을 주 임무로 한다. 83년 미얀마 아웅산 암살 폭파 사건을 자행한 범인이 바로 정찰국 소속 특수공작원이었다.

정찰국 소속 특수작전부대는 군사시설 정찰 및 정보수집·암살·폭파·비정규전 부대 침투 등 군사적 성격에 무게를 둔 침투임무를 주로 수행한다. 특히 정찰국 소속 잠수함과 잠수정 침투 공작부대는 고도의 침투 능력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 중 정찰국 직속의 ‘침투공작부대’는 전원이 군관 혹은 하사관이며 대우 또한 다른 부대에 비해 파격적이다. 이처럼 북한의 특수부대 전력은 전·평시를 막론하고 군사적 목적은 물론 북한 정권의 정치적 목적을 위해서도 활용되는 전천후 군사력이다.차주 북한의 특수부대(2)에서는 이들 부대들의 임무와 활동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hb_gbb_12.jpg

 

북한군 특수전부대는 총참모부의 경보교도지도국 예하에 저격여단·경보병 여단·정찰대대 등이 있으며 해·공군에는 해상저격여단·공군저격여단이 있다.저격여단은 특수전부대 중에서도 정예화한 부대로 선정된 목표물을 저격·습격하는 부대이며 주로 비정규전·특수전·소부대전 등 제2전선 개념 형태의 작전을 수행한다.

구성원들은 30세 미만의 청년 군관(장교)들과 하사관(부사관)들이 대부분이며 소대가 주 전투단위다. 이들은 유사시 대상 표적에 사전 침투했다가 전쟁과 동시에 행동을 개시하며 부여받은 목표를 습격, 파괴하는 임무를 수행한다. 또 북한 후방에 침투한 한국군 특수부대원들을 제압하거나 체제에 불만을 품은 저항 세력들의 무력 시위나 폭동을 진압하기도 한다.

경보병여단은 6개 대대(1개 대대 : 6개 중대)로 구성돼 있다. 이들은 전시에 전투대(1개 중대 : 2개 전투대·1개 전투대 = 60명 정도) 또는 중대 단위로 지정된 목표물을 습격하고 적 후방을 교란하는 등 군 작전상 필요한 전술적 목표를 기습 파괴할 목적으로 창설된 부대다.

군단정찰대대는 평소 정찰활동 위주로 훈련하며 간혹 정찰국 작전조원들(전원 군관으로 편성 : 전방 군단에 5~6개 작전조 활동)의 통로 개척에 동행해 한국군 철책까지 안내 또는 엄호하고, 각 조별로 침투 루트에 대한 현지 정찰활동을 하기도 한다. 평시에 군단 정찰대대원들은 남한지역에 침투하지 않고 작전조가 침투하고 있다.

이들은 통상 적게는 11명, 많게는 소대별로 전방지역 정찰활동을 하며 전술·숙영지 준비 및 은폐, 각종 적군 무기 조작법, 고공·저공 강하, 운전기재 조작법, 야지 생존법, 적군 이론 등 생존에 필요한 다양한 훈련을 받는다. 한국군 주요 대상 부대의 위치와 단대호·부대별 특성·부대 상징 등은 물론 부대 지휘관과 주요 간부들의 인적사항 등을 기본적으로 교육받고 있다.

해군의 해상저격여단은 해군을 지원하는 해안·항만·해군레이더·보급기지 등에 침투해 기습하거나 연안에 기뢰 부설 또는 수상 함정들을 무력화시킴으로써 한미 양군의 작전 수행에 타격을 입히는 것이 임무다. 이들은 기습 상륙에 필요한 고속보트와 공기부양정을 일부 보유하고 있으며 남한 항만 도시 등 후방에 침투해 활동하는 것에 대비, 한국군 복장은 물론 한국군대식 교육도 다양하게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공군의 저격여단은 한미 양국 공군이 사용하는 군사·민간 비행장·항공기 이착륙이 가능한 일부 고속도로 구간과 레이더 등 방공관제기지·방공망 등을 무력화시키는 것이 임무다.특수전부대 중 생소한 명칭이 ‘자전거부대’다. 북한은 최근 자전거를 이동 수단으로 하는 특수전 경보병여단을 창설 운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저격여단·경보병여단에도 자전거를 확대 보급하고 있다고 한다.

특수전부대 요원들은 부대 근무시에는 일반 장병들과 달리 급여와 식량 배급 등에서 우대받는다. 또 연간 1개월 이상의 포상 휴가와 특별 휴양 기회가 주어지며 업무수행 중 사소한 과오는 문책받지 않음은 물론 조기 입당까지 보장받고 있다. 또 만기군사복무(전역) 후에는 개인 의사에 따라 취업할 수 있고 대학 진학 또는 주요 간부직에 진출할 때도 특혜가 부여된다.이들은 북한 정권으로부터 특별대우를 받으며 군사정권을 보위하는 선군체제의 버팀목인 셈이다.
<국방일보 윤규식 육군종합행정학교 북한담당 교수>



  1. 서해서 실전적 합동기동훈련

    함정 20척·항공기 50대·병력 4500명 투입 / 2010.08.05 우리 군의 육·해·공군·해병대 등 전군이 참가한 합동해상기동훈련이 5일부터 서해상에서 고강도로 펼쳐진다. 김경식(해군소장) 합참작전참모부장은 4일 “적의 ...
    Date2010.08.05 Views2681
    Read More
  2. 해군 교육사, 해군·해병대 준사관 수료·임관식

    황병진 준위 참모총장상 수상 해군 교육사령부는 30일 사령부 호국관에서 손정목 해군 교육사령관을 비롯한 해군 주요 지휘관 및 참모, 그리고 임관자 가족과 친지 등 15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해군ㆍ해병대 준사관...
    Date2010.08.03 Views5353
    Read More
  3. 동해에 몰려온다, 지옥의 군단 (한겨례21)

    한-미 연합 훈련, 북-중 코앞에서 미 7함대의 무시무시한 첨단무기 과시… 한반도에서 ‘신냉전’은 시작되는가 글 안수찬 기자 ahn@hani.co.kr· 김보협 기자 bhkim@hani.co.kr 사진 류우종 기자 wjryu@hani.co.kr 지구...
    Date2010.08.02 Views2869
    Read More
  4. 독도함을 치키는 한밤의 파수꾼

    모두가 잠든 시간. 함정에서는 잠들지 않는 이들이 있습니다. 출동 중에도 정박 중에도 함내 구석구석을 돌며 이상유무를 확인하는 안전당직자들이 바로 그들입니다. 제한된 공간 안에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격실과...
    Date2010.07.30 Views4137
    Read More
  5. 한미연합훈련 불굴의 의지

    지난 25일 시작된 ‘불굴의 의지’ 훈련은 해상 사격을 하는 등 점차 강도 높게 이어지고 있습니다. 한미해군의 멋진 훈련사진을 공개합니다 ! 대한민국 해군의 구축함인 문무대왕함과 최영함은 함포 사격에서부터 잠수...
    Date2010.07.30 Views4151
    Read More
  6. 독도함

    독도함 (사진출처 : 해군플리커)
    Date2010.07.30 Views2499
    Read More
  7. 2010 한미합동해상훈련

    2010 한미합동해상훈련 (사진:해군플리커)
    Date2010.07.30 Views3365
    Read More
  8. 북한지도체계 및 김정은 후계체계의 군부조직과 엘리트

    자료출처 : 합참 44호
    Date2010.07.28 Views1617
    Read More
  9. 하늘과 바다가르는 불굴의의지 작전

    26일 동해상에서 열린 한ㆍ미 연합훈련 ‘불굴의 의지’에서 미 항공모함조지워싱턴호와 아시아 최대 수송함인 독도함을 비롯한 미 구축함과 우리 초계함 등이 편대 운항을 하고 있다. 훈련 사흘째인 27일 양국은 동해 ...
    Date2010.07.28 Views3172
    Read More
  10. 무장장착훈련

    무장장착훈련 공군8전투비행단 / 2009 국방화보
    Date2010.07.26 Views5175
    Read More
  11. 고등비행훈련기 T-59와 T-38

    나란히 비행하고 있는 고등비행훈련기 T-59(왼쪽)와 T-38
    Date2010.07.26 Views5588
    Read More
  12. 호크미사일 발사장면

    서해안 공군사격장에서 발사되고 있는 호크미사일
    Date2010.07.26 Views6749
    Read More
  13. A-50의 공대공미사일발사장면

    국산 경공격기기 A-50의 AIM-9L 공대공미사일발사장면 국방화보 2005
    Date2010.07.26 Views3431
    Read More
  14. 육군15사단 비무장지대內 광심리계곡

    육군15사단 비무장지대內 광심리계곡의 여름풍경 / 국방화보 2005
    Date2010.07.25 Views7080
    Read More
  15. 한미 연합훈련 `불굴의 의지' 본격 돌입

    美 조지워싱턴 함·한국 독도함·F-22전투기 육·해·공군·해병대 병력 8000여 명 참여 /국방일보 이주형기자 2010.07.26 불굴의 의지(Invincible Spirit)로 명명된 한미 연합훈련이 시작된 25일 오전 우리 해군의 독도함...
    Date2010.07.25 Views419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Next
/ 193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