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마고지 발굴유해.jpg

고 조응성 하사 유해발굴 현장 모습. 사진 국방부 제공

 


2021년 10월 28일 백마고지에서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이하 국유단)과 육군 5사단 장병들의 노력으로 발굴된 6·25전사자 유해가 고 조응성 하사(현재 계급 상병)로 확인되었다. 특히, 고인의 유해는 지난해 국방부 보도자료를 통해 국군전사자 추정 유해로 소개되기도 하였다.

이번 신원확인으로 2000년 4월 6·25전사자 유해발굴이 개시된 이후 총 185명의 국군전사자 신원이 확인되었으며, 비무장지대는 2018년 화살머리고지의 발굴 작전이 시작된 이래 화살머리고지에서 9명, 백마고지에서 2명의 전사자 신원이 확인되었다.

고인은 제9사단 30연대 소속으로 백마고지(△395고지) 전투에서 전사하신 것으로 추정된다. 백마고지 전투는 6·25전쟁 당시 철원 일대 백마고지를 확보하기 위해 국군 9사단이 중공군과 12차례 공방전으로 7차례나 고지의 주인이 바뀌는 접전이었고, 고인은 1952년 10월 중공군의 대규모 공세에 방어작전을 펼치던 중 전사한 것으로 추정된다. 

 

고인이 남긴 철모와 유골에는 전사 원인으로 보이는 흔적이 고스란히 남아있었다.

육군 5사단 발굴병이 기초발굴을 진행하던 중 고인의 볼기뼈 유해가 최초 식별되었고, 이후 유해발굴 감식병이 정밀 발굴을 실시한 결과, 개인호 바닥에 엎드린 자세로 잠들어 있던 고인의 유해가 발굴되었다. 발굴 당시 고인의 유해는 상반신만 발굴되었으며, 탄약류를 비롯한 개인 소장품으로 추정되는 만년필, 반지, 숟가락 등의 유품이 함께 발굴되었다.

발굴된 철모와 머리뼈에서는 한눈에 보아도 고인의 전사 원인으로 추정할 수 있는 관통 흔적이 발견되어 발굴에 참여한 장병들에게 안타까움을 더하였다.

고인의 신원확인은 ‘유가족의 유전자 시료 채취’가 있었기에 가능했다.

당초 만년필, 반지, 숟가락 등 고인의 소장품으로 추정되는 유품이 많이 발굴되어 이를 통한 신원확인의 기대감이 컸지만, 이름이 적혀있는 물건이 없었고, 반지에 음각된 문양도 마모가 심하여 정확한 모양을 식별하기 어려웠다.

국유단은 백마고지 유해발굴을 시작하면서 백마고지 전투 전사자 병적기록 등 자료조사를 통해 고인의 따님 조영자 님을 찾을 수 있었고, ’21년 10월 26일 기동탐문으로 채취한 따님의 유전자 시료가 이틀 후 발굴된 유해와 부녀관계로 확인되면서 신원이 확인되었다.

1928년 2월 1일, 경북 의성에서 3남 3녀 중 차남으로 태어난 고인은 부모님과 함께 착실히 농사를 지으며 가정을 꾸리던 중 전쟁이 나자 피난을 다녀와, 1952년 5월 아내와 5살, 3살배기 두 딸을 뒤로한 채 제주도 제1훈련소에 입대했다.

유가족 조영자 님은 신원확인 소식에 “우리 아버지 찾았습니까?”하고 감격하셨으며 신원확인 과정에 대해 자세히 설명드리자 “이제야 아버지를 찾았다는 실감이 난다.”고 소회를 밝히셨다.

조영자 님은 고인에 대해 “어느 날 아버지가 오징어를 사와 맛있게 먹었는데, 자녀들에게 이별을 고하는 심정으로 맛있는 것을 사주신 것 같아 그 모습을 잊을 수가 없다.”고 기억했다.

고 조응성 하사의 ‘호국의 영웅 귀환 행사’는 오늘(3.17.목) 인천 남동구에 위치한 딸 조영자 님의 자택에서 고인의 참전 과정과 유해발굴 경과를 설명하고 ‘호국의 얼 함’을 유가족 대표에게 전달하는 등의 순서로 진행될 예정이다.

6·25전사자 유가족의 시료채취 참여가 절실하다. 발굴되었지만 대조할 유가족의 유전자 시료가 없어서 신원이 확인되지 못한 전사자 유해가 1만여 구이며, 이들이 하루빨리 가족의 품으로 돌아가려면 유가족들의 유전자 시료채취가 절실하다.

유가족 유전자 시료채취와 전사자 유해 소재 제보에 많은 참여를 부탁드리며, 자세한 사항은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 대표전화 1577-5625(오! 6·25)로 문의하면 된다.

 



  1. 코로나19 관련 제11차 전군 주요지휘관 회의 개최

    서욱 국방부장관은 5월 7일(금) 오전 국방부에서 ‘격리장병 생활여건 보장’을 위한 제11차 전군 주요지휘관 회의를 주관하고 ① 휴가와 연계한 격리자 관리 개선방안, ② 격리장병 급식·시설환경 개선, ③ 훈련병 인권과...
    Date2021.05.09 Views213
    Read More
  2. 국방부, 일반국민 참여 장병 급식·피복 모니터링단 출범

    국방부는 5월 7일(금) 다양한 세대와 성별을 대표하는 일반국민 16명이 참여하는 제8기 대한민국 장병 급식·피복 모니터링단(이하 모니터링단) 발대식을 국방기술품질원 부설 방위산업기술진흥연구소 주관으로 개최하...
    Date2021.05.09 Views122
    Read More
  3. 국방부, 6․25전사자 신원확인 포상금 소급 지급 대상 유가족 초청행사

    자료사진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원들이 홍천 풍천리 무명725고지에서 유해발굴작업을 하고 있다. <사진 임영식기자>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이하 국유단)은 2000년 4월 시작된 6․25전사자 유해 발굴사업을 통해 신원...
    Date2021.05.05 Views187
    Read More
  4. 군 30세 이상 장병 1차 접종 내달 초 완료 계획

    30세 이상 장병 대상 코로나19 백신 1차 접종을 앞두고 27일 오후 서울 종로구 국군서울지구병원에서 이세린 간호장교가 백신 접종실 내부를 점검하고 있다. 국방일보 조용학 기자 [국방일보 2021.04.27[ 국방부가 28...
    Date2021.04.28 Views274
    Read More
  5. 보훈처, 국가유공자에 자율주행 스마트 휠체어 제공한다

    보훈처, 국가유공자에 자율주행 스마트 휠체어 제공한다 국가보훈처가 시연회에서 선보일 자율주행 휠체어 모형도. 보훈처 제공 국가보훈처가 국가를 위한 헌신을 잊지 않고 보답하는 나라를 구현하기 위한 지원 활동...
    Date2021.04.27 Views163
    Read More
  6. 상륙공격헬기, 우리 기술로 만든다…제135회 방추위 결과

    상륙공격헬기, 우리 기술로 만든다…제135회 방추위 결과 [국방일보 2021.04.26] 입체적인 고속 상륙작전 구현과 서북도서 방위 능력을 향상할 상륙공격헬기가 우리 기술로 만들어질 예정이다. 방위사업청은 26일 “제1...
    Date2021.04.27 Views168
    Read More
  7. 방위사업청, 자율주행 기능 탑재 무인수색차량 개발 본격 궤도

    방위사업청, 자율주행 기능 탑재 무인수색차량 개발 본격 궤도 탐색개발을 마친 무인수색차량의 모습. 무인수색차량은 통제차량(오른쪽)과 무인차량이 한 조를 이루며 통제차량 내부의 장치를 통해 무인차량을 원격조...
    Date2021.04.23 Views174
    Read More
  8. 해군 경항모 엔진, 재래식 추진체계로 결정

    지난 2월 4일 대전 유성구 충남대학교에서 열린 ‘해군-충남대 공동주최 경항공모함 세미나’에서 해군본부 기획관리참모부장 정승균 소장이 ‘경항공모함의 작전·전략적 유용성’에 대한 주제로 발표를 하고 있는 모습. ...
    Date2021.04.22 Views122
    Read More
  9. 선진해군 연중 공모전 개최

    해군은 21일부터 전 장병 및 군무원, 사관생도 등을 대상으로 선진해군 연중 공모전을 개최한다. 이번 공모전은 선진해군문화 정착을 위한 공감대 확산과 해군 전 구성원의 신념화·행동화를 목적으로 수필, 웹툰, 포...
    Date2021.04.22 Views159
    Read More
  10. 해군진해기지사령부, ‘시한부 경계작전태세 확립’ 추진 결과에 대한 전술토의

    해군진해기지사령부가 15일 ‘시한부 경계작전태세 확립’ 추진 결과에 대한 전술토의를 진행해 군사경찰단 김재용 대위가 의견을 개진하고 있다. 부대 제공 해군진해기지사령부(진기사)는 15일 해군사관학교, 교육사령...
    Date2021.04.19 Views237
    Read More
  11. 서욱 국방부장관, 수도병원 방문 특별방역점검

    서욱 국방부장관, 수도병원 방문 특별방역점검 코로나19 특별방역점검을 위해 지난 16일 국군수도병원을 방문한 서욱(왼쪽) 국방부 장관이 코로나19 예방 백신 접종을 하고 있다. 국방부 제공 서욱 국방부 장관이 지...
    Date2021.04.16 Views132
    Read More
  12. 육군특수전학교, 저격요원 양성 매진

    14일 경기 광주시 육군특수전학교 저격수 자격화 교육과정 장병들이 주둔지내 저격수 사격훈련장에서 저격진지 점령후 표적식별 등 저격수 임무수행절차를 하고 있다. 광주=국방일보 이경원 기자 육군특수전사령부(특...
    Date2021.04.14 Views438
    Read More
  13. 해병대 최초 세 쌍둥이 빨간 명찰 탄생

    해병대 최초로 세쌍둥이 해병대원이 된 김용호·용환·용하 이병(왼쪽부터)이 서해수호 의지를 다지며 거수경례를 하고 있다. 사진 부대 제공 해병대 최초 세쌍둥이 해병대원이 탄생했다. 8일 해병대 교육훈련단 연병장...
    Date2021.04.08 Views359
    Read More
  14. 국방부, 연평도포격전으로 명칭 변경

    국방부, 연평도포격전으로 명칭 변경 국방부는 31일 ‘연평도 포격 도발' 정부 공식 명칭을 ’연평도 포격전’으로 변경했다고 밝히고 이날 연평도 포격전용어 변경 지시를 각급 부대에 하달했다.다만 국방부는 장병 교...
    Date2021.04.02 Views218
    Read More
  15. 국립서울현충원 2021년도 현충원 호국문예 백일장 그림 그리기 대회 안내

    국립서울현충원, 제30회 호국문예 백일장/제16회 그림 그리기 대회 안내 참가 신청 ☞ www.2021snmb-contest.com 매년 5월에 실시하는 국립서울현충원 호국문예백일장 및 그림 그리기 대회가 코로나19의 지속으로 인해...
    Date2021.04.02 Views223
    Read More
  16. 한미 해군·해병대 주임원사단, 서해수호의 날 맞아 굳건한 한미동맹 재확인

    한미 해군·해병대 주임원사단, 서해수호의 날 맞아 굳건한 한미동맹 재확인 30일 백령도 천안함 위령탑을 방문한 한미 해군·해병대 주임원사단 정도일 해군주임원사, 다렐 L. 팀파 주한 미해군사령부 주임원사, 양병...
    Date2021.03.31 Views199
    Read More
  17. 해군특수전전단, 한주호 준위 제11주기 추모식

    해군특수전전단, 한주호 준위 제11주기 추모식 해군특수전전단은 30일 경남 창원시 진해루해변공원 한주호 동상 앞에서 제11주기 고(故) 한주호 준위 추모식을 거행했다. 유재만(준장) 전단장 주관으로 열린 추모식은...
    Date2021.03.30 Views246
    Read More
  18. 해군군사경찰단, 헬기레펠 훈련

    해군 군사경찰부대 특임반 대원들이 24일 진해 비행장에서 해상기동헬기에 탑승해 헬기레펠 훈련을 하고 있다. 사진 해군 제공 해군군사경찰단은 지난 23일부터 25일까지 진해 육상훈련장과 비행장에서 예하 군사경찰...
    Date2021.03.25 Views37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60 61 62 63 64 ... 168 Next
/ 168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