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선호 국방부장관 직무대행은 ‘호국보훈의 달’을 맞아 6월 11일(수) 11시, 서울 국방컨벤션에서 6・25 전쟁에 참전한 비정규군 공로자 24명에 대해 무공훈장을 서훈하고, 참석한 유가족에게 애국 헌신에 대한 감사 인사를 전하였습니다.

□ 국방부는 6·25 전쟁에 참전하여 공적을 세우고도 서훈이 누락된 분들에게 심층조사, 역사자료 검증 등 공적심사를 통해 추가로 서훈하는 제도를 2011년부터 시행하고 있으며, 올해까지 총 340분의 6・25 참전 전쟁 영웅이 무공훈장을 받을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 특히, 올해는 그동안 「6·25 비정규군 보상법」에 따라 공로자로 인정받은 분들 가운데 6・25 전쟁 기간 미8240부대 또는 영도유격대 등에서 유격작전 중 뚜렷한 전투무공이 있었음에도 무공수훈을 받지 못한 비정규군 24명에게 서훈하며, 고인이 되신 유공자들을 대신해 유가족에게 수여합니다.

□ 이번 무공훈장 수여식에서 김선호 국방부장관 직무대행은 “위기에 처한 국가를 수호하기 위해 군번도, 계급도 없이 적(敵) 지역에 침투하여 유격작전 등의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신 비정규군 무공수훈자에 대하여 국방부를 대표해 진심으로 감사하다”라며, “자라나는 미래세대를 포함한 우리 국민 모두에게 나라의 위기에 애국, 헌신하신 분들이 ’국가의 영웅‘임을 알게 하고, 그분들의 숭고한 희생정신을 기억하고 관련 정책을 적극적으로 살피겠다”라고 밝혔습니다.

□ 이번에 무공훈장을 받은 비정규군 공로자분들 가운데 각별한 사연이 있는 분을 아래와 같이 소개합니다.

<(사례 1) 비정규군 5형제, 전쟁 영웅으로 탄생>

◦비정규군 5형제는 황해도 연백군에서 태어나 6·25 전쟁 기간 중 미8240부대 예하 울팩(Wolfpack)부대*에 입대하여 비군인 신분으로 적 지역인 황해도 일대에 침투하여 첩보 수집 및 유격 활동 등 비정규전을 수행하였습니다.
*울팩부대: 8240 유격부대 중 하나로, 강화도 교동도에 사령부를 두고 옹진반도 동쪽과 남쪽에서 한강 어귀와 인천 앞바다를 관할함.

◦특히, 차남인 고(故) 이영이 님은 울팩1부대의 대대장을 맡아 1951년 3월부터 12월까지 개성 탈환 작전에서 황강포에 기습 상륙 하여 적 1개 중대 병력을 기습해서 적 20여 명을 사살하고, 9명을 생포하는 등 뛰어난 지휘 및 전투 역량을 발휘하여 그 공적을 인정받아 화랑무공훈장 수훈자로 선정되었습니다.

◦고(故) 이영이 님의 아들 이광철 님은 “아버지가 살아 계실 때 이 훈장을 받으셨다면 정말 기뻐하셨을 것”이라며, “국가를 위해 헌신하신 아버지와 큰아버지 작은아버지가 참으로 자랑스럽고 이분들의 희생을 기억해 주기를 당부한다”라고 전했습니다.

<(사례 2) 75년 만에 무공훈장을 받은 유격부대장>

◦고(故) 이종학 님은 황해도 벽성군에서 태어났고 6・25 전쟁 당시 초등학교 선생님이었습니다. 전쟁 발발 후 학생들과 함께 학도의용대를 결성하여 반공 활동을 하던 중 미8240부대 예하 동키(Donkey)11부대로 편입‧창설하여 부대장으로서 유격작전을 지휘하였습니다. 특히 1951년 4월 옹진군 교정면에서 북한군 순찰대를 기습한 송림리 전투에서 적 17명을 사살하고 피란민 1,200명을 구출하는 등 전투 및 지휘 역량을 발휘하여 그 공적을 인정받아 충무무공훈장을 받았습니다.

◦특히, 고(故) 이종학 님은 6・25 전쟁 휴전 직전의 유격작전 중 우측 팔다리와 귀에 총상을 입는 등 위기에 처한 국가를 수호하기 위해 자신을 희생하셨으나, 유격작전 중 전사한 부대원들을 생각하여 자신의 무공에 대한 공로는 감추었다고 합니다.

◦고(故) 이종학 님의 아들 이용호 님은 “늘 자신보다는 함께 전투에 나갔던 유격대 전우를 추모하며 전우회 활동을 하셨던 아버지가 생각나고 자랑스럽다”라며, “이제라도 6・25 전쟁에서의 공적을 인정받아 무공수훈을 받게 되어 기쁘고 감사하며, 노력해 주신 국방부 관계자에게 고맙다”라고 전했습니다.

<(사례 3) 함경북도에서 전사한 유격대 사령관에게 무공훈장 수여>

◦고(故) 최제부 님은 6·25 전쟁 기간 부산 영도에 주둔하며 함경도와, 강원도 북부에 공중 및 해안으로 침투하여 유격작전을 수행한 영도유격대의 함경남도 일대의 유격대 사령관입니다. 1951년 9월 50여 명의 대원과 함께 미수송기로 함경도 혜산군 일대를 공중침투 한 후 신정수리 전투에서 적 14명을 사살하고, 통신시설을 비롯한 적의 중요시설을 파괴하는 등 여러 유격작전을 실시하여 그 공적을 인정받아 충무무공훈장을 수여받았습니다.

◦그러나 고(故) 최제부 유격대 사령관은 치열한 전투 속에서 적의 총탄에 흉부에 총상을 입고 장렬히 전사하였고 전투 상황에서 시신을 수습할 수 없었던 대원들은 가매장한 후에 봉환하려 하였으나, 아직도 돌아오시지 못하였습니다.

◦고(故) 최제부 님의 유족인 아들 최재명 님은 “아버님은 제가 얼굴도 기억할 수 없는 어린 나이에 전사하셨지만, 국가를 위해 헌신하셨기에 늘 자랑스럽게 여기고 있었으며, 늦었지만 아버님의 전투무공을 인정받게 되어 기쁘고 감사하다”라고 전하였습니다.

□ 국방부(6.25비정규군보상지원단)는 「6·25 비정규군 공로금 지급 신청」을 2025년 4월 1일부터 2026년 3월 31일까지 1년간 접수하며, 비정규군의 활약상과 고귀한 희생정신을 널리 알림과 동시에 단 한 분이라도 더 신청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안내, 홍보하고 있습니다.

◦ 주요 방송매체 및 전광판, 유관 기관・지방자치단체 누리집(홈페이지) 등 온오프라인을 통한 안내는 물론 생존자분들의 연세, 생활·활동 반경 등을 고려하여 대한요양협회・대한노인회・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국가보훈부 등 유관 기관과의 협력도 추진하고 있습니다.

◦ 6・25 전쟁 기간 켈로부대 및 8240부대, 영도유격대 등에서 활동한 비정규군 2만여 명 중에서 현재까지 4천여 명만이 보상 신청을 하여 아직까지 신청하지 않은 공로자 및 유족에 대해 적극적으로 보상금 신청을 안내하고 공로자 찾기 사업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 국방부 비정규군 공로자 보상심의위원회 임천영 위원장은 “국가가 어려움에 처한 시기에 헌신한 비정규군 공로자를 한 분이라도 더 찾고 공로를 인정받으실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다”라며, “공로자 대부분이 90세 이상의 고령자임을 감안해 신속한 보상으로 이분들이 명예를 회복하고 자긍심을 높이는 계기가 될 수 있도록 끝까지 노력하겠다“라고 강조하였습니다.

※ 6·25 비정규군 공로금 신청 등 자세한 사항은 국방부 누리집(홈페이지) 비정규군 공로자 보상심의위원회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인터넷 누리집: https://new.mnd.go.kr/user/ncdc
* 대표번호: 02-6424-5505 

 



  1. 국방부 군 경력증명서 등, 언제 어디서나 신속하게 온라인으로 발급

    국방부는 2025년 7월 1일부터 군 간부의 국방 자격과 직무능력 인정서를 고용노동부 산하 한국산업인력공단의 ‘직무능력은행’ 사이트에서도 조회·발급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그동안 국방 증명서는 내부망이나 인터넷...
    Date2025.07.17 Views114
    Read More
  2. 국방부, 2025 일본 방위백서 기술내용 관련 항의

    국방부는 7월 15일(화) 2025년 일본 방위백서에 기술된 부당한 독도 영유권 주장에 대해 이광석 국제정책관이 주한 일본 방위주재관(이노우에 히로후미 해상자위대 자위관 / 일등해좌)을 국방부로 초치하여 항의하고,...
    Date2025.07.15 Views1616
    Read More
  3. 민관군이 첨단기술로 함께 그리는 국방 장비관리의 미래

    국방부는 7월 10일(목) 서울 용산 전쟁기념관에서 ‘국방 장비관리 정책발전 세미나’를 군수관리관 주관으로 개최했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 두 번째로 개최되는 이번 세미나는 ‘인공지능(AI)·디지털전환(DX) 기반 장비...
    Date2025.07.10 Views6076
    Read More
  4. “재난이 곧 안보상황”산불과의 전투, 국방부-산림청이 합동 대응한다

    국방부와 산림청은 극한기상과 야간산불, 대형산불 상황에 대해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산불 초기 단계부터 군 자산을 보다 적극적으로 투입하는 등 상호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고 9일 밝혔다. 국방부는 군 헬기...
    Date2025.07.09 Views7028
    Read More
  5. 2025년도 군무원 채용 필기시험 7월 5일 전국에서 시행

    국방부 및 각 군 본부에서 주관하는 2025년도 군무원 채용 필기시험이 7.5.(토) 전국 25개 지역, 53개 시험장에서 일제히 시행됐다. 국방부는 올해 전체 응시자 수를 집계한 결과, 공·경채 및 지역 인재 선발 시험에 ...
    Date2025.07.07 Views8272
    Read More
  6. 정부, 신임 국방부 장관 민간 출신 안규백 지명

    국민주권정부의 첫 국방부 장관으로 5선의 안규백 의원이 지명됐다. 국회 인사청문회를 통과할 경우 64년 만에 문민 국방부 장관이 된다. 1987년 정치를 시작한 안 후보자는 국회 국방위원회에서 오랜 기간 활약한 국...
    Date2025.06.23 Views20779
    Read More
  7. 3D프린팅 기술로 폭탄 투하 드론도 만든다

    3D프린팅 기술을 활용한 국방부품의 생산기반 조성과 군의 3D프린팅 활용의 우수성 홍보를 위해 개최한 「제4회 국방 3D프린팅 경진대회」에서 육군 군수사령부 소령 김진원 등 3명과 해병대 군수단 정비대대 이정우 주...
    Date2025.06.23 Views19573
    Read More
  8. 타국 전쟁터에 남기고 온 인식표, 74년 만에 유가족 품으로 돌아가....

    국방부는 &quot;6월 19일(현지시간), 이근원 국방부유해발굴감식단장(이하 국유단장)은 6·25전쟁 당시 22세의 나이로 전사한 튀르키예 육군 이병 메흐메트 찰라르(Mehmet ÇAĞLAR)의 인식표를 고인의 고향인 메르신(Mersin)...
    Date2025.06.23 Views15623
    Read More
  9. 국방홍보원 유튜브 KFN ‘골드버튼’ 영예

    국방홍보원(원장 채일) 유튜브 채널 KFN이 구독자 100만 명을 돌파하며 국방 및 안보 관련 대국민 소통의 중심 채널로 우뚝 섰다. 국방홍보원은 11일 “KFN 유튜브 채널이 6월 9일 기준 100만 명의 구독자를 확보해 유...
    Date2025.06.16 Views20446
    Read More
  10. “나라를 위한 헌신을 잊지 않고 전쟁 영웅을 끝까지 찾아 예우하겠습니다”

    □ 김선호 국방부장관 직무대행은 ‘호국보훈의 달’을 맞아 6월 11일(수) 11시, 서울 국방컨벤션에서 6・25 전쟁에 참전한 비정규군 공로자 24명에 대해 무공훈장을 서훈하고, 참석한 유가족에게 애국 헌신에 대한 감사 ...
    Date2025.06.16 Views19316
    Read More
  11. 국방부-우주항공청 우주 분야 상생협력 체계 가동

    국방부와 우주항공청은 6월 11일(수) 대전 국방과학연구소에서「미래 국방과학기술 정책협의회」 산하 「우주분과 실무협의회」를 최초(1차)로 개최하였다. 「우주분과 실무협의회」는 2024년 국방부와 과학기술정보...
    Date2025.06.16 Views7745
    Read More
  12. 국방부, 인공지능(AI) 기술로 제작한 ‘유유캠페인 노래’ 공개 “유가족 DNA 시료채취에 동참해주세요!”

    국방부, 인공지능(AI) 기술로 제작한 ‘유유캠페인 노래’ 공개 “유가족 DNA 시료채취에 동참해주세요!” “그 이름 잊혀졌지만 그 마음은 남아 있죠. 우릴 위해 싸운 그대 이젠 우리가 지킬게요 ~” (유유캠페인 노래 ‘다...
    Date2025.05.14 Views36010
    Read More
  13. 국방부조사본부, 군인 사칭 사기 적극 대응, “국방헬프콜 1303으로 확인하세요”

    국방부조사본부, 군인 사칭 사기 적극 대응, “국방헬프콜 1303으로 확인하세요” 국방부조사본부는 최근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군인 사칭 사기 및 노쇼(No-show) 범죄에 대응하기 위해, 지난 5월 1일부터 ‘군인 진...
    Date2025.05.14 Views35863
    Read More
  14. 정전협정 이틀 앞두고 장렬히 전사… 72년 만에 아들 품에 안긴 ‘고(故) 함상섭 하사’

    아! 정전 이틀 앞두고 장렬히 전사… 72년 만에 아들 품에 안긴 ‘고(故) 함상섭 하사’ ▲이근원(왼쪽)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장이 14일 고 함상섭 하사의 아들 함재운 씨에게 아버지의 참전 경로 등을 설명하고 있다. ...
    Date2025.05.14 Views30096
    Read More
  15. 11개월 된 갓난아기 두고 세상 떠난 ‘故 강성순 하사’ 신원확인

    11개월 된 갓난아기 두고 세상 떠난 ‘故 강성순 하사’ 신원확인 - 2007년 6월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만세교리 일대서 발굴된 유해 - 국군 7사단 소속으로 참전해 ‘운천-포천-의정부 전투’에서 전사 - 아들 강기남 씨 ...
    Date2025.05.11 Views32342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03 Next
/ 203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