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군 사고 초기 대응 난맥상 … 백령도 해병 현장까지 10분, 고속단정도 보유

 

해군이 천안함 사고 직후, 해경구조대를 1시간여 기다리는 동안 10분 지척에 있는 백령도 해병 6여단 수색대에는 공식 구조요청을 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백령도 해병 6여단 수색대 출신 전역장병들에 따르면, 백령도 해병부대에는 해군 UDT와 비슷한 특수부대인 수색대 조직이 따로 있으며, 이들은 전투훈련 때엔 수중 침투로 기뢰의 설치·해체·탐색 등을 주 임무로 하지만 평시엔 수중에서 민간 어선의 선체 수리작업, 스크루 해체작업, 해상 어민 구조작업 등을 한다는 것. 특히 이번 천안함 생존자 구조에 큰 공을 세운 고속단정도 2대 이상 보유한 것으로 알려졌다.

천안함이 침몰한 지점은 백령도 해안에서 남쪽으로 1마일(1.8km) 떨어진 곳. 3월 26일 밤 천안함 사고 직후 최원일 함장의 구조요청을 휴대전화로 받은 해군은 참수리급 함선 4척을 현장에 보냈지만, 침몰하는 1200t급 함선에 접안할 수 있는 고속단정이 없어 해경 구조선이 올 때까지 40~50분을 기다려야 했다. 따라서 침몰하는 천안함 선수 부분에 있던 58명의 생존자는 긴 시간을 벌벌 떨며 기다려야 했다. 해경의 고속단정이 도착했을 때는 이미 선미가 바닷속으로 사라진 뒤.

 

수색대 전역자들 “실종자 구하고 함미 일찍 찾았을 것”

해병수색대 출신 전역장병들은 “언론보도에 나오는 초기 구조 상황을 보고는 정말 어처구니없다는 생각이 들었다. 지척에 해상 인명구조에 이골이 난 백령도 해병수색대와 고속단정이 있었는데 해군이 해병대에 구조요청을 했다는 뉴스는 전혀 나오지 않았다”고 밝혔다. 한 백령도 출신 전역해병은 “백령도 남해안 1.8km 거리면 수색대가 출동 지시를 받고 군장과 구조 준비물을 꾸린 뒤 현장에 도착하기까지 10분이 채 걸리지 않는다. 고속단정이 시속 50km로 달린다면 해안에서 거기까지 1분 30초면 도착한다”고 전했다. 또 다른 전역해병은 “심지어 가라앉고 있는 배에서 어민을 구한 적도 있고, 바다에 떠다니는 시체 수습작업도 한 적이 있다. 해병수색대는 구조에서도 베테랑 중 베테랑”이라고 주장했다.

이들 전역장병이 특히 안타까워하는 점은 해군이 사고를 인지한 직후 특수구조 훈련을 받은 백령도 해병수색대에 구조요청을 했다면, 천안함의 함미가 침몰하기 전 사고 현장에 도착해 그 안에 있던 승조원을 몇 사람이라도 더 구조할 수 있지 않았겠냐는 것. 또한 구조는 못하더라도 함미가 침몰하기 전 가라앉는 함미 부분에 부표를 달아놓아 이후의 수중 수색과 실종자 구조에도 큰 도움이 됐으리라는 주장이다.

이에 대해 합동참모본부(이하 합참) 관계자는 “해병 6여단은 백령도 도서 방어가 주 임무다. 해병대에 별도로 현장에 와서 구조해달라고 요청을 하지 않은 것은 사실이다. 구조에 투입할 이유가 없었기 때문이다. 해상구조는 해경처럼 단정(고속단정)과 그것을 실어나르는 모함선이 있어야지 완벽하게 이뤄진다. 현장 상황에 정통한 지휘관이 해경이 (구조작업에) 더욱 적절하다고 판단한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합참의 이런 해명에도 전역해병들의 의혹은 수그러들지 않았다. 

“그 다급한 상황에 해경도 부르고 해병도 모두 부르면 큰일 납니까? 백령도 앞바다에서 반잠수정이나 무장공비와의 교전 상황이 벌어지지 않고서야 해병수색대가 출동하지 못할 이유가 없습니다. 이해가 안 됩니다.” (끝)

최영철 기자 ftdog@donga.com 손영일 기자 scud2007@donga.com



  1. 서해서 실전적 합동기동훈련

    함정 20척·항공기 50대·병력 4500명 투입 / 2010.08.05 우리 군의 육·해·공군·해병대 등 전군이 참가한 합동해상기동훈련이 5일부터 서해상에서 고강도로 펼쳐진다. 김경식(해군소장) 합참작전참모부장은 4일 “적의 ...
    Date2010.08.05 Views2681
    Read More
  2. 해군 교육사, 해군·해병대 준사관 수료·임관식

    황병진 준위 참모총장상 수상 해군 교육사령부는 30일 사령부 호국관에서 손정목 해군 교육사령관을 비롯한 해군 주요 지휘관 및 참모, 그리고 임관자 가족과 친지 등 15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해군ㆍ해병대 준사관...
    Date2010.08.03 Views5353
    Read More
  3. 동해에 몰려온다, 지옥의 군단 (한겨례21)

    한-미 연합 훈련, 북-중 코앞에서 미 7함대의 무시무시한 첨단무기 과시… 한반도에서 ‘신냉전’은 시작되는가 글 안수찬 기자 ahn@hani.co.kr· 김보협 기자 bhkim@hani.co.kr 사진 류우종 기자 wjryu@hani.co.kr 지구...
    Date2010.08.02 Views2869
    Read More
  4. 독도함을 치키는 한밤의 파수꾼

    모두가 잠든 시간. 함정에서는 잠들지 않는 이들이 있습니다. 출동 중에도 정박 중에도 함내 구석구석을 돌며 이상유무를 확인하는 안전당직자들이 바로 그들입니다. 제한된 공간 안에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격실과...
    Date2010.07.30 Views4137
    Read More
  5. 한미연합훈련 불굴의 의지

    지난 25일 시작된 ‘불굴의 의지’ 훈련은 해상 사격을 하는 등 점차 강도 높게 이어지고 있습니다. 한미해군의 멋진 훈련사진을 공개합니다 ! 대한민국 해군의 구축함인 문무대왕함과 최영함은 함포 사격에서부터 잠수...
    Date2010.07.30 Views4151
    Read More
  6. 독도함

    독도함 (사진출처 : 해군플리커)
    Date2010.07.30 Views2499
    Read More
  7. 2010 한미합동해상훈련

    2010 한미합동해상훈련 (사진:해군플리커)
    Date2010.07.30 Views3365
    Read More
  8. 북한지도체계 및 김정은 후계체계의 군부조직과 엘리트

    자료출처 : 합참 44호
    Date2010.07.28 Views1617
    Read More
  9. 하늘과 바다가르는 불굴의의지 작전

    26일 동해상에서 열린 한ㆍ미 연합훈련 ‘불굴의 의지’에서 미 항공모함조지워싱턴호와 아시아 최대 수송함인 독도함을 비롯한 미 구축함과 우리 초계함 등이 편대 운항을 하고 있다. 훈련 사흘째인 27일 양국은 동해 ...
    Date2010.07.28 Views3172
    Read More
  10. 무장장착훈련

    무장장착훈련 공군8전투비행단 / 2009 국방화보
    Date2010.07.26 Views5175
    Read More
  11. 고등비행훈련기 T-59와 T-38

    나란히 비행하고 있는 고등비행훈련기 T-59(왼쪽)와 T-38
    Date2010.07.26 Views5588
    Read More
  12. 호크미사일 발사장면

    서해안 공군사격장에서 발사되고 있는 호크미사일
    Date2010.07.26 Views6749
    Read More
  13. A-50의 공대공미사일발사장면

    국산 경공격기기 A-50의 AIM-9L 공대공미사일발사장면 국방화보 2005
    Date2010.07.26 Views3431
    Read More
  14. 육군15사단 비무장지대內 광심리계곡

    육군15사단 비무장지대內 광심리계곡의 여름풍경 / 국방화보 2005
    Date2010.07.25 Views7080
    Read More
  15. 한미 연합훈련 `불굴의 의지' 본격 돌입

    美 조지워싱턴 함·한국 독도함·F-22전투기 육·해·공군·해병대 병력 8000여 명 참여 /국방일보 이주형기자 2010.07.26 불굴의 의지(Invincible Spirit)로 명명된 한미 연합훈련이 시작된 25일 오전 우리 해군의 독도함...
    Date2010.07.25 Views419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Next
/ 193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