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군특수전사령부 독수리부대, 설한지 극복훈련 1.jpg

육군특수전사령부 독수리부대 악돌이대대 특전요원이 11일 강원도 평창군 황병산 일대에서 ‘설한지 극복훈련’의 하나인 저격 훈련을 하고 있다.

 

 

육군특수전사령부 독수리부대, 설한지 극복훈련 2.jpg

 

특전요원들이 설한지 극복훈련의 일환으로 특공무술을 하고 있다. ‘일격필살’이라는 말에 맞게 요원들의 공격은 빠르고 정확했다.

 

육군특수전사령부 독수리부대, 설한지 극복훈련 3.jpg

육군특전사 최재만 상사(진)가 포승줄을 들고 상대 경계병을 제압하기 위해 다가가고 있다.

 

 

육군특수전사령부 독수리부대, 설한지 극복훈련 4.jpg

 

특공무술에서 특전요원들은 보이지 않을 만큼 빠르게 대검을 휘둘렀다.

 

육군특수전사령부 독수리부대, 설한지 극복훈련 5.jpg

특공무술 훈련 중인 특전요원이 준비자세를 취하며 교관의 지시를 기다리고 있다.

 

 

육군특수전사령부 독수리부대, 설한지 극복훈련 6.jpg

 

특전요원들이 수풀이 우거진 눈길을 헤치며 이동하고 있다.

 

육군특수전사령부 독수리부대, 설한지 극복훈련 7.jpg

설상복 위에 길리슈트를 입은 특전요원이 다기능관측경으로 저격 임무에 필요한 수치를 확인하고 있다.

 

 

극복(克服). 국어사전은 이 단어의 뜻을 두 가지로 설명한다. ‘악조건이나 고생 따위를 이겨냄’이 첫 번째, ‘적을 이기어 굴복시킴’이 두 번째다. 육군특수전사령부(특전사) 독수리부대가 지난 8일부터 오는 17일까지 강원도 평창군 황병산 훈련장에서 진행하고 있는 설한지 극복훈련은 기자에게 ‘극복’의 두 가지 뜻 모두를 떠올리게 했다. 특전요원들은 혹한·강풍·강설 등의 악조건을 뚫고, 특전사 본연의 역할에 맞는 어떠한 임무도 완수하기 위한 훈련에 매진하고 있었다.


정찰감시·목표 타격 등 특수작전 능력 배양

특전사는 지난 1963년 1월부터 특전요원들의 동계작전 수행 능력을 높이기 위한 설한지 극복훈련을 이어오고 있다. 올해 훈련에서도 특전요원들은 체감온도 영하 30도의 혹한을 뚫고 실전에 적용할 수 있는 전투기술을 연마하고 있다. 모든 훈련은 코로나19·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방역대책을 준수한 가운데 이뤄지고 있다.

훈련장소인 황병산 일대는 해발 1407m의 고지대로, 6·25전쟁 당시 혹한의 추위로 국군과 미군에게 큰 피해를 안겨준 장진호 지역과 비슷한 지형조건을 갖췄다. 특전요원들은 이곳에서 은거지 활동과 정찰감시, 목표 타격 등 다양한 특수작전 및 전술훈련 능력을 배양하고 있다.

부대는 본격적인 훈련에 앞서 지형정찰과 사전 간부교육, 팀·지역대별 훈련 등 성과를 높이기 위한 사전준비도 철저하게 했다. 훈련에 돌입해서는 공중침투훈련과 적 후방지역 침투, 전술스키훈련, 팀 단위 전술훈련 등을 실전같이 하고 있다. 훈련이 끝난 후에는 각 특전요원들이 작성한 작전일지를 바탕으로 사후강평을 하고 발견한 미비점을 평가·보완할 예정이다.


“전우들과 함께하며 어려움 이겨내”

훈련장에서 만난 특전요원들은 남은 기간 동안 실전과 같은 전투기술을 연마하겠다는 각오를 밝혔다.

요원들의 입에서 ‘전우’ ‘전우애’라는 단어가 심심치 않게 나온 점도 인상적이었다.

최재만 상사(진)는 “남은 훈련들이 쉽지 않기에, 선배들이 더욱 전우애를 발휘하고 솔선수범하며 후배들을 이끌어주려는 분위기다”고 말했다.

윤해준 하사도 “전우들이 있기에 한계를 시험하는 듯한 추위를 이겨내며 훈련할 수 있었다”며 “강한 전투력은 사람에게서 나온다는 생각으로 앞으로도 전우들과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rnrqkddlfqh 극복(克服). 국어사전은 이 단어의 뜻을 두 가지로 설명한다. ‘악조건이나 고생 따위를 이겨냄’이 첫 번째, ‘적을 이기어 굴복시킴’이 두 번째다. 육군특수전사령부(특전사) 독수리부대가 지난 8일부터 오는 17일까지 강원도 평창군 황병산 훈련장에서 진행하고 있는 설한지 극복훈련은 기자에게 ‘극복’의 두 가지 뜻 모두를 떠올리게 했다. 특전요원들은 혹한·강풍·강설 등의 악조건을 뚫고, 특전사 본연의 역할에 맞는 어떠한 임무도 완수하기 위한 훈련에 매진하고 있었다.


정찰감시·목표 타격 등 특수작전 능력 배양

특전사는 지난 1963년 1월부터 특전요원들의 동계작전 수행 능력을 높이기 위한 설한지 극복훈련을 이어오고 있다. 올해 훈련에서도 특전요원들은 체감온도 영하 30도의 혹한을 뚫고 실전에 적용할 수 있는 전투기술을 연마하고 있다. 모든 훈련은 코로나19·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방역대책을 준수한 가운데 이뤄지고 있다.

훈련장소인 황병산 일대는 해발 1407m의 고지대로, 6·25전쟁 당시 혹한의 추위로 국군과 미군에게 큰 피해를 안겨준 장진호 지역과 비슷한 지형조건을 갖췄다. 특전요원들은 이곳에서 은거지 활동과 정찰감시, 목표 타격 등 다양한 특수작전 및 전술훈련 능력을 배양하고 있다.

부대는 본격적인 훈련에 앞서 지형정찰과 사전 간부교육, 팀·지역대별 훈련 등 성과를 높이기 위한 사전준비도 철저하게 했다. 훈련에 돌입해서는 공중침투훈련과 적 후방지역 침투, 전술스키훈련, 팀 단위 전술훈련 등을 실전같이 하고 있다. 훈련이 끝난 후에는 각 특전요원들이 작성한 작전일지를 바탕으로 사후강평을 하고 발견한 미비점을 평가·보완할 예정이다.


“전우들과 함께하며 어려움 이겨내”

훈련장에서 만난 특전요원들은 남은 기간 동안 실전과 같은 전투기술을 연마하겠다는 각오를 밝혔다.

요원들의 입에서 ‘전우’ ‘전우애’라는 단어가 심심치 않게 나온 점도 인상적이었다.

최재만 상사(진)는 “남은 훈련들이 쉽지 않기에, 선배들이 더욱 전우애를 발휘하고 솔선수범하며 후배들을 이끌어주려는 분위기다”고 말했다.

윤해준 하사도 “전우들이 있기에 한계를 시험하는 듯한 추위를 이겨내며 훈련할 수 있었다”며 “강한 전투력은 사람에게서 나온다는 생각으로 앞으로도 전우들과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국방일보 글=최한영/사진=조종원 기자>

글=최한영/사진=조종원 기자



  1. 국방부,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군 전용승용차 운용개선

    국방부는 군 전용승용차 지원기준을 ‘실질적 필요직위’로 재정립하여 비전투병의 감축에 장성부터 솔선수범하는 노력을 적극 전개하기로 하였다. 국방부는 군 전용승용차 765대중 417대(55%)를 감축할 예정이다. 감축...
    Date2018.08.08 Views468
    Read More
  2. 국방부, 기무사 대체 군사안보지원사 창설준비단 공식 출범

    국군기무사령부를 대체할 ‘군사안보지원사령부’ 창설준비단이 6일 공식 출범했다. 국방부는 이날 “지금의 국군기무사령부를 해체하고 새로운 사령부를 신속히 창설하기 위해 ‘군사안보지원사령부 창설준비단’을 구성...
    Date2018.08.06 Views521
    Read More
  3. 군복무기간, 10월 1일 전역자부터 18~22개월로 단계적 단축

    국방부는 우리 군을 과학기술군으로 정예화하는 국방개혁의 일환으로 현재 21~24개월인 육·해·공군 및 해병대 병사들의 복무기간을 오는 10월 1일 전역자부터 단계적으로 18~22개월로 단축하기로 했다. 입대일을 기준...
    Date2018.08.05 Views557
    Read More
  4. 병 목무기간 단축 시행

    국방부는 병 복무기간 단축을 ’18.10. 1. 전역자부터 단계적으로 시행하기로 결정하였다. 입대일을 기준으로 ’17. 1. 3. 입대자부터 적용되며, 현재 군 복무중인 현역병도 혜택을 받게 된다. 복무기간은 3개월이 단축...
    Date2018.07.30 Views491
    Read More
  5. 해병대 헬기 추락사고 희생자 가족께 드리는 국방부장관의 글

    지난 7월 17일 상륙기동헬기 시험비행 중 추락사고로 순직한 해병 장병들의 희생에 깊은 애도를 표합니다. 마지막까지 임무에 최선을 다하다 유명을 달리한 이들 장병들은 국민을 위해 자신을 희생한 진정한 영웅들입...
    Date2018.07.20 Views432
    Read More
  6. 한미 6·25전쟁 전사자 68년 만에 고국으로

    지난 13일 국립서울현충원 현충관에서 열린 ‘한미 전사자 유해 상호 봉환 행사’에서 한미 장병들이 고(故) 윤경혁 일병의 유해와 신원이 확인되지 않은 미군의 유해를 운구하고 있다. 국방일보 양동욱 기자
    Date2018.07.15 Views403
    Read More
  7. 미 국방부 “림팩은 한미연합군사훈련 중단 대상 아니다”

    지난 2016년 다국적 연합훈련 림팩훈련에 참가하기 위해 출항하는 세종대왕함의 모습. 임영식기자 6.12북·미정상회담 후속조치로 을지프리덤가디언(UFG) 연습 등 한미연합훈련이 중단된 가운데 미국 해군이 주관하는 ...
    Date2018.07.01 Views562
    Read More
  8. 국방부 “한미 해병대연합훈련 KMEP 무기한 유예”

    국방부는 23일 “한미는 긴밀한 협의하에 향후 3개월 이내 실시될 예정이었던 2개의 한미 해병대연합훈련(KMEP·케이맵)을 무기한 유예키로 했다”고 밝혔다. 국방부는 “이는 북미정상회담과 남북정상회담의 후속조치”라...
    Date2018.06.24 Views413
    Read More
  9. 해군과 해병대 18일 오후 독도방어훈련…함정 6척·항공기 7대 동원

    <2013년 실시한 독도방어훈련에서 해병대원들이 독도에 상륙한 모습.> 해군과 해병대가 18일 오후부터 독도와 인근 해역에서 정례적인 독도방어훈련에 돌입한다. 이번 훈련은 19일까지 진행되며, 참가 전력은 3천200t...
    Date2018.06.18 Views693
    Read More
  10. 해군 병역명문가’, 엄현성 해참총장 주관 계룡대에서 첫 초청 행사

    해군 병역명문가로 선정된 가족들이 7일 계룡대에서 개최된 초청 행사에서 의장대를 사열하고 있다. 사진 =김상근 상사 해군은 7일 현역 장병 중 3대(代) 이상 해군·해병대에 복무한 가정을 ‘해군 병역명문가’로 선정...
    Date2018.06.07 Views686
    Read More
  11. 해군·해병대 사관후보생 124기 337명 장교 임관

    지난 1일 해군사관학교 연병장에서 거행된 124기 해군·해병대 사관후보생(OCS) 임관식에서 신임 소위들이 임관 선서를 하고 있다. 해군본부 제공 국가 안보 수호의 주역이 될 해군·해병대 사관후보생(OCS) 337명(해군...
    Date2018.06.03 Views1006
    Read More
  12. 국군수송사령부 항만운영단해병대 상륙지원대대 합동성 강화

    국군수송사령부 항만운영단 665항만대대 장병들과 해병대 군수단 상륙지원대대 장병들이 항만종합훈련 중 수송·하역 장비를 옮기고 있다. 항만운영단 제공 국군수송사령부 항만운영단이 해병대·해군·국군지휘통신사령...
    Date2018.05.16 Views2258
    Read More
  13. 해군 두 번째 대형수송함 ‘마라도함’ 진수

    14일 부산 영도구 한진중공업 영도조선소에서 열린 대형수송함 2번함 ‘마라도함’ 진수식에서 진수줄 절단 의식 후 기념 축포가 터지고 있다. 사진=국방일보 양동욱 기자 대한민국 해군의 두 번째 대형수송함(LPH: Lan...
    Date2018.05.16 Views454
    Read More
  14. 국방부, 육군·산업인력공단과 ‘국방분야 NCS 추진 대토론회’ 개최

    국방부, 육군, 한국산업인력공단이 공동 주관한 국방분야 국가직무능력표준(NCS) 추진 대토론회에 참석한 민·관·군 관계자들이 발표를 들은 뒤 박수를 치고 있다. 육군 제공 장병들이 군에서 쌓은 경력을 사회에서 인...
    Date2018.05.09 Views435
    Read More
  15. 30개월 복무 상병 만기전역자’ 병장 특별진급

    국방부가 베트남전 참전을 포함, 30개월 이상 의무복무에도 불구하고 상병으로 전역해야 했던 만기전역자들의 명예회복에 나선다. 국방부는 9일 “30개월 이상 의무복무자 병장 특별진급 등의 내용을 담은 특별법 제정...
    Date2018.05.09 Views632
    Read More
  16. 제8회 대한민국 호국미술대전

    육군은 대표적인 문화사업 ‘대한민국 호국미술대전’의 최우수상 훈격을 국무총리상으로 격상한다고 13일 밝혔다. 이날 육군은 ‘제8회 대한민국 호국미술대전 조직·운영위원 위촉식’을 열고, 올해 행사 준비에 본격적...
    Date2018.05.08 Views645
    Read More
  17. 국방·외교·통일·해수부 장관, 5일 연평도 백령도 찾아 '서해 평화수역' 주민 의견 청취

    송영무 국방부 장관(왼쪽부터)과 강경화 외교부 장관, 조명균 통일부 장관, 김영춘 해양수산부 장관이 5일 백령도 해병6여단을 방문해 간담회를 갖고 있다. 백령도·연평도=국방일보 조용학 기자 송영무 국방부 장관, ...
    Date2018.05.06 Views495
    Read More
  18. 해병대사령부 의무근무대 김성준·현동엽 상병 경기도 심폐소생술 경연대회 우수상

    해병대사령부 의무근무대 현동엽(왼쪽)·김성준 상병이 경기도 일반인 심폐소생술 경연대회에서 받은 우수상장을 들어 보이고 있다. 부대 제공 해병대는 해병대사령부 의무근무대 김성준·현동엽 상병이 최근 경기도 재...
    Date2018.04.24 Views729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76 77 78 79 80 ... 168 Next
/ 168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