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병대 최초 세 쌍둥이 빨간 명찰 탄생.jpg

해병대 최초로 세쌍둥이 해병대원이 된 김용호·용환·용하 이병(왼쪽부터)이 서해수호 의지를 다지며 거수경례를 하고 있다. 사진 부대 제공

 

 

해병대 최초 세쌍둥이 해병대원이 탄생했다.

 

8일 해병대 교육훈련단 연병장에서 열린 신병 1267기 수료식에 김승학 교훈단장이 해병자격을 선포함으로서 1267기 1154명의 해병이 탄생했다. 

 

특히 이날 수료식에서는 세쌍둥이 김용호·용환·용하 이병이 7주간의 혹독한 훈련을 마치고 함께 해병대의 일원이 되어 화제를 모았다.

 

이들 세쌍둥이는 해병 1203기로 연평도에서 복무했던 큰 형 김동화 예비역 병장의 추천으로 해병대 입대를 결심하고 나란히 대학교 1학년에 재학 중 같은 기수로 입대지원서를 제출했다. 한날한시에 태어난 세쌍둥이가 입대도 한날한시에 한 것. 또한 큰 형에 이어 4형제가 해병대 가족이 되는 진기록도 갖게 됐다.

 

첫째 김용호 이병은 “연평도 포격전 당시 초등학교 6학년이었지만, 안보 현실에 큰 걱정을 했던 기억이 있다”며 “이후 연평도에서 나라를 지키는 형의 모습을 보고 해병대가 되겠다고 결심했다”고 입대 소감을 밝혔고, 둘째 김용환 이병은 “연평도 포격전 수기집을 읽으며 해병대를 선택한 나 자신이 자랑스러웠다”며 “두 형제뿐 아니라 함께 훈련받은 동기의 도움이 있었기에 극한의 훈련을 무사히 마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셋째 김용하 이병은 “학교 다닐 때도 서로 모르는 것을 알려주고 도와주며 큰 도움이 됐다”며 “해병대에서도 힘들 때 서로 도와주며 해병대의 가족 같은 단결력의 참 의미를 깨닫게 됐다”고 답했다.

 

어머니 백희정 씨는 “보물 같은 세쌍둥이가 7주간의 고된 훈련을 마치고 당당하게 수료해 자랑스럽다”며 “대한민국을 지켜내는 해병대원으로서 맡은 바 임무를 완수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세쌍둥이 해병들은 큰 형에 이어 해병대6여단에 배치받아 서해 최북단 백령도를 수호하게 됐다. 이들은 2주간의 상륙군통신운용병 교육을 마친 뒤 백령도로 배치될 예정이다.



  1. 국방부 과장급 인사

    □ 부이사관 염 주 성 국방정책실 정책기획관실 기본정책과장에 보함. □ 부이사관 박 과 수 전력자원관리실 군사시설기획관실 국유재산과장에 보함. □ 기술서기관 박 남 희 대변인실 정책홍보담당관에 보함. □ 서기관 ...
    Date2019.02.05 Views1685
    Read More
  2. 국방부. '평일 일과후 병 외출' 2월 1일부 전면시행

    국방부는 의무복무 중인 병사들에게 사회와의 소통창구를 확대하고, 작전·훈련준비 등을 위한 충분한 휴식 등을 보장하기 위해 2월 1일부로 ‘평일 일과후 병 외출’을 전면 시행한다. 2018년 8월부터 각 군의 13개 부...
    Date2019.02.05 Views1459
    Read More
  3. 개발시험비행조종사 교육과정에 여성 조종사 최초 선발

    개발시험비행조종사 교육과정에 여성 조종사 최초 선발
    Date2019.01.22 Views1288
    Read More
  4. 육군 해병대 공군 3개 군번 군인 탄생, 육군 항공운항 준사관 임관 오지성 준위

    지난 18일 육군항공학교에서 열린 항공운항 준사관 임관식을 통해 육·해·공군에서 모두 군번을 받은 첫 헬기 조종사가 된 오지성 준위가 500MD 헬기 앞에서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육군 제공 육·해·공군에서 각각의 ...
    Date2019.01.22 Views1894
    Read More
  5. 일과 후 휴대폰, 4월부터 전 부대 시범 적용

    일과 후 휴대폰 사용 시범운영 부대인 육군25사단 본부근무대 소속 병사가 생활관에서 휴대전화를 사용하고 있다. 양주=국방일보 양동욱 기자 장병들의 기본권을 보장하고, 군 복무여건을 획기적으로 바꿔놓을 ‘병 평...
    Date2019.01.17 Views1306
    Read More
  6. 국방백서로 본 北군사력…핵·미사일 고도화·재래전력 현상유지

    국방부는 15일 공개한 ‘2018 국방백서’를 통해 북한의 핵·미사일 능력은 2년 전에 비해 고도화했으나, 재래식 전력은 대체로 현상 유지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평가했다. 북한군에 대한 국방부의 평가 등이 담긴 국방...
    Date2019.01.15 Views902
    Read More
  7. 「2018 국방백서」 발간

    국방부는 국방정책을 홍보하여 국민의 알권리를 보장하고 군사적 투명성을 제고하기 위해 「2018 국방백서」를 발간하였다. 「2018 국방백서」는 1967년 이후 23번째로 발간되는 백서로 2016년과 동일한 총 7장의 본문으...
    Date2019.01.15 Views771
    Read More
  8. 국방홍보원 국방일보부장(경력개방형 직위) 공개모집

    국방부와 인사혁신처(중앙선발시험위원회)는 경력개방형 직위로 지정된 국방홍보원 국방일보부장을 공개모집한다. 국방홍보원 국방일보부장은 국방일보․국방저널․국방화보의 제작․발간, 국방관련 행사 사진촬영 및 기...
    Date2019.01.13 Views498
    Read More
  9. 2019~2023 국방중기계획

    국방부는 문재인 정부의 강력한 국방개혁 의지를 토대로‘평화와 번영의 대한민국을 힘으로 뒷받침하는 강한 군대’를조기에 구현하기 위해 향후 5년간 국방비의 연평균 증가율을 최근 10년간 국방예산 연평균 증가율인...
    Date2019.01.13 Views547
    Read More
  10. 2023년까지 국방비 270조원 투입…‘강한 군대’ 조기 구현

    한국형 전투기 ‘KF-X’ 형상. 방위사업청 제공 ‘강한 안보, 책임 국방’ 구현을 위해 올해부터 2023년까지 총 270조 7000억원의 국방비가 투입된다. 이 가운데 94조 1000억원이 방위력 개선을 위해 사용될 예정이다. 국...
    Date2019.01.11 Views435
    Read More
  11. 합동대, 합동기본정규과정 및 합동고급과정 입교식

    합동군사대학교 합동기본정규과정, 해군·해병대 정규특별과정 입교식 행사에서 교육생들이 힘차게 경례하고 있다. 사진 제공=유영임 상사 합동군사대학교가 7일 2019년 합동기본정규과정, 해군·해병대 정규특별과정과...
    Date2019.01.07 Views499
    Read More
  12. 국방부 “日, 초계기 위협비행 사과하고 사실왜곡 중단하라”

    지난달 20일 동해 상에서 우리 해군 광개토대왕함과 함께 구조작전을 펼치던 해경 5001함이 촬영한 일본 P-1 초계기(노란색 원 안)의 모습. 초계기가 상당히 낮게 비행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국방부 유튜브 캡...
    Date2019.01.07 Views355
    Read More
  13. 일본의 초계기 동영상 공개에 대한 국방부 입장

    지난달 20일 동해에서 구조작전을 하는 우리 해군 광개토대왕함을 일본 P-1 초계기가 촬영한 영상. 국방부에 따르면 당시 초계기는 광개토대왕함의 150m 위, 거리 500m까지 접근했다. 국방부 유튜브 캡처 국방부는 한...
    Date2019.01.07 Views278
    Read More
  14. 최첨단 ICT 기술 장착 ‘스마트 해군’ 힘찬 항해

    해군혁신, 기해년 무엇이 달라지나 2019년 해군이 해양강국으로 나아가기 위한 힘찬 항해를 시작한다. 역동하는 안보상황 속에서도 굳건한 안보태세를 확립하며 한반도 평화 정착을 견인해온 해군은 지난해 이룬 성과...
    Date2019.01.01 Views420
    Read More
  15. 대체복무 방안 ‘교정시설 36개월 합숙’ 결정

    헌법 19조에 따른 ‘양심의 자유’를 이유로 병역을 거부하는 이들의 대체복무 방안이 ‘교정시설 36개월’로 정해졌다. 국방부는 지난 28일 이런 내용을 담은 ‘병역법 개정안’과 ‘대체역의 편입 및 복무에 관한 법률안’...
    Date2018.12.31 Views330
    Read More
  16. [국방일보 2018포토 : 강군리포트] 더 강해진 필승해군·무적해병

    민·군 화합의 의미를 더해 제주에서 열렸던 ‘2018 대한민국 해군 국제관함식’은 해군의 올해 역점 사업이었다. 12개국 1만여 명의 외국 장병과 46개국 대표단이 참가한 이번 관함식에서 해군은 바다를 통해 세계 평화...
    Date2018.12.31 Views348
    Read More
  17. 국방부, 병 휴대전화 사용, 평일 외출 등 정책 추진방향 결정

    국방부는 병 휴대전화 사용, 평일 외출, 외박지역 제한 폐지 등 병영문화 혁신과 관련한 정책 추진방향을 결정하였다. 국방부는 병 휴대전화 사용, 평일외출, 외박지역 제한 폐지 등에 대해 그동안 일부 부대 시범 운...
    Date2018.12.27 Views288
    Read More
  18. 마린온 추락 사고 원인은 프로펠러 중심축 균열

    지난 7월 발생한 해병대 상륙기동헬기 마린온의 추락 사고 원인은 프로펠러에 동력을 전달하는 중심축인 로터마스트의 균열 때문인 것으로 최종 결론 났다. 마린온 추락 사고 민·관·군 합동조사위원회는 21일 “소재 ...
    Date2018.12.25 Views31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73 74 75 76 77 ... 168 Next
/ 168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