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전쟁에 함께 참전해 적군과 싸우다 전사한 ‘호국의 형제’ 고 최상락(형) 하사·최임락(동생) 일병이 73년 만에 넋으로 만나 국립대전현충원에 나란히 잠들었다. 

 

23일 오전 국립대전현충원에서 박안수 육군참모총장 주관으로 유가족, 국방부 인사기획관, 군 주요 인사 등이 참석한 가운데 고 최상락 하사와 고 최임락 일병의 안장식을 엄수했다.

 

행사는 먼저 현충관에서 영현입장을 시작으로 고인에 대한 경례, 유해발굴 경과 및 참전전사 보고, 추모사, 종교의식, 헌화 및 분향을 실시하고 묘역으로 이동하여 두 형제의 고향인 울산광역시 울주군의 흙으로 허토를 한 후 조총 및 묵념 등의 순서로 진행되었다. 그리고 부득이하게 안장식에 참석하지 못한 신원식 국방부장관의 서신을 인사기획관이 유가족에게 전달하였다.

 

국립현충원 내 6·25전쟁 전사자 형제 묘역을 조성한 것은 이번이 다섯 번째이다.

호국의 형제 안장 사례

- 1호 안장 : '11. 6. 6. / 국립서울현충원 / 故 이만우(형) 하사와 故 이천우(동생) 이등중사

- 2호 안장 : '15. 6. 4. / 국립서울현충원 / 故 강영만(형) 하사와 故 강영안(동생) 이등상사

- 3호 안장 : '23. 6. 6. / 국립서울현충원 / 故 김봉학(형) 일병과 故 김성학(동생) 일병

- 4호 안장 : '23. 6. 28. / 국립제주호국원 / 故 허창호(형) 하사와 故 허창식(동생) 하사

- 5호 안장 : '23. 11. 23. / 국립대전현충원 / 故 최상락(형) 하사와 故 최임락(동생) 일병

 

이번 안장식은 6·25전쟁 당시 두 형제의 숭고한 헌신에 대한 예우 차원에서 ‘호국의 형제’라고 명명하여 거행하였다.

 

 

아울러 이번에 조성된 ‘호국의 형제’ 묘가 국민 모두에게 영원히 기억되고 숭고한 정신을 일깨워 주는 호국보훈의 명소가 될 수 있도록 묘비 앞에 고인들의 동생이 쓴 추모글과 전투 경로 등이 새겨진 추모석을 설치하였다.

 

형, 고 최상락 하사는 1929년 4월, 울산광역시 울주군에서 6남 2녀 중 둘째 아들로 태어났으며 어린 시절부터 부모님과 함께 농사를 지으며 실질적인 장남 역할을 한 든든한 아들이었다.

 

광복 이후 남·북한 사이의 긴장이 고조된 상황 속에서 동생들에게 자유롭고 평화로운 세상을 지켜주기 위해 1949년 2월, 사랑하는 부모님과 형제와의 이별도 마다하지 않고 부산에 있는 제5연대에 자진 입대하였다.

 

◦6·25전쟁이 발발하자 고인은 국군 제3사단 제23연대 소속으로 낙동강 방어 전선으로 이동하여 ‘울진-영해전투’에 참전하였다. 이후 동해안 최대의 병참기지인 경북 포항을 사수하기 위해 북한군 제5사단과 격전을 펼친 ‘영덕-포항전투’에 참전 중 1950년 8월, 21세의 꽃다운 나이로 장렬히 전사하였다.

 

동생, 고 최임락 일병은 1931년 1월, 셋째로 태어났으며 어려서부터 열정적이고 책임감이 강하셨다. 어려운 환경에서도 포기하지 않고 부산에 사시던 외당숙의 식당에서 일을 배우며 집안을 부흥시키겠다고 밤잠을 설쳐가며 일하던 중 전쟁이 발발하자 형의 뒤를 따라 1950년 8월, 부산에서 입대 후 미 제7사단 카투사로 배치되어 일본 요코하마에서 군사훈련을 받았다.

 

이후 인천상륙작전에 참가하여 인천과 서울 등을 수복하고 북진 작전에 합류하여 북한 함경남도 이원항에 상륙하여 ‘장진호 전투’에 참전 중 안타깝게도 1950년 12월, 19세의 젊은 나이에 전사하였다.

 

고 최임락 일병은 긴 세월 동안 북한지역에 잠들어 계시던 중 1995년 미국 하와이에 있는 미국 전쟁포로 및 실종자 확인국(DPAA)에 인계되었다. 이후 한·미 양국의 끈질긴 노력으로 신원이 확인되었고, 올해 7월 현역 군인인 조카 최호종 해군 상사의 품에 안기어 대한민국 공군특별기(KC-330, 시그너스)를 타고 F-35A 전투기의 호위를 받으며 고국으로 돌아올 수 있었다.

 

이번 행사를 주관한 박안수 육군참모총장은 “73년의 긴 세월을 이겨내고 두 분 호국의 형제님을 함께 모셔 넋을 기리는 뜻깊은 자리를 갖게 되었다”며, “선배님들의 핏값으로 오늘도 태극기가 창공에 휘날릴 수 있으며, 우리 대한민국이 세계 속의 선진강국으로 발전할 수 있었던 만큼, 선배님들의 고귀한 희생과 헌신이 헛되지 않도록 확고한 대적관으로 무장하고 매 순간 이기는 것이 습관이 되는 ‘자랑스러운 육군, 승리하는 육군’을 만들어 가겠다”라고 밝혔다.

 

비록 고인이 되셨지만 두 분의 형님을 함께 국립묘지에 모시게 된 막내 동생 최용(79세) 씨는 “8남매 중 막내인 저만 남았는데 이렇게 두 형님을 넋이라도 한 자리에 모실 수 있어 꿈만 같습니다.”라며 “어려운 과정을 거쳐 형님들을 호국보훈의 성지에 안장할 수 있도록 고생하신 모든 분께 감사드립니다.”라고 소회를 밝혔다. 



  1. No Image

    73년이 지나 넋으로 만난 6·25전쟁 '호국의 형제'… 대전현충원에 함께 잠들다

    6·25전쟁에 함께 참전해 적군과 싸우다 전사한 ‘호국의 형제’ 고 최상락(형) 하사·최임락(동생) 일병이 73년 만에 넋으로 만나 국립대전현충원에 나란히 잠들었다. 23일 오전 국립대전현충원에서 박안수 육군참모총장...
    Date2023.11.23 Views9210
    Read More
  2. 6·25전쟁 호국의 형제(4호) 제주호국원 안장식 엄수

    28일 국립제주호국원에서 거행된 ‘호국의 형제’ 안장식에서 6·25전쟁에 함께 참전해 북한군과 맞서 싸우다 전사한 고 허창호·창식 하사의 영현이 묘역으로 봉송되고 있다. 사진 국방부 6·25전쟁에 함께 참전해 북한군...
    Date2023.06.29 Views996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