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전사자유가족.png

 

6·25전쟁의 호국영웅들이 하루빨리 가족의 품으로 돌아가실 수 있도록 유가족을 찾기 위해 서울지역의 민·관·군이 함께 힘을 모으고 있다.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이하 국유단, 단장 이근원)은 10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 한 달 동안 서울시 25개 구에서「민·관·군 협업 6·25전쟁 전사자 유가족 집중찾기」사업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6·25전쟁 당시 기록되어 있는 미수습 전사자의 본적지(또는 주소지)별 전사자 명부를 해당 지역 지자체, 군(軍) 부대 및 예비군 지휘관에게 제공하고, 민·관·군 협업을 통해 미수습 전사자의 유가족을 찾는 것이다.

 

사업 과정은 미수습 전사자 명부를 바탕으로 △지역 내 구청 및 동사무소에서 전사자의 제적과 유가족 정보를 조회한 후, △관련 정보를 해당 지역 예비군 지휘관에게 전달하며, △이후 예비군 지휘관이 전사자 유가족을 방문하여 유전자 시료를 채취하는 순서로 이루어 진다.

 

서울지역에서 찾아야 할 전사자 유가족은 약 6,200여 명으로, 성과를 확대하기 위해 국유단에서는 서울지역 군부대를 방문하여 시료 채취 방법과 탐문 절차 등을 사전에 교육하였고 지자체에서는 전광판이나 유인물, 현수막 등의 가용수단을 통해 지역 주민들을 대상으로 홍보할 계획이다.

 

2021년부터 시범적으로 시작된「민·관·군 협업 유가족 집중찾기」사업은 서울을 마지막으로 대상 지역인 16개 시·도를 모두 마무리하며 1차 종료된다. 2021년 경상도 지역을 대상으로 시작한 사업은 ’22년 경기·인천, 제주지역과 강원, 충청지역으로 확대하였으며, 올해 6월에는 전라도 지역, 10월에는 서울지역으로 확대하여 시행하였다.

 

2021년부터 ’23년 6월까지 총 30,084명의 유가족 유전자 시료를 채취하였으며 이 중 집중찾기 사업 기간 내에 확보한 시료 채취 현황은 4,460명으로 전체 시료의 약 15%에 해당하는 성과를 달성하였다.

 

국유단은 현재까지의 성과를 바탕으로 내년부터는 반기별 1개월간 시행에서 연중 지속 시행하는 것으로 기간을 확대할 계획이며 이로써 더 많은 유가족을 찾아내어 6·25전쟁 전사자가 가족의 품으로 돌아가실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내년 사업에도 민·관·군 협업 체제를 유지하며 이미 배부된 16개 시·도별 전사자 명부를 활용하여 아직 찾지 못한 전사자 유가족을 찾을 계획이다. 특히 유가족이 많이 분포하는 지역에는 국유단 탐문 전담팀을 별도로 투입하여 유전자 시료 채취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며 이를 통해 유가족 찾기 사업의 신속성과 효율성을 높이고, 더 많은 유가족들이 소중한 기억을 되찾을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이번 사업을 추진한 이근원 국유단장은 “6·25전쟁 이후 많은 시간이 흘러 참전용사와 유가족의 고령화 등으로 유가족 찾기는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라며 “유해의 신원확인을 위한 ‘시간과의 전쟁’을 하는 상황인 만큼 민·관·군 협력이 어느 때보다도 중요하다.”라고 강조했다.

625전사자유가족을찾습니다.png

 

□ 6·25 전사자 신원확인을 위해 국민 여러분의 동참이 절실합니다.

 

◦ 유전자 시료 채취는 6·25 전사자의 유가족으로서, 전사자의 친·외가를 포함해 8촌 이내까지 신청 가능하며, 제공하신 유전자 정보를 통해 전사자의 신원이 확인될 경우 1,000만 원의 포상금이 지급됩니다.

 

◦ 6·25전쟁에 참전하셨으나 생사를 확인하지 못한 친인척이 있으시면 국유단 대표번호 1577-5625(오! 6·25)로 연락 주시거나 가까운 동사무소, 군 부대(예비군지휘관), 보건소, 보훈병원, 군병원 등으로 신청하시면 유전자 시료를 채취해 드립니다. 국민 여러분의 적극적인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1. 강원 인제 6.25전사자 유해 신원확인, 국군 제5사단 소속 고(故) 강윤식 일등중사

    6·25 전쟁 당시 자유 대한민국을 수호하기 위해 아내와 두 아들을 남겨둔 체 고향인 제주를 떠나 참전한 국군 전사자를 73년 만에 가족의 품으로 모시게 됐다. 국방부유해발굴감식단(이하 국유단, 단장 이근원)은 지...
    Date2023.11.18 Views5970
    Read More
  2. 제10차 중국군 유해송환 행사 개최 예고

    국방부와 중국 퇴역군인사무부는 제10차 중국군 유해송환 행사를 11월 22일(수)과 23일(목) 이틀간 인천 소재 임시안치소와 인천공항에서 개최한다고 17일 밝혔다. 중국 퇴역군인사무부는 제대군인 지원 등 보훈 업무...
    Date2023.11.18 Views6005
    Read More
  3. 해군·해병대, 2023 호국 합동상륙훈련 돌입

    [국방일보] 해군·해병대가 16일 합동상륙작전 수행능력을 숙달하기 위한 ‘2023 호국 합동상륙훈련’에 돌입했다. 호국훈련의 하나로 실시되는 이번 합동상륙훈련은 오는 22일까지 경북 포항시 인근 해상과 도구해안 일...
    Date2023.11.16 Views6097
    Read More
  4. 한미가 함께하는 확장억제, 미 전략폭격기 B-52H 한반도 전개 하 연합공중훈련 시행

    국방부는 15일 미 B-52H 전략폭격기가 한반도에 전개한 가운데 한미 연합공중훈련을 실시하다고 밝혔다. 이번 훈련은 올해 들어 12번째로 시행된 미 전략폭격기 전개에 따른 연합공중훈련으로서, 우리 공군의 F-35A·F...
    Date2023.11.15 Views6574
    Read More
  5. 정부, 매년 4월 넷째 금요일 '순직의무군경의 날' 지정

    “국방의 의무를 다하다 순직한 분들을 기억하겠습니다” 정부, 매년 4월 넷째 금요일 ‘순직의무군경의 날’ 지정 국가의 부름을 받아 국방의 의무를 수행하다가 안타깝게 사망한 순직의무군경의 희생을 기리고 추모하기...
    Date2023.11.14 Views6520
    Read More
  6. 휴대전화(모바일) 국가보훈등록증, 전국 농축협에서 금융거래 가능해 진다.

    ▲ 휴대전화(모바일) 국가보훈등록증 사진 국가보훈부 지난 6월 도입한 휴대전화(모바일) 국가보훈등록증을 소지하면 앞으로 전국 4,800여 개 농축협 창구에서 금융거래를 할 수 있다. 국가보훈부(장관 박민식)는 13일...
    Date2023.11.14 Views6459
    Read More
  7. 해군 함정 전투력 한 걸음 올라선다, 철갑 고폭탄 전투용 적합 판정 획득

    방위사업청(청장 엄동환)은 11월 13일(목) 중소형급 함정의 주력포인 76mm 함포에 탑재되는 철갑 고폭탄 운용시험평가 결과 전 항목 기준 충족으로 전투용 적합 판정을 획득하였다고 밝혔다. 76mm 철갑 고폭탄은 2010...
    Date2023.11.14 Views6265
    Read More
  8. 국산헬기, 세계를 향한 힘찬 날갯짓 하다, 두바이에어쇼 전시 및 시범비행

    방위사업청(청장 엄동환)은 국산헬기인 수리온과 소형무장헬기 LAH (Light Armed Helicopter)가 2023년 11월 13일에서 17일까지 UAE에서 개최되는 두바이에어쇼에서 전시 및 시범비행을 한다고 밝혔다. 그동안 해외 ...
    Date2023.11.14 Views5999
    Read More
  9. 호주 차세대 보병전투차량 도입사업, 조속한 계약 체결 위해 정부 차원 적극 지원

    신원식 국방부장관은 10월 14일(화) 한-유엔사회원국 국방장관회의 참석차 방한한 팻 콘로이(Pat Conroy) 호주 방산장관을 접견했다. 양 장관은 한-호주 간 ‘포괄적 전략 동반자 관계’를 재확인하고, 한-호 국방협력 ...
    Date2023.11.14 Views5727
    Read More
  10. 국방부, 한·유엔사회원국 국방장관회의 개최

    국방부는 2023년 11월 14일(화) 국방부에서 유엔사 회원국 17개국 국방장관 및 대표들이 참가한 가운데 한·유엔사회원국 국방장관회의를 개최하였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는 정전협정 체결 70주년을 맞아 한·유엔사회...
    Date2023.11.14 Views4846
    Read More
  11. 아세안 주요국가들과 국방협력 증진한다, 김선호 국방부차관 제10차 아세안 확대 국방장관회의 참가

    김선호 국방부차관은 11월 16일 인도네시아(자카르타)에서 개최되는 제10차 아세안 확대 국방장관회의(ADMM-Plus : ASEAN Defense Ministers' Meeting-Plus)에 참석하기 위해 11월 15일 출국할 예정이다. 아세안 확대...
    Date2023.11.14 Views4663
    Read More
  12. 제11회 백선엽 한미동맹상 시상식 개최, 故 김영옥 미 육군 대령 수상

    국방부는 중앙일보사와 함께 한미동맹 70주년 기념 「제11회 백선엽 한미동맹상」 수상자로 고 김영옥 미 육군 대령(The Late Colonel Kim Young Oak, United States Army)을 선정하였습고 13일 밝혔다. 백선엽 한미동...
    Date2023.11.13 Views5938
    Read More
  13. 한미동맹 국방비전 ( 2023. 11. 13 )

    한미동맹 국방비전 ( 2023. 11. 13 ) 1953년 대한민국과 미합중국은 태평양 지역의 평화를 증진하고 외부 위협으로부터 방어하며 집단방위를 강화할 것을 약속하는 상호방위조약에 서명했다. 70년이 지난 지금 한미동...
    Date2023.11.13 Views5751
    Read More
  14. 제55차 한미안보협의회의(SCM) 공동성명

    제55차 한미안보협의회의 ( SCM ) 공동성명 2023년 11월 13일, 대한민국서울 1. 제55차 한미안보협의회의( SCM, Security Consultative Meeting, 이하 SCM ) 가2023년 11월 13일 서울에서 개최되었다. 이번 회의는 신...
    Date2023.11.13 Views5754
    Read More
  15. 한미일 국방장관회의 개최

    국방부는 2023년 11월 12일, 대한민국 신원식 국방부장관과 미국 로이드 오스틴 국방장관, 일본 기하라 미노루 방위대신은 3국 국방장관회의를 개최하였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를 위해 한미 국방장관은 대한민국 국...
    Date2023.11.13 Views300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 202 Next
/ 202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