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전용사10대영웅1.png

- 보훈처·한미연합사, 대한민국 자유 수호 및 한·미동맹 기여한 10대 영웅 선정

- 10대 영웅 영상, 뉴욕 타임스퀘어 삼성·엘지(LG) 전광판 통해 하루 약 680회 송출

- 박민식 처장 “10대 영웅 등 참전용사의 희생과 헌신이 굳건한 한미동맹의 토대”

 

국가보훈처(처장 박민식)는 20일 정전협정 및 한미동맹 70주년을 맞아 한미연합군사령부와 공동으로 대한민국의 자유 수호에 크게 기여한 맥아더 유엔군 총사령관을 비롯한 한·미 참전용사 10대 영웅을 선정하고 이를 영상으로 제작, 이날(20일 00시, 현지시간)부터 미국 뉴욕 타임스퀘어에서 송출한다고 밝혔다.

 

  이는 10대 영웅을 비롯한 양국 참전용사들의 위대한 헌신을 기억하고 감사를 표하는 것은 물론 앞으로도 굳건한 한·미동맹을 이어가자는 의미를 전하기 위한 것으로, 10대 영웅의 모습을 담은 30초 분량의 영상은 뉴욕 타임스퀘어에 위치한 대한민국 기업(삼성, 엘지(LG)) 전광판을 통해 하루 약 680회가 송출된다.

참전용사10대영웅.png

  10대 영웅은 6·25전쟁에서 대한민국의 자유민주주의를 수호하고 70년을 이어온 한·미동맹의 역사에 큰 역할을 한 인물을 중심으로 선정했다.

  한·미 참전용사 10대 영웅에는 맥아더 유엔군 총사령관, 밴 플리트 부자(父子), 윌리엄 쇼 부자(父子), 딘 헤스 공군 대령, 랄프 퍼켓 주니어 육군 대령, 김영옥 미국 육군 대령, 백선엽 육군 대장, 김두만 공군 대장, 김동석 육군 대령, 박정모 해병대 대령이 이름을 올렸다.

  먼저, 맥아더 유엔군 총사령관은 6·25전쟁에서 아군 지휘는 물론, 1950년 9월 15일 인천상륙작전을 성공적으로 지휘하여 전세를 역전, 위기의 대한민국을 구한 영웅이다. 조수 간만의 차 등으로 인한 작전 수행의 어려움과 미국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인천상륙작전을 감행, 성공을 거뒀다.

  밴 플리트 부자는 2대에 걸쳐 대한민국의 자유민주주의를 지켰다. 밴 플리트 장군은 미8군 사령관으로 참전하여 “승산이 없는 전쟁이니 동경으로 철수해야 한다”는 참모의 건의에도 굴하지 않고 전선을 지킨 명장이었으며, 그의 아들 제임스 밴 플리트 2세는 전투기 조종사로 참전하여 1952년 4월 임무 수행 중 적의 대공포 공격을 받고 실종됐다. 그를 찾기 위한 적진에서의 수색을 아버지 밴 플리트 장군이 ‘아군의 인명 손실’을 우려하며 중단시키기도 했다. 참전을 앞두고 “전우를 위해 기도해 달라”는 편지를 남겼던 청년 밴 플리트는 그렇게 실종 전사자로 남게 됐다.

  윌리엄 쇼 부자 또한 2대에 걸쳐 대한민국을 위해 헌신했다. 윌리엄 쇼는 선교사로 주한 미군 군목으로 자원입대하여 한국 군대에 군목제도를 도입했으며, 그의 아들 윌리엄 해밀턴 쇼는 하버드에서 박사과정 수학 중 6·25전쟁 발발 소식을 듣고 미 해군에 재입대(제2차 세계대전 참전)했다. 인천상륙작전 시 정보장교로서 작전 성공에 기여했으며, 서울수복작전을 위한 정찰 임무 수행 중 적의 총탄을 맞고 28세의 꽃다운 나이에 전사했다.

  딘 헤스 공군 대령은 1950년 7월 대구기지에 도착한 이후 한국 공군 전투기 조종사 양성 훈련을 포함하여 1년여 동안 250회에 걸쳐 전투 출격을 하는 등 한국 공군의 대부로서 역할을 했다. 특히 1·4후퇴 때는 중공군의 진격으로 위험에 처했던 서울의 전쟁고아 950명과 고아원 직원들을 구출, 제주도로 피난시키는 등 따뜻한 인류애를 실천했다.

  랄프 퍼켓 주니어 육군 대령은 1950년 11월, 청천강 북쪽의 전략적 요충지인 205고지 점령 때 수류탄에 맞고도 작전을 지휘하는 등 중공군에 맞서 활약했다. 심각한 부상으로 움직일 수 없게 됐음에도 대원들이 안전하게 철수할 수 있도록 자신을 남겨두고 떠날 것을 명령한 것은 그의 투철한 군인정신을 보여준 일화로 유명하다.

  김영옥 미국 육군 대령은 재미교포로, 제2차 세계대전 참전 후 전역한 뒤 6·25전쟁이 발발하자 “부모님의 나라를 구하겠다”며 미군 예비역 대위로 자원입대했다. 1951년 5월 구만산·탑골 전투와 금병산 전투에 참전, 사기가 떨어진 부대원을 독려해 승리로 이끌었다. 특히, 지난 2018년 한국인 이름을 딴 미국 최초의 고속도로인 ‘김영옥 대령 기념 고속도로’의 주인공이다.

 

  백선엽 장군은 6·25전쟁에서 국군 제1사단을 지휘하여 칠곡군, 가산·동명면 등지를 아우르는 다부동 전투에서 미군과 함께 북한군 3개 사단을 격멸했다. 백선엽 장군은 “내가 후퇴하면 나를 쏘고 가라”는 말을 남김으로써 임전무퇴(臨戰無退)의 군인정신을 실천했다.

  김두만 공군 대장은 6·25전쟁 중 대한민국 공군 최초로 100회 출격을 달성, 김 신 장군 등과 함께 승호리 철교 폭파 작전에도 참여했다. 승호리 철교는 미 공군이 500회 출격으로도 폭파하지 못한 것을 저고도 폭격으로 14회 만에 폭파하여 적 후방 보급의 요충지를 차단하는 전공을 세웠다.

  김동석 육군 대령은 1950년 9월, 미8군 정보 연락장교로 서울탈환작전을 위한 결정적인 적군 정보를 수집, 유엔군사령부에 제공함으로써 서울탈환작전에 크게 기여했으며, 박정모 해병대 대령은 서울탈환작전 시 소대원을 인솔하여 시가전을 전개하고 중앙청(당시 정부청사)에 인공기를 걷어내고 태극기를 게양했다.

  박민식 국가보훈처장은 “정전협정 및 한미동맹 70년을 맞아 한·미 참전용사 10대 영웅을 선정하게 되어 매우 뜻깊게 생각한다”면서 “우리는 70여 년 전 위기에 처한 대한민국의 자유민주주의 수호를 위해 목숨을 바친 10대 영웅을 비롯한 참전용사들의 위대한 희생과 헌신이 굳건한 한미동맹의 토대가 되었음을 잊지 않고 기억할 것”이라고 말했다.

 


  1. 국가보훈부, “헌신에 보답하는 우리들의 이야기” 콘텐츠 공모

    국가보훈부(장관 박민식)는 11일(금) “6·25전쟁 정전 70주년 및 제78주년 광복절 계기, 국가를 위해 희생·헌신하신 분들의 숭고한 애국정신을 기억하고 감사하는 마음을 직접 만든 콘텐츠로 표현하는 ‘제27회 보훈콘...
    Date2023.08.13 Views8933
    Read More
  2. 건군 75주년 국군의 날 관련 행사 참여 안내

    건군 75주년 국군의 날 행사기획단은 오는 9월 26일 개최하는 국군의 날 행사 참여 신청을 8월 9일부터 행사단 홈페이지를 통해 받고 있다. 국군의 날 행사에 참여를 원하는 분들께서는 행사기획단 공식 홈페이지(www...
    Date2023.08.11 Views10357
    Read More
  3. 방위산업발전법 일부개정법률안 공포

    □국방부와 방위사업청은 매년 7월 8일을 ‘방위산업의 날’로 제정하고 방위산업공제조합 가입대상을 확대하는「방위산업발전 및 지원에 관한 법률(약칭 방위산업발전법)」일부개정법률안이 오늘 공포되어 오는 11월부...
    Date2023.08.08 Views10385
    Read More
  4. 광주군공항이전법 시행령 국무회의 통과

    □ 국방부(장관 이종섭)는 「광주 군 공항 이전 및 종전부지개발 등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이 8.8.(화) 국무회의에서 의결됨에 따라 8.26.(토)부터 시행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군 공항 이전사업은 국비 지원 없...
    Date2023.08.08 Views10189
    Read More
  5. 새만금 세계잼버리 대회에 군 인력·군수물자 적극 지원

    159개국 4만3000여 명의 청소년들이 모인 ‘2023 새만금 세계잼버리 대회(이하 잼버리)’의 원활한 진행을 돕기 위해 우리 군이 적극적인 지원에 나섰다. 국방부 관계자는 지난 4일 “잼버리 현장에 군의관 등 의료인력 ...
    Date2023.08.06 Views10298
    Read More
  6. 국방부장관, 국제고공강하대회 우승 특전사 여군 대표팀 격려

    이종섭(왼쪽) 국방부 장관이 31일 서울 용산구 국방컨벤션에서 ‘2023 국제군인체육연맹 고공강하대회’에서 국군의 위상을 높인 육군특수전사령부 남녀 군 대표팀을 만나 악수하며 격려하고 있다. 사진 국방부 이종섭 ...
    Date2023.08.02 Views10300
    Read More
  7. 8월의 6‧25전쟁영웅, ‘귀신 잡는 해병대’ 신화의 주인공 김성은 대한민국 해병대 중장 선정

    국가보훈부(장관 박민식)는 31일 “‘귀신 잡는 해병대’ 신화의 주인공 김성은 대한민국 해병대 중장을 <2023년 8월의 6‧25전쟁영웅>으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1924년 3월 14일 경상남도 창원에서 태어난 김성은 중장은...
    Date2023.07.31 Views10412
    Read More
  8. 레드백장갑차, 한-호주 방산협력 증진의 새로운 이정표가 되다

    육군에서 기동시범하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미래형 궤도장갑차 레드백 사진 방위사업청 방위사업청(청장 엄동환, 이하 방사청)은 7월 27일(목)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레드백장갑차가 호주군 보병전투차량사업인 Lan...
    Date2023.07.29 Views14476
    Read More
  9. 국바웁, 2023 일본 방위백서 기술내용 관련 항의

    국방부 국제정책관은 7월 28일(금), 2023년 일본 방위백서에 기술된 부당한 독도 영유권 주장과 현안 문제에 대해 주한 일본 방위주재관(효도 코타로 항공자위대 자위관, 일등항좌)을 국방부로 초치하여 항의하고, 즉...
    Date2023.07.29 Views10445
    Read More
  10. 국방FM 정전 70주년 특집 다큐멘터리 방송

    국방홍보원(원장 채일)은 7.27정전협정 70주년을 맞아 국방FM 특집 다큐멘터리 ‘단 한 번의 패배도 없었다 강뉴부대’를 기획해 방송한다. 에티오피아는 6.25 전쟁 당시 아프리카의 유일한 지상군 파병 국가입니다. 당...
    Date2023.07.26 Views13077
    Read More
  11. 정전 70주년 계기 국군전사자 유해 인수식 거행

    국방차관을 단장으로 하는 유해인수단이 6·25 전쟁 당시 전사한 국군 유해를 미국 하와이에서 인수하여 73년 만에 조국의 품으로 모셔온다. 한미 양국은 25일(현지시간, 한국 기준 26일 06:00) 하와이 히캄 공군기지...
    Date2023.07.26 Views10197
    Read More
  12. 미 해군 로스앤젤레스(LA)급 원자력추진 잠수함(SSN) 아나폴리스함 제주 입항

    미 해군 로스앤젤레스(LA)급 원자력추진 잠수함(SSN) 아나폴리스함이 24일 우리 해군 장병들의 환영을 받으며 제주해군기지에 입항했다. 아나폴리스함은 작전 수행 중 군수 적재를 위해 방한했다. 해군은 아나폴리스...
    Date2023.07.26 Views9286
    Read More
  13. 하와이에서 국군전사자 유해 국내봉환 예고

    미국 하와이에 임시 안치 중인 6·25전쟁 국군전사자 7위(位)가 73년 만에 고국으로 돌아온다. 국방부는 6·25전쟁 정전 70주년을 맞이해 26일 오전(한국 시간, 06:00) 미국 하와이 히캄 공군기지에서 신범철 국방부차...
    Date2023.07.25 Views8837
    Read More
  14. 고(故) 채수근 상병, 아버지의 마지막 소원대로 대전현충원 안장하고 조기게양한다.

    국가보훈부(장관 박민식)는 “지난 19일(수) 경북 예천군에서 호우피해 복구 작전 수행 중 순직한 고(故) 채수근 상병에 대한 애도와 예우를 위해 고인을 대전현충원에 안장하기로 결정하고, 고인의 안장식이 거행되는...
    Date2023.07.23 Views9818
    Read More
  15. 국방부-외교부, 권역별 방산수출 네트워크 회의 출범

    신범철 국방부차관과 오영주 외교부 2차관을 공동 위원장으로 하는 「권역별 방산수출 네트워크 회의」가 7.19(수) 출범하였다. 권역별 방산시장 분석을 통한 국가별 맞춤형 수출지원전략 수립을 위해 출범한 이번 회...
    Date2023.07.19 Views989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 205 Next
/ 205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