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군 특수전전단 창설 65주년 

해군 특수전전단 1.jpg

해난구조대원들이 항공구조 훈련을 하고 있다.


‘불가능은 없다’라는 표어 아래 지난 65년간 특수작전을 펼쳐온 해군 부대가 있다. 이 부대는 힘들고 어려운 특수 임무를 책임지며 국내외에서 국가와 국민을 위해 활약해 왔다. 강한 훈련을 바탕으로 한 완벽한 전투 수행 준비로 최강의 전투력을 보전해 온 해군특수전전단(특전단)이 그 주인공이다. 9일 창설 65주년을 맞은 특전단의 전방위 활약상을 되짚어본다.


해군특수전전단의 뿌리는 독립군·광복군

특전단의 시작은 우리 국군의 뿌리인 독립군과 광복군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독립군과 광복군은 미 전략사무국(OSS) 미 해군 UDT와 연합훈련과 합동작전을 수행했다. 이후 6·25전쟁을 거치면서 해군 특전부대의 창설이 본격화된다. 미 정찰정보대는 1952년 2월 해체와 함께 한국 해군에 정찰정보대 창설을 기획한다. 이에 한국 함대정보국은 같은 해 11월 김성권 중위를 미 해군특수전부대 UDT 양성 과정인 B-6에 유학시켰다. 김 중위를 시작으로 이듬해부터 11명의 해군 장교들이 이 과정을 거쳤으며 1955년 5월 25일 우리 해군에도 B-6 교육과정이 생겼다. 그리고 같은 해 11월 9일, 미국과 한국 해군 UDT 양성 과정을 수료한 30여 명으로 대한민국 해군 수중파괴대(UDT·Underwater Demolition Team)가 마침내 창설됐다.


해군 특수전전단 3.jpg

1955년 11월 9일 해군특수전전단 창설 주역들의 기념촬영 모습.


이처럼 특전단은 6·25의 아픔이 채 가시지 않은 시기에 창설됐지만 이후 꾸준히 임무를 확대하며 해군의 대표적인 특수작전부대로 자리 잡았다. 1968년 폭발물처리(EOD)작전대가 창설됐고 1976년 특수전(SEAL)·1993년 해상대테러(CT) 임무가 추가되면서 2000년 1월 특수전여단으로, 2007년 12월 21일에는 특수전전단으로 재창설됐다.

여기에 구조전 임무를 수행하는 ‘최정예 심해잠수 전문부대’ 해난구조전대(SSU·Sea Salvage & rescue Unit)가 2018년 9월 1일, 특전단 예하로 예속 및 재창설되면서 특전단은 특수전과 구조전 임무를 모두 수행하는 부대로 거듭나게 됐다.

해군 특수전전단 4.jpg

해난구조대원들이 겨울철 바닷속에서 혹한기 훈련을 하고 있다.



선견부대작전 및 육·해·공 전천후작전 등 수행

특전단의 최정예 요원들에게 불가능은 없다. 그렇기에 한계를 뛰어넘는 이들의 훈련과 임무는 일반인들에게조차 경의의 대상이다. 최근에는 이들을 소재로 한 다양한 동영상 콘텐츠가 일반인들 사이에서 제작돼 큰 관심을 모으고 있다.

특전단의 임무는 크게 네 가지를 꼽을 수 있다. 상륙작전에 앞서 적 해안 및 내륙에 침투해 정찰활동을 하고 군사지휘시설을 파괴하는 선견부대작전, 적지종심작전·대량살상무기 반출 등의 특수작전을 수행하는 육·해·공 전천후 작전, 바닷속 장애물과 기뢰를 제거하는 폭발물처리, 적 또는 불순세력에게 납치된 국민을 구출하고 해양차단작전을 수행하는 대테러작전이 바로 그것.

또한 해난구조전대가 수행하는 해난사고 발생 시 해상인명 및 해난구조작전과 항만·수로상 장애물 제거, 전시 주요 항만 개항 유지·상륙작전 전투구조 등도 빼놓을 수 없는 임무다. 이 밖에도 특전단은 국민의 안전과 해양환경 보호를 위한 다양한 활동을 전개한다.

이 같은 특수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특수신체검사를 포함한 엄격한 선발 과정을 통과한 뒤 극한의 훈련을 이겨내야 한다. 특수전 대원을 희망하는 장교·부사관·병은 각각 25주·28주·10주간의 특수전 기초교육과정을 거친다. 교육과정 중 가장 혹독한 것은 바로 ‘지옥주’다. 탈락자의 절반가량이 이 지옥주 기간에 포기한다. 교육생들은 5일간 수면 없이 급식이 제한된 가운데 강도 높은 훈련을 받으며 고립된 지역에서 생존할 수 있는 기초전술을 습득하고 팀워크를 배양한다.

여기서 끝이 아니다. 기초교육을 이수한 후에도 작전팀에서 임무를 수행하려면 최소 4~5개의 특기 특수과정을 이수해야 한다.

해군 특수전전단 5.jpg

지난 2011년 1월 21일 해군 청해부대 UDT 대원들이 아덴만 해상에서 피랍된 삼호주얼리호 선원 21명을 안전하게 구출하고 있다.



아덴만 여명작전 등 국내외에서 활약

특수전 대원들은 국내외에서 국가와 국민을 위해 굵직굵직한 임무를 완벽하게 수행해 왔다.

지난 2011년 1월 21일 해군 청해부대 검문검색대는 소말리아 인근의 아덴만 해상에서 해적에게 피랍된 삼호주얼리호 피랍선원 21명을 단 한 명의 인명 피해도 없이 구출한 ‘아덴만 여명작전’으로 깊은 인상을 남겼다. 이는 국군이 해외에서 대한민국 국민을 구출한 최초 사례다. 또한 1999년 상록수부대, 2001년 해성부대, 2005년 인도네시아 지진해일 및 2014년 필리핀 태풍 피해 복구 등 해외파병 작전에도 동참해 세계 평화 정착에 이바지했다. 현재는 아크부대에서도 임무를 수행 중이다.

해양 재난 현장에서는 해난구조대원들의 활약이 눈부셨다. 창설 당시 이들의 주 임무는 전투 중 손상된 함정의 피해 복구와 좌초 선박의 구조·예인이었다. 1960년대 이후에는 우리 해군이 격침한 간첩선에서 전과를 확인하고 주요 장비를 인양하거나, 우리 군의 항공기 또는 함정이 조난했을 때 인명을 구조하는 등의 임무를 수행해 왔다.

최근에는 국내외에서 발생한 국가 재해·재난 현장에 투입돼 국민의 신뢰를 받았다. 1993년 서해 페리호 침몰사고 때 사망자 292명의 시신을 모두 찾아냈으며 이 밖에도 2010년 천안함 피격 사건 및 2014년 세월호 참사 당시 탐색·구조·인양 임무를 수행했다. 지난해에는 헝가리 다뉴브강에서 발생한 유람선 침몰 사고에 신속대응팀의 일원으로 투입돼 구조 역량을 전 세계에 과시했다. <국방일보 노성수 기자 사진=부대 제공>


해군 특수전전단 6.jpg

해군특수전전단 UDT대원들이 해안침투 훈련을 하고 있다.



해군 특수전전단 


1955년 해군 UDT 창설
지옥주 극한 훈련 이겨낸 ‘최정예’
아덴만 등 국내외서 눈부신 활약 
 
1955년 11월 9일
대한민국 해군 수중파괴대 창설 

1968년 

폭발물처리(EOD) 작전대 창설

1993년
해상대테러(CT) 임무 추가 

 
2000년 1월
특수전여단으로 재창설 
 

2007년 12월 21일
특수전전단으로 재창설 

  

2018년 9월 1일
해난구조전대, 특전단 예하로 예속 및 재창설 



  1. 장병내일준비적금 2022년부터 매칭지원금 지급...전역시 1000만원 목돈마련 가능

    국방부는 2022년 1월부터 장병내일준비적금가입자에게 국가 재원으로 지원하는 3:1매칭지원금(사회복귀준비금) (이하 ‘3:1매칭지원금’)을 지급하는「병 내일준비 지원사업」을 시행한다고 밝혔다. 장병내일준비적금은...
    Date2021.12.31 Views399
    Read More
  2. 국방부 과장급 인사

    국방부 과장급 인사 □ 국방부 서기관 김 택 중 주한미군기지이전사업단 파견근무를 명함. □ 국방운영개혁추진관실 국방운영개혁담당관 서기관 황 윤 정 주한미군기지이전사업단 파견근무를 명함. □ 국방부 기술서기관...
    Date2021.12.31 Views427
    Read More
  3. 공군검찰단 창설…독립 수사권 바탕 투명수사 전개

    박인호(왼쪽) 공군참모총장이 30일 김영훈(대령·진) 초대 공군검찰단장에게 부대기를 수여하고 있다. 사진 제공=김동범 중사 [국방일보] 공군검찰단은 30일 계룡대 대강당에서 박인호 참모총장 주관으로 창설식을 열...
    Date2021.12.31 Views404
    Read More
  4. 국가보훈처ㅡ 의무복무 제대군인 국가보훈 영역에 포함 추진

    국가보훈처(보훈처)는 30일 “병역의무 이행을 위해 헌신한 의무복무 제대군인의 실질적 지원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제대군인지원에 관한 법률(제대군인법)’ 개정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번 개정법률안은 국가보훈 ...
    Date2021.12.30 Views494
    Read More
  5. 복합화기 원격사격통제체계 최초 전력화

    자동화 무기체계인 ‘복합화기 원격사격통제체계’를 장착한 해병대 상륙돌격장갑차. 사진 방위사업청 방위사업청(청장 강은호)은 한국 해병대 최초로 상륙돌격장갑차(KAAV)에 장착되어 운용되는 자동화 무기체계인 복...
    Date2021.12.30 Views533
    Read More
  6. 방위사업청, 합동화력시뮬레이터 전력화 완료

    해병대 장병들이 합동화력 시뮬레이터를 활용해 교육훈련을 진행하는 모습. 사진 방위사업청 제공 방위사업청(청장 강은호)은 기존 모의사탄관측장비(TSFO)를 대체하고, 포병·육군항공·함포·CAS(Close Air Support 근...
    Date2021.12.30 Views670
    Read More
  7. 해병대 상륙공격헬기, 국내 연구개발 확보 4500억 투자된다.

    해병대 상륙공격헬기가 국내 연구개발을 통해 확보되고 총 사업비 4500억이 투자된다. 제141회 방위사업추진위원회(이하 방추위)가 12월 27일(월) 개최된 제141회 방위사업추진위원회(이하 방추위)는 ‘함탑재정찰용/...
    Date2021.12.29 Views739
    Read More
  8. 국가보훈처, 국가유공자 자녀 보상금 지급연령 상향

    부모 모두 사망한 국가유공자 자녀,보상금 지급연령이 24세까지 상향된다 - 국가유공자법 개정안 28일 국무회의 의결 - 부모 모두 사망한 국가유공자 자녀의 실질적인 경제적 자립을 위해 보상금 지급연령을 24세까지...
    Date2021.12.28 Views829
    Read More
  9. 국가보훈처, 생전(生前) 안장심의제 확대 75세 유공자도 확인 가능

    국가보훈처는 생전(生前)에 국립묘지 안장대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국립묘지 생전 안장심의’ 신청 가능 연령을 2022년 1월 1일부터 기존 80세 이상에서 75세 이상으로 확대 시행한다고 밝혔다. 국가보훈처는 이 ...
    Date2021.12.28 Views28616
    Read More
  10. 군의관 자리 마다하고 현역병 선택한 의사쌤

    우리 부대 명품 전우를 소개합니다-시즌2 / 육군특전사 비호부대 최우재 병장 국방일보 2021. 12. 26 인터넷 국제보건기구서 사회적 약자 돕는 게 꿈 전역 전 휴가 반납 코로나 파견 임무 수행 많은 사람 만나 시행착...
    Date2021.12.26 Views1338
    Read More
  11. 국군복지단 황금마차 장병·지역 맞춤형으로 진화

    육군32보병사단 해안대대 예하 소초에 근무하는 병사가 장바구니에 물품을 가득 채운 뒤 이동마트 차량을 내려오며 환하게 웃고 있다. 국방일보 양동욱 기자 [국방일보 2021. 12. 24 인터넷] 흔히 황금마차라 불리는 ...
    Date2021.12.24 Views950
    Read More
  12. 해군 2021년도 후반기 해군주요지휘관회의

    23일 해군본부에서 열린 해군 주요지휘관회의에서 김정수(가운데) 참모총장을 비롯한 참석자들이 국기에 경례하고 있다. 해군 제공 해군이 2022년에도 ‘비전 2045’인 ‘해양강국, 대양해군’ 구현과 국민에게 신뢰받는 ...
    Date2021.12.23 Views673
    Read More
  13. 이성열 중장, 57대 해군사관학교장 취임

    20일 해군사관학교 연병장에서 거행된 제56·57대 해군사관학교장 이·취임식에서 신임 해군사관학교장 이성열 중장이 김정수(왼쪽) 해군참모총장으로부터 부대기를 이양받고 있다. 부대 제공 57대 해군사관학교장에 이...
    Date2021.12.21 Views767
    Read More
  14. 20㎜ 견인대공포 대체할 ‘30㎜ 차륜형 대공포’ 야전 배치 시작

    야전 배치를 시작한 30㎜ 차륜형 대공포 사격 모습. 차륜형 대공포는 20㎜ 견인대공포와 비교해 사거리가 1.2㎞ 이상 증가했을 뿐만 아니라 주·야간 자동추적·정밀 사격이 가능하다. 방사청 제공 우리 군에 도입된 지...
    Date2021.12.18 Views519
    Read More
  15. 바다 내비게이션(지능형 해상교통정보체계)으로 해상안보 강화 나선다

    서욱(오른쪽) 국방부 장관과 박지원(가운데) 국가정보원장, 문성혁 해양수산부 장관이 14일 국방부 청사에서 ‘해양안전 및 해상안보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 뒤 협약서를 들어 보이고 있다. 국방부 제공 [국...
    Date2021.12.18 Views457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 201 Next
/ 201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