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선, 항공기, 주정 또는 상륙장갑차로 상륙한 부대가 방어하는 적을 공격하는 것. 작전용어
상륙군 기본전술편성(上陸軍基本戰術編成, Basic Tactical of Landing Force Organization) |
상륙군이 육상에서의 전투임무를 완수하기 위해 보병, 전차 및 지원화기를 포함하여 편성하는 상륙군 부대의 기동편성으로서 통상 기동부대, 전투지원 및 전투근무지원부대로 구성함. | |
|
상륙군 대기지역(上陸軍待機地域, Troop Stagging Area) |
상륙군이 탑재를 위하여 집결하는 지역으로서 비교적 넓고 각 부대의 휴양설비가 있음. | |
|
상륙군 목표(上陸軍目標, Landing Force Objective) |
상륙기동부대 목표를 방호하기 위하여 해안두보에 충분한 종심을 제공하는 중요한 지형으로 이 목표는 해안두보 내로의 적의 접근 및 증원을 차단할 수 있는 지형(주로 주요도로망을 통제할 수 있는 고지군)이 되며 도식시에는 문자로 표기함(상륙기동부대 목표 참조). | |
|
상륙군 보급품(上陸軍補給品, Landing Force Supplies) |
최초 전투보급품과 해상담프가 양륙한 후에 돌격함정에 남은 보급품으로 육상상황이 일반 양륙의 개시를 허용할 때까지 상륙군의 소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양륙됨. | |
|
상륙군 예비보급품(上陸軍豫備補給品, Landing Force Reserve Supplies) |
상륙군 전체를 지원하게 될 규정보급수준을 달성하기 위해 목표구역으로 이동하게 될 각종 보급품. | |
|
상륙군 하선장교(上陸軍下船將校, Troop Debarkation Officer) |
함교에서 수송함의 하선장교와 협조하는 상륙부대의 장교. | |
|
상륙군(上陸軍, Landing Force; LF) |
상륙돌격을 위하여 배당된 항공부대 및 지상부대의 기동편성으로 상륙작전에 있어 상륙부대의 최상급 제대임. | |
|
상륙군사령관(上陸軍司令官, Commander Landing Force; CLF) |
상륙작전을 위한 최초지시서에 상륙군을 지휘하도록 임명된 상륙군의 최고선임지휘관. | |
|
상륙기동부대 사령관(上陸機動部隊司令官, Commander, Amphibious Task Force; CATF) |
상륙기동부대의 지휘관으로 최초 지시에 명시된 해군장교. | |
|
상륙기동부대(上陸機動部隊, Amphibious Task Force; ATF) |
상륙작전을 수행하기 위하여 조직된 기동부대 편성으로 항상 예하 항공대를 포함한 해군과 상륙군으로 구성되며 필요시에는 공군도 포함됨.
상륙기동부대목표(上陸機動部隊目標, Amphibious Task Force Objective) |
상륙기동부대 임무완수에 결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고 차후 작전을 위해 계속적으로 전투지원시설로 사용이 용이한 비행장, 항만, 교통 중심지(시가지) 등이 되며 도식시에는 아라비아 숫자로 표기함. | |
|
상륙기동전대(上陸機動戰隊, Amphibious Task Group) |
상륙기동부대 내에서 편성할 수 있는 상륙기동 예하부대로서 이 전대는 해군공격전대와 상륙부대로 구성됨. | |
|
상륙기습(上陸奇襲, Amphibious Raid) |
제한된 상륙작전의 한 형태로서 해상 또는 육상 발진기지로부터 적 해안에 상륙하여 목표 지역의 신속한 습격 또는 일시 점령후 해상 또는 지상으로 계획된 철수를 실시하는 작전. | |
|
상륙단(上陸團, Landing Team) |
상륙돌격에 적합한 전투 및 근무부대로 증강된 부대편성으로 대대상륙단(Battalion landing team), 연대상륙단(regiment landing team), 여단상륙단(brigade landing team) 등이 있음. | |
|
상륙도표(上陸圖表, Landing Diagram) |
대대 상륙단이나 이와 유사한 전투부대의 함안이동계획을 설명한 표로서 대대상륙단 지휘관이 작성함. | |
|
상륙돌격(上陸突擊, Amphibious Assault) |
함정이나 주정, 항공기에 탑승한 상륙군과 해군이 해상으로부터 적 해안에 실시하는 공격. 상륙기동부대가 상륙지역에 도착함으로 써 실시되는 상륙작전의 국면으로 상륙군이 적 해안에 해안두보를 설치함으로써 끝남. | |
|
상륙돌격부대(上陸突擊部隊, Amphibious Striking Forces) |
적의 저항을 받으면서 해상 또는 육상 발진기지로부터 적지에 군사력을 투입할 수 있는 부대로서, 작전을 개시하고 이를 수행하기 위하여 실시됨. | |
|
상륙돌격함정(上陸突擊艦艇, Amphibious Assault Ship; LHA) |
병력, 장비 및 보급품을 탑재하여 헬리콥터에 의해서 상륙시키도록 설계된 함정. 그중에는 공격항공모함(CVA), 지원항공모함(CVS)이 포함됨. | |
|
상륙목표지역(上陸目標地域, Amphibious Objective Area; AOA) |
상륙작전시 최초지시에 명시된 상륙기동부대가 확보해야 할 지역으로 해상, 지상 및 공중을 포함한 지역으로 크기는 작전의 여건에 따라 설정되지만 상륙기동부대 임무완수를 보장할 수 있도록 충분한 구역. | |
|
상륙선거함(上陸船渠艦, Landing Ship Dock; LSD) |
인원 및 장비를 적재한 채로 상륙용 주정과 상륙장갑차를 수송하여 진수시키기 위하여 설계된 함정. 소형선박과 주정에 대한 제한된 선거와 수리근무 제공.
상륙순위표(上陸順位表, Landing Sequence Table) |
상륙군 비예정부대의 함안이동을 위한 세부적인 계획이 통합된 서류. | |
|
상륙양동(上陸陽動, Amphibious Demonstration) |
적으로 하여금 불리한 방책을 취하도록 유인하기 위한 무력 시위로서 적을 기만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상륙작전의 한 형태임. | |
|
상륙예정표(上陸豫定表, Landing Schedule) |
상륙작전에 있어서 돌격부대가 상륙하는 해안, 상륙시간 및 상륙 우선순위를 표시하고 상륙기동계획을 수행하기 위하여 수송함정으로부터 해안까지 상륙주정의 이동을 조정하는 계획표. | |
|
상륙우선순위표(上陸優先順位表, Landing Priority Table) |
해안에 상륙군의 병력축적을 규정하는 서류로서 이 서류는 우선순위대로 상륙될 모든 주요 부대를 기재하여 계획된 상륙시간, 지정된 해안 및 알려져 있는 경우에는 착륙지대를 표시함. | |
|
상륙인원수송함(上陸人員輸送艦, Amphibious Transport; LPA) |
합동작전을 위한 인원, 장비, 보급품 수송 등을 주된 임무로 하는 함정으로 함정의 헬기, 상륙주정을 이용하여 적 해안에 상륙을 실시하며, 보통 1개 대대상륙단(BLT) 규모의 상륙군이 탑승함. | |
|
상륙일시(上陸日時, D-Day H-Hour) |
1.상륙일(D일);상륙작전시 최초지시의 목표일자에 명시되어 있는 대략적인 상륙개시일자. 특정한 상륙일(D일)은 상륙기동부대 사령관이 상륙군 사령관과 협의하여 선정하며 잠정상륙일은 상륙기동부대 사령관이 통상 계획수립단계 초기에 발표함. 2.상륙시(H시);해상함안 이동에서 최초 돌격파가 해안에 상륙하는 시간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특정시간으로서 계획수립단계에서의 H시는 최초 돌격파가 상륙하는 계획된 시간이나, 실시단계에서의 H시는 실제로 상륙하는 시간을 의미함. 헬기 수직돌격 및 보조작전 등의 경우에는 L시와 같은 다른 문자를 사용함. | |
|
상륙작전(上陸作戰, Amphibious Operation) |
함정, 주정 또는 항공기에 탑승한 해군과 상륙군이 해양을 통하여 적 해안에 군사력을 투사하는 공격작전임. 상륙작전의 목적은 적 종심지역의 주요목표 공격 및 교란, 차후 전투작전수행, 해군 전진기지 또는 항공기지의 획득, 지역 또는 시설의 적 사용 거부 등이 있음. | |
|
상륙장갑차 운용계획표(上陸裝甲車運用計劃表, Amphibious Vehicle Employment Plan) |
해안으로의 최초이동을 완료한 후의 사용을 포함한 상륙작전에서의 상륙장갑차의 운용계획을 명시한 계획표. | |
|
상륙장갑차 이용가능표(上陸裝甲車利用可能表, Amphibious Vehicle Availability Table) |
상륙작전에 있어서 주로 상륙돌격 및 기타 작전의 지원을 위해 사용 가능한 상륙장갑차의 형 및 수를 표시한 도표. | |
|
상륙장갑차 진수구역(上陸裝甲車進水區域, Amphibious Vehicle Launching Area) |
상륙돌격을 위하여 상륙장갑차를 상륙함정으로부터 진수시키는 구역으로 공격개시선 부근의 해상구역.
상륙장갑차(上陸裝甲車, Amphibious Assault Vehicle; AAV) |
상륙작전과 지상작전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수륙양용상륙차량이며 사용용도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함. 1.상륙장갑인원수송차 인원수송능력은 25명으로 속도 12노트까지 가능함. 2.상륙장갑지휘차 상륙돌격시 지휘용 차량으로 인원 수송능력은 약 9명이며, 11개의 UHF, VHF 통신설비를 갖추고 있어 22개망의 구성이 가능함. 3.상륙장갑구조차 정비 및 수리가 주된 임무로 야전정비능력 수행이 가능하고 UHF 통신기 2개망이 구성되어 있음. | |
|
상륙장소(上陸場所, Landing Site) |
해상수단으로 병력, 장비 및 보급품을 상륙시킬 수 있는 해안선의 계속적인 부분으로서, 상륙장소의 길이는 최소한 1개 이상의 RLT 상륙해안을 포함하며 최대거리에는 제한이 없이 사용 가능하며 상륙에 지장이 없는 해안선의 유무에서만 제한을 받게 되며 상륙군 목표 및 해안두보 선정의 기초가 됨. | |
|
상륙전 계획수립(上陸戰計劃樹立, Amphibious Planning) |
상륙전 참가부대가 동시, 병행, 세부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륙작전을 위한 계획수립 과정. | |
|
상륙전 작전(上陸前作戰, Pre-Landing Operation) |
돌격단계의 초기작전으로 선견부대에 의한 상륙지역 준비의 계속과 함안이동을 위한 최종 준비를 포함함. | |
|
상륙전교리(上陸戰敎理, Amphibious Doctrine) |
해군, 해병대의 모든 합동, 연합 또는 기타 상륙작전의 계획수립과 실시에 대한 교리로서 상륙작전의 개념, 지휘, 편성 등 계획수립 및 실시에 관련된 제반 사항이 포함됨. | |
|
상륙전기함(上陸戰旗艦, Amphibious Command Ship; LCC) |
상륙작전에 있어서 지휘관이 탑승하여 작전통제를 하는 함선. 이 함선은 주로 상륙군의 상륙 및 지원임무를 담당하는 해상, 수중 및 공중부대를 통제하기 위한 통신소요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항공, 기상 사진 및 지도복제, 장비, 계획수립 등 지원시설을 제공함. | |
|
상륙전대(上陸戰隊, Amphibious Squadron) |
상륙작전을 위하여 인원과 장비품을 수송하는 상륙돌격 함선으로 구성된 전술 또는 행정 편성. | |
|
상륙전부대(上陸戰部隊, Amphibious Force) |
상륙작전을 실시하기 위하여 훈련, 편성 및 장비된 해군부대, 상륙군부대 및 지원부대를 포함함. | |
|
상륙정찰(上陸偵察, Amphibious Reconnaissance) |
첩보를 획득할 목적으로 무력보다는 비밀리에 소규모 부대가 해상으로부터 적 해안에 상륙하여 실시하는 정찰이며, 계획된 철수가 뒤따름. | |
|
상륙주정 및 상륙장갑차 할당표(上陸舟艇및上陸裝甲車割當表, Landing Craft and Amphibious Vehicle Assignment Table) |
함안이동을 위하여 인원과 물자를 각 상륙주정 및 상륙장갑차에 할당하고 상륙주정과 상륙장갑차를 주파에 할당하는 것을 표시한 도표.
상륙주정 운용계획(上陸舟艇運用計劃, Landing Craft Employment Plan) |
해군과 상륙군의 소요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각종 함선으로부터 차출되는 상륙주정의 할당 및 이동에 대한 운용계획. | |
|
상륙주정 이용가능표(上陸舟艇利用可能表, Landing Craft Availability Table) |
수송전대의 각 함정으로부터 이용 가능한 상륙주정의 종류와 수를 표기한 도표. 이 표는 함안이동을 위하여 상륙주정을 주정단에 할당하는 근거가 되며 수송전대 지휘관이 작성함. | |
|
상륙주정(上陸舟艇, Landing Craft) |
부대 및 장비의 수송, 접안, 하역 및 철수용으로 특별히 건조된 상륙전용 주정. | |
|
상륙준비단(上陸準備團, Amphibious Readiness Group; ARG) |
상륙작전을 수행하기 위한 평시의 훈련 및 상륙작전 준비를 위해 편성된 부대조직. | |
|
상륙지역(上陸地域, Landing Area) |
상륙기동부대의 상륙작전이 실시되는 상륙목표 지역의 일부. 이곳은 상륙을 실시하고 지원하며, 상륙군사령관이 선택한 해안두보를 설치하는 데 필요한 해상, 공중 및 지상지역으로 구성됨. | |
|
상륙지원단(上陸支援團, Naval Beach Group) |
상륙작전부대 내에 영구적으로 편성되어 있는 해군부대. 그 구성은 지휘관, 참모, 양륙지휘대, 상륙작전 건설대대 및 주정대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개 사단(또는 증강된)의 상륙을 지원하기 위하여 공격부대 사령관 및 상륙군부대 사령관에게 소요되는 해군 전술구성부대를 차출할 수 있는 행정전대로서 편성되어 있음. | |
|
상륙지원정보체계(上陸支援情報體系, Amphibious Support Information System) |
상륙작전, 표적, 군수에 대한 정보의 저장, 수정 및 요구에 대한 자동화된 정보처리 체계. | |
|
상륙철수(上陸撤收, Amphibious Withdrawl) |
적 해안으로부터 함정이나 주정, 또는 항공기를 이용하여 부대를 철수시키는 상륙작전의 한 형태. | |
|
상륙통제전대(上陸統制戰隊, Amphibious Control Group) |
상륙작전시 해상 함안이동을 통제토록 지정된 인원 및 함정. | |
|
상륙편성(上陸編成, Organization for Landing) |
함안이동을 위한 임시편성으로서 상륙부대와 그 예하제대가 지정된 상륙해안 및 착륙지대에 상륙하기 위한 특정한 전술편성임.
상륙함정(上陸艦艇, Landing Ship) |
장기 항해와 해안에 신속한 양륙을 위하여 설계된 돌격함선의 일종. | |
|
상륙함정구역(上陸艦艇區域, Landing Ship Area) |
함안이동시 상륙함정이 대기하는 구역. | |
|
상륙해안(上陸海岸, Landing Beach) |
통상 대대상륙단 혹은 유사한 부대의 상륙돌격에 필요한 가용 해안선의 일부분이며 대대상륙단보다 작은 규모의 부대가 상륙할 만한 해안선의 일부도 상륙해안이라 함. | |
|
상륙화물수송함(上陸貨物輸送艦, Attack Cargo Ship) |
상륙돌격에 있어서 전투적재 화물을 수송하도록 설계 또는 개조된 해군함정으로 적재량, 함속력, 무장, 선창 및 기중기의 능력에 있어서는 대등한 타 화물선보다 우월함. | |
|
잔여상륙군보급품(殘餘上陸軍補給品, Remaining Landing Force Supplies) |
잔여상륙군보급품은 지휘관이 설정한 규정휴대량, 해상담프 또는 사전 적재헬기 공수보급품에 포함되지 않은 재보충용 보급품 및 장비로 구성됨. | |
|
초수평선상륙작전(超水平線上陸作戰, Over the Horizon Amphibious Operation) |
해안선에서의 가시거리 및 레이더 탐지범위 밖으로부터 발진되는 상륙작전. | |
|
합동상륙기동부대(合同上陸機動部隊, Joint Amphibious Task Force; JATF) |
합동상륙기동부대 지휘관의 지휘 하에 상륙작전을 수행하기 위하여 2개 이상의 군(육·해·공)부대로 조직된 기동편성부대. | |
|
합동상륙목표지역(合同上陸目標地域, Joint Amphibious Objective Area) |
상륙기동부대가 확보해야 할 지역으로서, 통상 해안 부근에 해상·지상·공중 공간을 포함하여 합참의장이 설정함. | |
|
합동상륙작전부대(合同上陸作戰部隊, Joint Amphibious Unit) |
합동상륙작전부대는 2개 이상의 군부대가 단일지휘관의 지휘 하에 전략적 또는 전술적 임무수행을 위해 적 해안에 상륙돌격을 실시하여 해안두보를 확보하고 차기작전을 준비하는 데 사용되는 임시 편성부대. | |
|
해군상륙반(海軍上陸班, Naval Landing Party) |
육상작전에서 지상부대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편성된 함정 승조원의 일부요원.
후속상륙작전(後續上陸作戰, Follow-on Amphibious) |
돌격제대 및 돌격 후속제대의 상륙이 완료된 후 실시되는 증원부대 및 군수품의 상륙.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