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해·공군·해병대 학군장교 임관식 1.jpg

지난달 26일 육군학생군사학교에서 열린 ‘2021년 학군장교 통합 임관식’에서 서욱 국방부 장관과 육·해·공군 참모총장, 해병대사령관, 신임 장교들이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육·해·공군·해병대 학군장교 임관식 2.jpg

축사하고 있는 서욱 국방부장관

 

육·해·공군·해병대 학군장교 임관식 3.jpg

미래 호국간성이 될 ROTC 신임 장교들이 임관식에서 국기에 대한 경례를 하고 있다.

 

 

미래 호국간성이 될 육·해·공군과 해병대 신임 소위 3739명이 임무 완수를 위한 첫발을 힘차게 내디뎠다.

육군학생군사학교(학군교)와 전국 117개 학생군사교육단(ROTC·학군단)은 지난달 26일 2021년 학군장교 임관식을 거행했다. 이날 오전 학군교에서 열린 통합 임관식은 서욱 국방부 장관이 주관했으며, 전국 117개 ROTC 대표 1명씩이 참석했다. 통합 임관식은 코로나19 상황을 고려해 가족과 외부 인사를 초청하지 않았으며, 국방홍보원 페이스북·유튜브를 통해 생중계됐다. 전국 117개 학군단은 이날 오후 자체 임관식을 개최했다.

이번에 임관한 신임 소위는 여군 375명을 포함해 육군 3388명, 해군 103명, 공군 129명, 해병대 119명이다. 이들은 대학 1·2학년 때 학군장교후보생으로 선발된 후 3·4학년 동안 전공 학위교육과 군사학·군사훈련, 임관종합평가 등의 과정을 거쳤다.

임관식에서 영예의 대통령상은 박관용(육군)·김민재(해병대)·배성우(공군) 소위가 수상했다. 박 소위는 “대통령상을 받게 된 2년 동안 든든한 버팀목이 되어 준 부모님과 동기들이 있었기에 가능했다”며 “초심을 잃지 않고 주어진 임무에 정진해 위국헌신 군인본분을 실천하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신임 장교들은 각 군 병과별 보수교육을 거쳐 일선 부대로 배치될 예정이다.

서 장관은 축사에서 “학군장교의 역사는 곧 국방의 역사이자 우리 국군과 대한민국의 발전사”라며 “이제는 신임 장교 여러분들이 학군 장교단의 빛나는 명예와 전통을 이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서 장관은 이어 “자신보다 부하와 임무를 먼저 생각하는 책임 있는 장교, 직무수행에 필요한 전문성을 갖추고 공정하고 정의롭게 행동하며, 솔선수범하는 리더로 성장하기를 바란다”며 “국민과 군의 기대에 부응할 수 있도록 투철한 책임감과 사명감으로 부여된 소임에 최선을 다해 달라”고 당부했다.

임관식에서는 화제의 인물이 풍성했다. 이충환 육군소위와 서현재 공군소위는 독립유공자 후손이다. 이 소위의 5대 조부(현조부·玄祖父)인 고(故) 이긍하 선생은 조선 말기 의병장 원용팔의 참모장으로 강원도 영월 일대에서 활동했다. 정부는 선생의 공적을 기리기 위해 2018년 3월 1일 건국포장을 수여했다. 이 소위는 “대대로 이어온 독립정신을 계승해 국가와 국민에 충성을 다하는 군인이 되겠다”고 전했다.

서 소위의 고조부 고 서효신 선생은 국권 회복을 위한 의병활동을 했으며, 감은리 전투에서 큰 공을 세워 1996년 건국포장을 추서 받았다.

6·25전쟁 참전유공자인 조부의 뒤를 이어 장교의 길을 걷게 된 인원도 있다. 박범진 육군소위의 조부 박준근 옹은 6·25전쟁 당시 낙동강 다부동 전투와 백마고지 전투 등에 참전해 육군대위로 전역했으며, 화랑무공훈장을 받았다. 박준영 육군소위의 조부 고 박성식 옹은 6·25 때 멸공전선 전투 등에서 전공을 세워 화랑무공훈장을 받았다. 임태건 육군소위의 조부 고 임광수 옹도 6·25 참전용사로 저격능선 전투에 참전해 화랑무공훈장을 받았다.

유호종 공군소위의 조부 고 유희병 옹은 전투경찰로 6·25 낙동강 전선 전투 등에 참전했다. 황대영 해병소위의 조부 고 황회현 소령은 백마고지 전투 등지에 참전해 화랑무공훈장을 2회 받았다. 황 소위의 아버지는 전문사관 3기 육군 대위로 전역해 3대(代) 장교 가족이 됐다.

김민겸·임재우·윤재준 육군 소위는 3대가 학군장교 출신이다. 김 소위의 할아버지(김선태)는 학군 7기, 아버지(김영찬)는 학군 34기다. ▶관련기사 10면

임 소위의 할아버지(임종무)는 학군 3기, 아버지(임인호)는 학군 31기다. 윤 소위의 할아버지(고 윤정식)는 학군 7기, 아버지(윤진욱)는 학군 32기다.

김상엽·강태웅 육군소위와 박지수 공군소위도 3대 장교 가족이 됐다. 김 소위의 할아버지(김화일)는 갑종장교 출신으로 베트남전쟁 참전무공포장, 보국포장 등을 받았다. 작은아버지 김위득 중령은 학군 33기로 한미연합사령부 작전참모부에서 근무하고 있다. 강 소위도 할아버지(강석철·갑종장교)와 아버지(강유권·학군 27기)의 뒤를 이어 장교로 임관했다. 박 소위의 외할아버지(이진길)는 육군중령으로 예편했으며, 아버지(박형건)는 현역 공군대령이다.

같은 대학 학군장교 출신의 아버지와 아들·딸도 눈길을 끌었다. 군산대학군단 조현우 육군소위의 아버지는 현재 합동참모본부에 근무하는 조정남 육군중령이다. 조 소위의 여동생(조현아) 역시 군산대학군단 61기 후보생이다. 이들 가족은 이웃을 위한 생명 나눔에도 정성을 다해 귀감이 되고 있다. 아버지 조 중령은 헌혈 명예대장(207회)을 받았으며, 가족의 헌혈 횟수는 387회에 달한다. 조 중령과 조 소위는 조혈모세포를 기증했다.

예비 공군 3부자도 탄생했다.

윤태민 공군소위가 주인공으로 윤 소위의 아버지 윤유준 준위는 18전투비행단에서 항공기 기체정비 준사관으로 근무 중이다. 형 윤태성은 오는 5월 공군 부사관 239기로 임관할 예정이다.

3개의 군번을 갖게 된 장교도 있다.

태형준 육군소위는 2016년 6월 51사단에서 소총수로 복무하다 전문하사에 지원해 동원업무지원담당관으로 임무를 수행했다. 전문하사로 근무하던 2018년 장교의 꿈을 갖고 휴학 중이던 대학의 학군장교에 지원했다. 임성욱(형)·임성환(동생) 육군소위는 쌍둥이 형제로 동시에 임관했으며, 서명철 육군소위는 임관을 앞두고 치러진 상명대학교 졸업식에서 전체 수석을 차지해 문무(文武)를 갖춘 장교라는 평가를 받았다. <국방일보 글=윤병노/사진=조종원 기자>



  1. 한국형상륙돌격장갑차(KAAV)에 오른 안규백 국방위원장

    안규백 국회 국방위원장(오른쪽)이 10일 해병대2사단을 방문해 한국형상륙돌격장갑차(KAAV)를 시승하고 있다.
    Date2018.12.11 Views437
    Read More
  2. 남북 한강하구 공동 수로조사 완료

    경기도 파주시 만우리에서 인천시 강화군 말도에 이르는 한강하구 수역이 ‘평화와 협력의 길’로 변모한다. 남북은 9일 지금까지 교류와 접촉이 없었던 한강하구의 물길을 확인하고 현장에서 손을 맞잡았다. 국방부는 ...
    Date2018.12.09 Views524
    Read More
  3. [국방해설] 2019국방예산 46조 6971억 원 어디에 쓰나

    내년 2019년도 국방예산은 46조 6971억 원으로 확정됐다. 이를 살펴보면 남북 화해무드 속에서도 북한의 핵과 대량살상무기(WMD)에 대응하는 한국형 3축체계 구축 등과 관련한 예산이 증액된 것이 크게 주목된다. 전...
    Date2018.12.09 Views620
    Read More
  4. 2019년 국방예산 46조6971억 원

    내년에도 변함없이 추진되는 국방개혁 2.0의 든든한 재정적 뒷받침이 마련됐다. 국방부는 8일 “2019년도 국방예산이 국회 의결을 거쳐 전년보다 8.2% 증가한 46조6971억 원으로 확정됐다”고 밝혔다. 이 증가율은 지난...
    Date2018.12.09 Views272
    Read More
  5. 정경두 국방부 장관, 연말 전군주요지휘관회의 주관

    정경두 국방부 장관이 5일 국방부에서 열린 ‘2018 연말 전군주요지휘관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정 장관은 이날 취임 후 처음으로 ‘전군주요지휘관회의’를 주관했다. 이경원 기자 정경두 국방부 장관이 전군...
    Date2018.12.06 Views261
    Read More
  6. 신형상륙함 4번함 ‘노적봉함’ 취역

    해군 신형상륙함(LST-II) 네 번째 함정인 4900톤급 ‘노적봉함’의 취역식이 열린 3일 진해해군기지에서 승조원들이 경례하고 있다. 국방일보 한재호 기자 포근한 날씨를 보인 3일 오후 2시 진해 군항 서해대. 빨간색과...
    Date2018.12.04 Views749
    Read More
  7. 국방부 후반기 장성급 인사 발표… 합참차장에 원인철 공군중장

    국방부는 22일 정부가 단행한 후반기 장성급 장교 인사를 발표했다. 정부는 김정수·안준석·이진성·윤의철 등 4명의 육군소장을 중장으로 진급시켜 육군특수전사령관과 군단장으로 임명했다. 또 권혁민·김종삼·박기경·...
    Date2018.11.22 Views809
    Read More
  8. ‘해군 암호전투기량 경연대회’ 개최

    지난 20일 해군본부 중회의실에서 열린 ‘해군 암호전투기량 경연대회’에서 참가자들이 주어진 단어를 암호로 조립하고 있다. 사진 제공=서종필 군무주사 해군 최고의 암호 전문가가 선발됐다. 해군은 22일 해군본부 ...
    Date2018.11.22 Views476
    Read More
  9. 차기상륙함 4번함 ‘노적봉함’ 해군에 인도

    방위사업청이 21일 울산 현대중공업에서 차기상륙함 4번함인 ‘노적봉함’을 해군에 인도했다. 사진 제공=방위사업청 방위사업청이 21일 울산 현대중공업에서 차기상륙함(LST-II) 4번함인 ‘노적봉함’을 해군에 인도했다...
    Date2018.11.22 Views267
    Read More
  10. 일과이후 ‘병 개인휴대폰 사용’ 관련 民‧軍 토론회 개최

    국방부는 11월 21일(수) 15시 국방컨벤션 회의실에서 장병과 국민이 참여한 가운데 ‘병 개인휴대폰 사용’에 대한 민(民)‧군(軍) 토론회를 개최한다. 국방부는 사회와의 소통과 자기개발 기회 확대 등을 위해 부대 내...
    Date2018.11.15 Views340
    Read More
  11. 병과 명칭 개정 관련 「군인사법 시행령」 일부개정안 입법예고

    국방부는 11월 14일, 병과 명칭 개정을 위한 「군인사법 시행령」 일부개정안을 입법예고한다. 이번 개정안은 시대변화에 맞지 않는 구시대적 명칭을 개선하고, 현재 수행 중인 병과의 임무를 정확히 표현하는데 주안점...
    Date2018.11.13 Views292
    Read More
  12. 남북, 시범철수 GP 병력·화기 철수 완료

    국방부는 11일 “지난 10일부로 남북은 시범철수하기로 합의한 비무장지대 내 GP의 모든 화기와 장비, 병력 등을 철수했다”고 밝혔다. 사진은 시범철수 GP 장병들이 철수를 위해 철문을 닫고 있는 모습. 국방부 제공 ...
    Date2018.11.11 Views230
    Read More
  13. DMZ 내 화살머리고지에서 유해 추가 발견

    □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이하 ‘국유단’)은 ‘9.19. 남북 군사합의서’의 남북공동유해발굴 이행을 위한 지뢰제거 및 도로개설 작업 중 화살머리 고지에서 3번째와 4번째 유해를 추가로 발견하였습니다. □ 3번째 유해(...
    Date2018.11.07 Views276
    Read More
  14. 실미도 공작원 유해 매장지 제보자를 찾습니다.

    □ ‘실미도 사건’은 대북침투작전을 목적으로 창설된 실미도부대가 1971년 8월 23일 가혹한 훈련과 부당한 처우에 반발해 부대를 탈출하여 서울로 향하던 과정에서 다수의 사망자가 발생한 불행한 과거사입니다. □ 사...
    Date2018.11.07 Views371
    Read More
  15. 육·해·공군 사관생도, 첫 해외 합동순항훈련

    3군 합동순항훈련전단 참모들이 지난 24일 진해군항에 정박해 있는 훈련함정 앞에서 파이팅을 외치며 훈련 성공 결의를 다지고 있다. 왼쪽부터 윤효은(육군소령) 간호장교, 송재우(공군대위) 의무참모, 이상훈(해군소...
    Date2018.10.31 Views849
    Read More
  16. ‘군인의 지위 및 복무에 관한 기본법 시행령’ 일부 개정안 시행

    ● 임신·출산·육아 관련 달라지는 것들 만 5세 이하 자녀 부모, 24개월 범위 내 하루 최대 2시간 육아시간 여군 출산휴가 분할사용 대상 연령 40세 이상→35세 이상 임신 중인 모든 여군 하루 2시간 모성보호시간 보장 ...
    Date2018.10.30 Views520
    Read More
  17. 해군2함대 5특전대대·해병대2수색대대 합동훈련

    24일 해군2함대에서 실시한 해군2함대 5특전대대와 해병대2수색대대의 협동훈련에서 장병 약 20명이 선박 검문검색 훈련을 하고 있다. 사진=최호진 중사 해군2함대 5특전대대가 23일과 24일 양일간 해병대2수색대대와...
    Date2018.10.25 Views620
    Read More
  18. 국방부 과장급 인사

    국방부 과장급 인사 □ 국방정책실 국제정책관실 국제평화협력과장 서기관 김 기 영 전력자원관리실 군수관리관실 물자관리과장에 보함. □ 전력자원관리실 군수관리관실 물자관리과장 서기관 유 정 율 전력자원관리실 ...
    Date2018.10.19 Views36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74 75 76 77 78 ... 168 Next
/ 168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