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덱스2021 1.jpg

2021국제해양방위산업전에 마련된 해군 경항공모함 전시관.

 

 

[국방일보 2021.06.18 인터넷] 최근 우리 군의 방위력개선사업에서 가장 핫(hot)한 이슈는 단연 경항공모함(경항모)이다. 지난 9일부터 12일까지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2021국제해양방위산업전(마덱스 MADEX·International Maritime Defense Industry Exhibition)에서 해군본부는 ‘경항공모함 전시관’을 마련, 경항모 확보의 당위성을 소개했으며 국내 조선업을 대표하는 대우조선해양과 현대중공업은 각각 제작한 개념설계 모형을 제시해 향후 경항모 건조사업에서의 뜨거운 수주 경쟁을 예고했다.

 

마덱스2021 2.jpg

 

2020년 12월 합동참모본부에서 필요성이 인정돼 소요가 결정된 이후 경항모 확보 당위성을 적극적으로 홍보해온 해군은 그 동안 개념설계를 통해 제작한 모형을 제시해 경항모에 대한 이해 도왔다.

 

해군의 개념설계 모형을 보면, 평갑판(flat deck)과 2개의 상부 구조물(island)를 설치한 길이 265m에 폭 43m의 3만톤급(경하톤수)의 크기의 경항공모함이다.

 

이는 해군이 운용하고 있는 대형수송함(LPH) 독도함의 길이 199.4m, 폭 30m에 배수량 1만4,500톤보다 훨씬 큰 규모이지만 중국의 6만톤급(길이 304m)의 중형항모 랴오닝함, 길이 7만톤급(길이 315m) 산둥함 그리고 350~380m로 추정되는 Type-003함의 8만5000톤급보다는 비교가 된다. 일본의 경우 헬기모함급이나 다름없는 길이 248m에 2만4000톤급의 이즈모함을 운용하고 있는데 곧 F-35B와 같은 수직 이착륙기를 운용할 수 있는 경항모로 개조될 예정이다.

 

 

     ■ 한국형 경항공모함 개념설계모델 비교

 

마덱스2021 3.jpg

마덱스2021 4.jpg

대우조선해양이 제시한 한국형 경항공모함 모델로서 125대1 크기의 모형이다.

 

 

대우조선해양은 경항공모함 건조와 관련해 2015년 ‘한국형 경항공모함 확보를 위한 선도형 핵심기술과제 발굴 및 로드맵 수립’과 2016년 ‘스텔스형 전투기가 적용된 건조 가능성 검토’ 등 해군이 발주한 각종 연구과제를 수행하면서 자체적으로 꾸준한 핵심기술 조사 분석을 통해 경항모 설계를 발전시켜왔다는 점을 강조했다.

 

대우조선해양이 제시한 모델은 평갑판에 2개의 아일랜드가 설치된 모습으로 해군의 개념설계 모델과 외관적으로 거의 유사하다. 다만 해군의 개념설계 모델과는 길이가 2m 가량 짧은 대신 폭이 4m 정도 넓다. 탑재 예정인 주요 무기체계의 배치도 약간 상이하다.

 

마덱스2021 5.jpg

대우조선해양의 소개 동영상에서 캡처한 항해 이미지. 

 

 

이와 관련, 대우조선해양 관계자는 “해군이 제시하고 있는 모든 요구조건(ROC)를 충족시키면서 운용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함정의 크기를 최대한 압축했다”면서 “특히 전투기가 일정 시간 내에 최대한 출격하는 출격가능횟수 즉 ‘소티 생성률(sortie generation rate)’에 중점을 두고 설계했다”고 설명했다. 

 

 

그 예로서 함재기를 갑판으로 이동시킬 엘리베이터를 함 우현으로만 배치해 효율적인 함재기 이동 동선을 설계에 반영하고 있다. 또한 최적의 항공기 운용을 위한 설계의 일환으로 함교에서의 효율적인 지휘통제를 위해 전방표시장치(Head Up Display)를 적용하고 있다.

 

 

마덱스2021 6.jpg

대우조선해양의 모델은 함재기를 비행갑판으로 이동시키는 엘리베이터를 우현쪽으로 배치하고 있으며(왼쪽), 함교의 작전요원들의 효율적인 지휘통제를 위해 첨단 전방표시장치(Head Up Display)를 적용하는 안을 제시했다. 사진=대우해양조선 영상 캡처.

 

 

마덱스2021 7.jpg

대우조선해양 경항모의 격납고 구성. 소개 영상 캡처. 

 

현대중공업은 함수에 스키점프(ski jump) 형식을 적용한 모델을 제시해 눈길을 ‘확’ 모았다. 해군이 이미 스키점프 형식이 아닌 일반 평갑판을 적용할 것이라고 밝힌 상태이기 때문이다. 스키점프대는 이탈리아의 카보우르함, 영국의 항공모함 퀸엘리자베스함 등에서 채택하고 있다.

 

마덱스2021 8.jpg

2021국제해양방위산업전에서 현대중공업이 제시한 경항공모함 모형을 관람하고 있다. 사진 = 양동욱 기자

 

 

1대 150 크기로 제시한 현대중공업 개발모델은 3만톤급으로 배수량 면에서 해군의 개념모델과 동일하고 역시 2개의 아일랜드 형식을 취하고 있지만 비행갑판 폭을 약 30% 확장한 전체길이 270m, 폭 60여m(비행갑판 길이 260m, 폭57m)의 크기이다.

 

현대중공업 관계자는 “해군의 개념설계 모델보다 함재기를 더 많이 운용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면서 “스키점프대를 추가한 것은 활주 길이를 감소시켜 함재기에 더 많은 무장과 연료를 탑재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경항모의 미래 확장성을 염두에 두고 향후 비행갑판의 개조/개조가 용이토록 설계했다”며, “이 경우 어레스팅 와이어(arresting wire)를 이용한 착륙이 가능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현대중공업의 모델은 함미에 무인항공기(UAV) 및 무인수상정·잠수정(USV·UUV)을 운용할 수 있는 공간/플랫폼도 제시하고 있다.

 

마덱스2021 9.jpg

현대중공업의 경항모 소개 영상에서 캡처한 격납고 내 항공기 정비.

 

마덱스2021 10.jpg

현대중공업 소개 영상에서 제시된 함미의 무인체계(UAV·UUV·USA) 운용 플랫폼. 

 

 

경항공모함은 기본적으로 함정을 공격하는 대함미사일을 방어할 미사일 및 발사체계를 비롯해 함정의 최종 수비수 근접방어무기체계(CIWS)-Ⅱ, 12.7mm 중기관총 그리고 대(對)유도탄기만체계와 어뢰음향대항체계(TACM), 전자전장비(재밍송신장치), 정밀접근레이더 및 중·장거리 관제레이더 등 갖추게 된다.

 

마덱스2021 11.jpg

대우조선해양이 개념모델에서 각종 탑재 무기체계를 배치한 사례. 

 

 

이번 MADEX에서는 경항모에서 다종의 미사일을 함께 발사할 수 있는 한국형 수직발사체계(KVLS·Korean Vertical Launching System)-Ⅱ을 한화시스템이, 근접방어무기체계로는 국내 개발될 30mm 개틀링기관포 기반의 CIWS-Ⅱ를 한화시스템과 LIG넥스원이 선보였다.

 

마덱스2021 12.jpg

    한화시스템이 선보인 한국형 수직발사체계(KVLS·Korean Vertical Launching System)-Ⅱ. 한국형 표준 수직발사대로서 다종의 미사일을 함정 내부에 탑재해 수직으로 발사한다.  

 

마덱스2021 13.jpg

   경항모를 비롯해 해군의 차기 구축함 등 주요 함정에 탑재하기 위해 국내 개발 근접방어무기체계(CIWS)-Ⅱ 사업을 수주하기 위해 한화시스템(왼쪽)과 LIG넥스원(오른쪽)이 각각 제시한 모델. 

 

 

경항공모함을 건조하는 데는 얼마나 들까. 해군은 2조여 원이 들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하지만 함정을 국내에서 건조하고 탑재되는 무기체계와 전투체계(combat system) 등을 국내 연구개발을 통해 획득하게 되므로 국내 산업발전에 기여하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경항모를 운영에 소요되는 비용은 연료비, 수리비, 정비비 등 수순 운영유지비만을 볼 때 연 500억 원 수준이 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이는 2021년 올해 해군예산의 약 0.06% 수준이다.

 

경항모 건조사업에는 약 10년이라는 장기간이 소요될 전망이다. 현재 경항모를 건조 운영하는 일이 적절한지를 검증하는 사업타당성조사를 비롯한 선행절차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후 기본설계 및 상세설계를 거쳐 본격적인 함 건조가 진행돼 2033년께 전력화가 이뤄질 것으로 해군은 전망하고 있다.  <국방일보 신인호기자>

 


TAG •

  1. 해군특수전전단, 해난구조 기본과정 65기 수료, 심해잠수사 47명 탄생

    28일 해군특수전전단 실내전투훈련장에서 열린 해난구조 기본과정 65기 수료식에서 진창한(대령·오른쪽) 교육훈련전대장이 성적 우수 수료생들에게 상장을 수여하고 있다. 사진 제공=황규수 상사 거행했다. 수료식에...
    Date2019.08.29 Views1071
    Read More
  2. 개정 군인사법시행규칙 내달 적용 , 이병~상병 진급최저복무기간 1개월씩 단축이병~상병 진급최저복무기간 1개월씩 단축

    다음 달부터 이병·일병·상병의 진급최저복무기간이 1개월씩 짧아진다. 국방부는 26일 “병 복무기간 단축에 따라 병 계급별 진급최저복무기간을 각 1개월씩 단축하는 내용으로 ‘군인사법시행규칙’을 개정해 다음 달 1...
    Date2019.08.29 Views426
    Read More
  3. 군, 동해 영토수호훈련 돌입

    우리 군이 25일 독도를 포함한 동해를 지키기 위한 입체적 훈련에 돌입했다. 해군은 이날 “세종대왕함(DDG-991) 등 해군·해경 함정 10여 척과 육·해·공군 항공기 10대, 육군·해병대 병력이 참가하는 ‘동해 영토수호훈...
    Date2019.08.25 Views242
    Read More
  4. 국방 분야 중소벤처기업 혁신 성장과 장병 취·창업지원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

    정경두(오른쪽) 국방부 장관과 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7일 국방부에서 열린 ‘국방 분야 중소벤처기업 혁신 성장과 장병 취·창업지원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식’에서 업무협약을 체결한 뒤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Date2019.08.07 Views233
    Read More
  5. [부고] 오철식(吳哲式) 전 국방홍보원장(11대) 별세

    오철식(예비역 해군 준장) 제11대 국방홍보원장이 8월 1일 저녁 11시 30분쯤 별세했다. 향년 64세. 고인은 해군사관학교 33기로 1979년 임관 이후 상륙함정 근무를 마치고 해군 정훈장교의 길을 걸었다. 해군 정훈장...
    Date2019.08.04 Views357
    Read More
  6. 국방부, 중‧러 군용기 방공식별구역(KADIZ) 진입 및 러시아 군용기 영공 침범에 대해 엄중 항의

    □ 국방부는 오늘(7.23.) 발생한 중국‧러시아 군용기의 방공식별구역(KADIZ) 진입 및 러시아 군용기의 영공 침범과 관련, 이진형 국방부 정책기획관이 오후 14시 30분에 주한 중국 국방무관(소장 두농이), 15시에 주한...
    Date2019.08.01 Views217
    Read More
  7. 국방부, 6․25전쟁 무공훈장 수여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정 보도자료

    □ 국방부는 「6·25전쟁 무공훈장 수여 등에 관한 법률」 시행과 동시에 시행령을 제정하여 2019년 7월 24일부터 2022년 12월 31일 까지 3년간 범 국가차원의 6·25전쟁 무공훈장 찾아주기 사업*을 전개합니다. * ‘6·25전...
    Date2019.08.01 Views193
    Read More
  8. 北 소형목선 27일밤 NLL 월선…군, 이송·예인 조치

    27일 밤 동해 NLL을 월선해 28일 우리 군에 예인된 북한 소형목선. 사진 = 합동참모본부 27일 밤 북한 소형목선이 동해 북방한계선을 넘어와 우리 군이 즉각 출동해 이송·예인했다. 합동참모본부는 28일 “27일 밤 23...
    Date2019.07.28 Views220
    Read More
  9. 합참 "北소형목선 27일밤 동해 NLL 월선" 발표

    지난 12일 오전 10시 37분께 강원도 고성군 거진1리 해안가에서 발견된 북한 소형목선. 목선 안에서 북한 주민은 발견되지 않았다. 사진 = 합동참모본부 제공 합동참모본부는 28일 오전, “27일 밤 북한 소형목선이 동...
    Date2019.07.28 Views189
    Read More
  10. 중.러 KADIZ 진입… 한미 “유사 상황 긴밀 협의”

    정경두(오른쪽) 국방부 장관이 24일 서울 용산구 국방부에서 존 볼턴 미국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보좌관을 만나 악수하고 있다. 정 장관과 볼턴 보좌관은 이날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평화정착을 위한 한...
    Date2019.07.24 Views191
    Read More
  11. 해군포항병원, 금연상담 석달 만에 1000명 돌파

    해군포항병원이 지난 4월부터 운영 중인 금연상담 프로그램에 참가한 장병들이 금연상담과 함께 일산화탄소 검사를 받고 있다. 부대 제공 해군포항병원은 지난 4월 9일 개설한 금연상담실이 전문성 있는 상담과 세심...
    Date2019.07.24 Views406
    Read More
  12. 평택 험프리스 기지에 한미동맹 상징조형물 설치 보도자료

    □ 국방부 주한미군기지이전사업단은 주한미군사령부‧주한미국상공회의소와 함께 7월 10일 오전 10시 30분, 평택 험프리스 기지에서 「한미동맹 상징조형물 제막식」을 개최하였습니다. ◦한미동맹 상징조형물은 한미동맹...
    Date2019.07.15 Views250
    Read More
  13. 해군 2함대 거동수상자 상황 발생 관련 수사결과 보도자료

    □ 지난 7월 4일(목) 22시 02분경 발생한 해군 2함대사령부 거동수상자 발견 상황과 관련 수사결과입니다. □ 국방부조사본부는 정경두 국방부장관 지시에 따라 7월 12일(금) 현장에 수사관 25명을 급파하여 수사본부를...
    Date2019.07.15 Views263
    Read More
  14. 제60기 해군· 해병대 준사관 후보생 수료·임관

    지난 5일 해군교육사령부 호국관에서 ‘제60기 해군·해병대 준사관 후보생 임관식’이 진행된 가운데 신임 준위들이 임관 선서를 하고 있다. 사진 제공=박미현 중사(진) 해군교육사령부가 지난 5일 부대 호국관에서 해...
    Date2019.07.10 Views616
    Read More
  15. 해군사관학교 연안실습전대 500여 명 독도 수호 결의

    해군사관학교 3학년 생도들이 지난 5일 연안실습의 하나로 독도를 방문한 가운데 독도 수호 결의대회에 참가해 결의문을 제창하고 있다. 부대 제공 신형 기뢰부설함 남포함(MLS-Ⅱ·3000톤급)과 신형 상륙함 일출봉함(L...
    Date2019.07.10 Views257
    Read More
  16. 북한 소형목선 상황 관련 국방장관 사과문

    □ 국방장관 사과문 존경하는 국민 여러분, 지난 6월 15일 북한 소형목선이 NLL을 남하하여 삼척항으로 입항하는 과정에서 우리 군이 이를 제대로 포착하여 경계하지 못하였고, 또한, 국민 여러분들께 이러한 상황을 ...
    Date2019.07.04 Views168
    Read More
  17. 정부, 해킹메일 예방 위해 만화로 보는 알기 쉬운 해킹메일 대처법 발간

    □ 정부는 공공기관이나 기업을 사칭하는 해킹메일로 인한 국민적 피해 방지를 위하여 관계부처 합동으로 「만화로 보는 알기 쉬운 해킹메일 대처법」을 제작⋅발간한다고 밝혔다. o 해킹메일은 해커가 공공기관, 기업 ...
    Date2019.07.04 Views299
    Read More
  18. 2019 전반기 해군·해병대 수송관계관 회의

    2019년 전반기 해군·해병대 수송관계관 회의가 24일 해군진해기지사령부 시설전대 대회의실에서 진행되고 있다. 해군 제공 해군이 24일과 25일 이틀간 해군진해기지사령부 시설전대 대회의실에서 ‘전반기 해군·해병대...
    Date2019.06.30 Views30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71 72 73 74 75 ... 168 Next
/ 168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