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10.18 16:03

작전통제권

조회 수 360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행정·군수 등에 관한 권한 제외 제한된 특정 임무·과업 지휘개념 국방일보 / 2005.10.25

한·미 양국이 지난 21일 개최된 제37차 한·미 안보협의회의(SCM)를 통해 전시작전통제권 문제에 대한 협의를 적절히 가속화하기로 합의했다. <국방일보지 10월24일자 1면 참조>
법적·외교적 용어로는 일반적으로 작전통제권이라고 부르지만 군사 용어로는 ‘작전통제’(Operational Control·OPCON)라는 용어가 좀 더 보편적으로 사용된다.

작전통제의 정의는 조금 난해하다. 작전통제는 ‘작전 계획이나 작전 명령상에 명시된 특정 임무나 과업을 수행하기 위해 지휘관에 위임된 권한’이다. ‘작전통제’는 시간적·공간적·기능적으로 제한된 특정 임무와 과업을 완수하기 위해 지정된 부대에 행사되는 것이 특징이다. 구체적으로 지정된 부대에 대한 임무 또는 과업 부여, 부대의 전개와 재할당, 작전통제를 예하 지휘관에게 재위임할수 있는 권한을 포함한다.

작전통제가 정확하게 무엇인지는 포함된 권한보다 포함되지 않은 권한을 살피는 것이 이해하기 쉽다. 작전통제에는 원칙적으로 행정·군수·군기·내부 편성·부대 훈련 등에 관한 책임과 권한은 포함되지 않는다. 통상적인 지휘관이 갖는 권한을 시간적·지리적으로 제한을 두고 다시 행정·군수에 관한 권한을 제외한 것이 바로 작전통제인 것이다.

한편 일반적인 지휘관이 작전 임무 수행을 위해 예하 부대를 대상으로 행사하는 권한은 ‘작전지휘’(Operational Command·OPCOM)라고 부른다. 작전지휘도 작전통제와 마찬가지로 행정·군수에 관한 권한은 포함되지 않는 것이 원칙이다. 작전지휘의 반대말은 행정지휘(Administrative Command)다. 작전과 직접 관계가 없는 정비·유지·행정 등에 관한 지휘가 행정지휘다.

일반적인 지휘관일 경우 작전지휘와 행정지휘를 동시에 행사하는 것이 보통이므로 이런 여러 가지 개념을 구별할 필요성은 크지 않다. 하지만 다국적 연합군이나 육·해·공군을 아우르는 합동군 차원에서 지휘권을 부여할 때는 권한을 제한할 필요가 있으므로 작전통제 같은 제한적 지휘 개념이 발전하게 된 것이다.

TAG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22 흥남철수작전 file 운영자 2010.11.04 5328
321 훈장과 표창 관리자 2010.12.03 6478
320 화포의 구분 운영자 2010.10.18 6586
319 화랑훈련 운영자 2011.01.02 4993
318 호크와 나이키 file 관리자 2010.12.10 4634
317 호국훈련 운영자 2011.01.02 5437
316 핼리팩스급 호위함(Halifax Class Frigate) 운영자 2010.10.07 9429
315 해안집적소 운영자 2011.01.16 1714
314 해안지원지역 (BSA) 운영자 2011.01.16 1655
313 해안부대,해안단,해안분단 운영자 2011.01.16 1271
312 해상담프,해상담프구역 운영자 2011.01.16 1648
311 해병항공대대, 해병공지기동부대,해병공중교통통제대대 운영자 2011.04.05 1985
310 해병학교 file 운영자 2011.01.07 1148
309 해병의 긍지 운영자 2011.02.13 2357
308 해병원정군,해병원정부대,해병원정여단 운영자 2011.01.16 2024
307 해병대지휘관리 개선을 위한 법률개정 file 배나온슈퍼맨 2011.09.20 3517
306 해병대 쌍룡훈련 file 관리자 2022.08.04 19081
305 해병대 순검 4 file 운영자 2010.09.11 7865
304 해병대 교육훈련 - 국방백서 2010 file 운영자 2011.01.01 1044
303 해리 운영자 2011.01.16 1465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7 Next
/ 17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