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 유해발굴 감식단(이하 국유단)은 미(美) 국방부 전쟁포로 및 실종자 확인국(DPAA)으로부터 봉환된 유해의 신원을 고(故) 박진호 일병으로 확인하였다고 15일 밝혔다.

고인의 신원확인은 ’20년 고인의 남동생이 농·축협 업무를 보던 중에 6·25전사자의 유가족임을 알게 된 농·축협 관계자의 권유로 유전자 시료를 채취하면서 이루어졌다.

국유단은 동두천시 보건소를 통해 채취한 유가족의 유전자 시료를 분석하여 가족관계 가능성이 있는 유해를 특정하였고, 추가검사를 진행한 결과 ’22년 6월, 6·25전사자 유해와 유가족이 서로 형제 관계임을 확인하였다. 이번 신원확인으로 2000년 4월 유해발굴이 개시된 이후 총 193명의 6·25전사자 신원이 확인되었다.

고 박진호 일병의 유해는 북한지역에서 발굴되어 미(美) 국방부 전쟁포로 및 실종자 확인국에 넘겨진 후 한국으로 봉환되었다. 고인의 유해는 1990~1994년, 미(美) 국방부 전쟁포로 및 실종자 확인국이 북한으로부터 인계받은 유해중에서 국유단이 공동으로 신원확인 과정을 거치던 중 국군전사자로 추정되어 2020년에 조국으로 봉환되었으며, 북한에서 미(美) 국방부 전쟁포로 및 실종자 확인국 하와이지부를 거쳐 대한민국까지 약 15,470km의 여정 끝에 가족의 품으로 돌아오게 되어 그 의미가 남다르다.

6·25전쟁이 발발하자 1950년 8월 16일에 부산에서 입대한 고인은 일본 징용 경험 때문에 일본어와 영어가 가능했고, 일본으로 건너가 군사교육을 받은 후 미 7사단 31연대에 카투사로 배치되어 전쟁에 참전하게 되었다.

고인은 미 7사단 소속으로 인천상륙작전에 참전하셨고, 이후 부산항을 거쳐 북한 이원항에 상륙하는 원산상륙작전에 성공한 후, 함경남도 장진읍에서 벌어진 ‘장진호 전투*’에서 장렬히 산화하셨다.

장진호 전투(1950.11.27.~12.11.)는 1950년 북진하던 미군과 중공군 간 전투로서 당시 미 제1해병사단(미 7사단 31연대 배속)은 중공군 7개 사단에 포위되어 많은 피해를 받았으나, 적 포위와 장진호의 혹한을 극복한 성공적인 ‘돌파작전’으로 평가받고 있다.

1928년 고양군 신당리(현재 서울 신당동)에서 4남 4녀 중 차남으로 태어난 고인은 일제 강점기에 일본으로 징용되어 종 제작과 세공기술로  모은 돈을 꾸준히 부모님께 보내드렸고, 해방 이후에도 부산에서 같은 일을 하며 집안을 일으킨 효자였다.

고인이 전쟁에서 돌아오지 않자 부친께서는 “일본과 객지에서 힘들게 돈을 벌어 집안을 일으킨 효자였는데 가슴이 미어진다.”며 고인의 전사를 안타까워하셨고, 모친께서는 “착한 효자였는데 하늘도 무심하다.”며 가슴을 치며 한탄하시곤 했다.

고인의 유해를 찾았다는 소식에 남동생 박진우 님은 “집안을 위해 희생한 형님이 북한에서 돌아가셨다니 억장이 무너지지만, 형님을 찾았다니 감개무량하고 하루라도 빨리 형님을 그리워하셨던 부모님 옆에 함께 고이 안장하여 한을 풀어드리고 싶다”고 소감을 밝혔다.

국방부와 국가보훈처는 오는 7월 19일 오후 3시 ‘동두천 국민체육센터’에서 지역 주민과 지자체 및 군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호국의 영웅 귀환행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특히, 국유단은 이번 신원확인은 6·25전사자 유가족이 주변사람의 권유로 지역 보건소를 통해 유전자(DNA) 시료 채취에 참여하셨기에 가능하였다며 국민 여러분의 적극적인 참여를 당부하고 있다.

친·외가 8촌 이내 가족 중 6·25전쟁에 참전하셨거나, 참전 이후 돌아오지 못한 분이 계신다면 가까운 보건소, 군부대 및 군 병원, 보훈병원 등을 방문하여 유전자 시료 채취에 참여하실 수 있고, 거동이 불편하신 경우 국유단 대표번호 1577-5625(오! 6·25)에 문의하셔서 유전자 시료 채취 방법을 안내받으면 된다. 



  1. 신원식 국방부장관 인터뷰 ③ "팍 일하고 푹 쉬는 군대 만들겠다"

    신원식 국방부장관 인터뷰 ③ "팍 일하고 푹 쉬는 군대 만들겠다"
    Date2024.01.14 Views8245
    Read More
  2. 연예병사 육군3사단 진백골연대 혹한기 훈련 현장을 가다

    지난 26일 국방부 근무지원단 홍보지원대 정범균(왼쪽) 상병과 김형수(이완) 일병이 육군 3사단 진백골연대 장병들과 함께 혹한기 훈련을 받고 있다. 박흥배 기자 위문열차 공연 중 한 장면. 입담과 재치, 열정적인 ...
    Date2011.01.28 Views8223
    Read More
  3. 이종호 해군참모총장 해병대사령부 방문

    이종호(앞줄 가운데) 해군참모총장이 지난 22일 해병대사령부를 방문해 김태성(왼쪽) 해병대사령관으로부터 대비태세 현황을 보고받고 있다. 사진 해군 제공 이종호 해군참모총장이 취임 후 처음으로 해병대사령부를 ...
    Date2022.07.24 Views8214
    Read More
  4. No Image

    국방부, 프라미스 작전 유공 정부포상 및 장관표창

    신원식 국방부장관은 오늘(12.19.) 수단 우리 국민 철수 ’프라미스 작전‘ 유공자 정부포상 및 국방부장관 표창 친수식을 실시했다. ’프라미스 작전‘은 아프리카 ‘수단’ 군부 간 무력충돌 발생(4.15.)으로, 우리 국민...
    Date2023.12.20 Views8168
    Read More
  5. No Image

    국방부 6·25 비정규군 보상 시행 1주년 성과

    □ 국방부 비정규군 공로자 보상심의위원회(위원장 임천영 변호사, 이하 ‘위원장’)는 “6·25 비정규군 보상법 시행 후 약 1년간 14차례에 걸친 심의를 통해 1,792분을 6·25 비정규군 공로자로 인정하고 본인 및 유족에...
    Date2023.03.31 Views8157
    Read More
  6. 제 55주년 예비군의 날 주간 문화혜택 안내

    4월 3일(월)부터 9일(일)까지는 '예비군 주간'입니다. 제 55주년 예비군의 날과 예비군 주간을 맞아 국방에 헌신하는 예비군들을 위해 문화공연 및 놀이공원, 관광지 등의 무료관람 및 할인혜택을 마련하였습니다. 자...
    Date2023.04.02 Views8146
    Read More
  7. 공군 방공포병 병과

    공군 방공포병 병과는 1955년 5월 12일 이승만 대통령 임석 하에 6ㆍ25전쟁에 참전한 고사포 5개 대대를 모체로 육군 제1고사포병 여단으로 태동한 이래 1972년 12월 1일 2개 여단으로 구성된 방공포병사령부로 확대 ...
    Date2010.11.21 Views8132
    Read More
  8. No Image

    포항 수성사격장 민군 상생 양해각서 체결

    「포항 수성사격장 반대대책위원회 ( 이하 “대책위”)」와 국방부는 3월 30일(목), 포항에서 수성사격장 관련 민·군 상생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하였다. 이날 행사에는 대책위 대표위원장 및 임원진과 국방부 정책기획...
    Date2023.03.31 Views8131
    Read More
  9. 육군27사단 수색대대

    북한이 연평도 포격도발 만행을 저지른 지 오늘(6일)로 2주가 됐다. 군은 적의 추가도발에 대비한 즉응 전투태세 완비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휴일에도 긴장의 강도를 한층 높이며 즉각적이고 강력한 대응태세...
    Date2010.12.05 Views8126
    Read More
  10. No Image

    국방부, 대통령 주재 「전군 주요지휘관 회의」 개최

    국방부, 대통령 주재 「전군 주요지휘관 회의」 개최 보도자료 □ 국방부는 7월 6일(수) 계룡대에서, 윤석열 대통령 주관으로 전반기 「전군 주요지휘관 회의」를 개최하였습니다. • 회의에는 이종섭 국방부장관, 김승겸...
    Date2022.07.06 Views8104
    Read More
  11. No Image

    2023년 예비군훈련 정상시행

    □ 국방부는 3월 2일(목)부터 ’23년 예비군훈련을 정상적으로 시작합니다. ◦ '22년 혼합형 예비군훈련(소집훈련 1일 + 원격교육 1일)이라는 과도기를 거쳐 '23년에는 예비군훈련의 정상화를 추진하여, 엄중한 안보상황...
    Date2023.01.17 Views8102
    Read More
  12. 국방부, 국방 로봇체계 발전방안 토의 개최

    신원식(가운데) 국방부 장관이 27일 서울 용산구 국방부에서 열린 ‘국방로봇체계 발전방안 토의’를 주관하고 있다. 사진 국방부 제공 국방부는 5월 27일(월) 신원식 국방부장관 주관으로「국방 로봇체계 발전방안 토...
    Date2024.05.27 Views8096
    Read More
  13. No Image

    북한의 고체추진 ICBM 도발 관련 한미일 차관보급 화상회의 개최

    허태근 국방부 국방정책실장은 2023년 12월 19일 늦은 저녁, 일라이 래트너 미국 국방부 인태안보차관보와 카노 코지 일본 방위성 방위정책국장과 3자 화상회의를 갖고, 12월 18일 북한의 ICBM 도발에 대한 한미일 공...
    Date2023.12.20 Views8092
    Read More
  14. 육군 전투복 변천사

    창군 이래 병사들이 착용하는 육군 전투복은 여섯 차례 변경됐다. 우리 군은 반세기를 겨우 넘긴 짧은 역사를 가지고 있지만 군복 변천사는 나름의 긴 사연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육군의 전신인 조선경비대 시절에는...
    Date2010.11.22 Views8086
    Read More
  15. No Image

    국방부 유해발굴 감식단, 15,470km 여정 끝에 6·25전사자 신원확인

    국방부 유해발굴 감식단(이하 국유단)은 미(美) 국방부 전쟁포로 및 실종자 확인국(DPAA)으로부터 봉환된 유해의 신원을 고(故) 박진호 일병으로 확인하였다고 15일 밝혔다. 고인의 신원확인은 ’20년 고인의 남동생이...
    Date2022.07.16 Views808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193 Next
/ 193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