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 내비게이션.jpg

서욱(오른쪽) 국방부 장관과 박지원(가운데) 국가정보원장, 문성혁 해양수산부 장관이 14일 국방부 청사에서 ‘해양안전 및 해상안보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 뒤 협약서를 들어 보이고 있다. 국방부 제공

 

 

[국방일보 2021. 12. 14] 해양수산부(해수부)가 개발한 지능형 해상교통정보체계 ‘바다 내비게이션’이 해상안보에 활용된다.

 

국방부와 해수부, 국가정보원(국정원)은 14일 서울 용산구 국방부 청사에서 ‘해양안전 및 해상안보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식에는 박지원 국정원장과 서욱 국방부 장관, 문성혁 해수부 장관이 참석했다.

 

서 장관은 이 자리에서 “바다 내비게이션 체계는 군 작전 수행 능력을 향상하는데 기여하고 있고, 향후 모든 해안경계부대로 확대 운영하게 될 것”이라며 “관련 기능 업그레이드 등으로 더욱 완전성을 갖춘 체계로 발전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바다 내비게이션은 차세대 전자해도 표준 기반 시스템이다. 충돌·좌초 경보와 최적 항로 안내, 기상정보 제공 등의 기능을 갖추고 있다. 이번 협약에 따라 해수부는 해상교통정보와 안전정보 등을 제공하고, 국정원과 국방부는 △해양사고·재난 등 긴급 상황 때 신속한 대응 지원 △안보를 위한 선박 관련 정보공유 △지능형 해상교통정보체계 이용 활성화 등에 협력할 계획이다.

 

국정원과 국방부는 바다 내비게이션을 활용해 밀입국·테러 등과 연계가 의심되는 외국 국적 선박 불법행위 감시, 군 해안경계 역량 제고 등 해상안보 활동이 한층 강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업무협약을 맺은 3개 기관은 이 시스템이 향후 ‘해양안전·해상안보 통합 플랫폼’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지속 노력할 방침이다.

 

박 국정원장은 “이번 협약은 항만·국경보안 위협 요소를 감시·추적할 수 있는 정보공유 기반이 마련됐다는 데에 큰 의미가 있다”며 “해상안보 위협 관련 정보공유로 국민 보호와 국익 증진에 기여하겠다”고 강조했다.

 

문 해수부 장관은 “바다 내비게이션은 해양 안전뿐만 아니라 해상안보를 위한 관계기관의 활용에서도 매우 중요하다”며 “국가 차원에서 바다 내비게이션의 활용 가치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김철환 기자



  1. 제30대 해군작전사령관에 강동훈 중장 취임

    15일 부산 해군작전기지에서 열린 제29·30대 해군작전사령관 이취임식에서 부석종(왼쪽) 해군참모총장이 강동훈 신임 해군작전사령관에게 부대기를 이양하고 있다. 부대 제공 [국방일보] 강동훈 중장이 제30대 해군작...
    Date2021.12.16 Views421
    Read More
  2. 김정수 대장, 제35대 해군참모총장 공식 취임

    16일 계룡대 대연병장에서 열린 제34·35대 해군참모총장 이·취임식에서 서욱(왼쪽) 국방부 장관이 김정수 신임 총장에게 해군기를 이양한 뒤 악수하고 있다. 해군 제공 [국방일보] 김정수 대장이 제35대 해군참모총장...
    Date2021.12.16 Views409
    Read More
  3. No Image

    군 소음 피해주민 보상금 월 3만~6만 원 받는다

    비행장 등 90곳 소음대책지역 지정 내년 2월까지 지급 신청서 제출해야 [국방일보 2021. 12. 16] 대구비행장 등 군용비행장 41곳과 육군5군단 사격장 등 군 사격장 49곳 등 총 90곳이 소음대책지역으로 지정·고시됐다...
    Date2021.12.18 Views304
    Read More
  4. 바다 내비게이션(지능형 해상교통정보체계)으로 해상안보 강화 나선다

    서욱(오른쪽) 국방부 장관과 박지원(가운데) 국가정보원장, 문성혁 해양수산부 장관이 14일 국방부 청사에서 ‘해양안전 및 해상안보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 뒤 협약서를 들어 보이고 있다. 국방부 제공 [국...
    Date2021.12.18 Views442
    Read More
  5. 20㎜ 견인대공포 대체할 ‘30㎜ 차륜형 대공포’ 야전 배치 시작

    야전 배치를 시작한 30㎜ 차륜형 대공포 사격 모습. 차륜형 대공포는 20㎜ 견인대공포와 비교해 사거리가 1.2㎞ 이상 증가했을 뿐만 아니라 주·야간 자동추적·정밀 사격이 가능하다. 방사청 제공 우리 군에 도입된 지...
    Date2021.12.18 Views500
    Read More
  6. 이성열 중장, 57대 해군사관학교장 취임

    20일 해군사관학교 연병장에서 거행된 제56·57대 해군사관학교장 이·취임식에서 신임 해군사관학교장 이성열 중장이 김정수(왼쪽) 해군참모총장으로부터 부대기를 이양받고 있다. 부대 제공 57대 해군사관학교장에 이...
    Date2021.12.21 Views699
    Read More
  7. 해군 2021년도 후반기 해군주요지휘관회의

    23일 해군본부에서 열린 해군 주요지휘관회의에서 김정수(가운데) 참모총장을 비롯한 참석자들이 국기에 경례하고 있다. 해군 제공 해군이 2022년에도 ‘비전 2045’인 ‘해양강국, 대양해군’ 구현과 국민에게 신뢰받는 ...
    Date2021.12.23 Views592
    Read More
  8. 국군복지단 황금마차 장병·지역 맞춤형으로 진화

    육군32보병사단 해안대대 예하 소초에 근무하는 병사가 장바구니에 물품을 가득 채운 뒤 이동마트 차량을 내려오며 환하게 웃고 있다. 국방일보 양동욱 기자 [국방일보 2021. 12. 24 인터넷] 흔히 황금마차라 불리는 ...
    Date2021.12.24 Views858
    Read More
  9. 군의관 자리 마다하고 현역병 선택한 의사쌤

    우리 부대 명품 전우를 소개합니다-시즌2 / 육군특전사 비호부대 최우재 병장 국방일보 2021. 12. 26 인터넷 국제보건기구서 사회적 약자 돕는 게 꿈 전역 전 휴가 반납 코로나 파견 임무 수행 많은 사람 만나 시행착...
    Date2021.12.26 Views1200
    Read More
  10. No Image

    국가보훈처, 생전(生前) 안장심의제 확대 75세 유공자도 확인 가능

    국가보훈처는 생전(生前)에 국립묘지 안장대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국립묘지 생전 안장심의’ 신청 가능 연령을 2022년 1월 1일부터 기존 80세 이상에서 75세 이상으로 확대 시행한다고 밝혔다. 국가보훈처는 이 ...
    Date2021.12.28 Views28588
    Read More
  11. No Image

    국가보훈처, 국가유공자 자녀 보상금 지급연령 상향

    부모 모두 사망한 국가유공자 자녀,보상금 지급연령이 24세까지 상향된다 - 국가유공자법 개정안 28일 국무회의 의결 - 부모 모두 사망한 국가유공자 자녀의 실질적인 경제적 자립을 위해 보상금 지급연령을 24세까지...
    Date2021.12.28 Views807
    Read More
  12. 해병대 상륙공격헬기, 국내 연구개발 확보 4500억 투자된다.

    해병대 상륙공격헬기가 국내 연구개발을 통해 확보되고 총 사업비 4500억이 투자된다. 제141회 방위사업추진위원회(이하 방추위)가 12월 27일(월) 개최된 제141회 방위사업추진위원회(이하 방추위)는 ‘함탑재정찰용/...
    Date2021.12.29 Views707
    Read More
  13. 방위사업청, 합동화력시뮬레이터 전력화 완료

    해병대 장병들이 합동화력 시뮬레이터를 활용해 교육훈련을 진행하는 모습. 사진 방위사업청 제공 방위사업청(청장 강은호)은 기존 모의사탄관측장비(TSFO)를 대체하고, 포병·육군항공·함포·CAS(Close Air Support 근...
    Date2021.12.30 Views644
    Read More
  14. 복합화기 원격사격통제체계 최초 전력화

    자동화 무기체계인 ‘복합화기 원격사격통제체계’를 장착한 해병대 상륙돌격장갑차. 사진 방위사업청 방위사업청(청장 강은호)은 한국 해병대 최초로 상륙돌격장갑차(KAAV)에 장착되어 운용되는 자동화 무기체계인 복...
    Date2021.12.30 Views501
    Read More
  15. No Image

    국가보훈처ㅡ 의무복무 제대군인 국가보훈 영역에 포함 추진

    국가보훈처(보훈처)는 30일 “병역의무 이행을 위해 헌신한 의무복무 제대군인의 실질적 지원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제대군인지원에 관한 법률(제대군인법)’ 개정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번 개정법률안은 국가보훈 ...
    Date2021.12.30 Views452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 193 Next
/ 193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