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12.03 11:13

공중조기경보통제기

조회 수 519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국방일보 2005.11.1] 한국군의 눈과 귀 역할을 할 공중조기경보통제기(AEW&C) 사업 후보 기종이 미국 보잉사의 B-737 AEW&C와 이스라엘 G-550 AEW&C로 압축됐다. 〈본지 10월27일자 1면 참조〉

공중조기경보통제기는 공중조기경보기(Airborne Early Warning·AEW)의 기능과 공중지휘기(Airborne Command Post·ACP)의 기능을 동시에 가진 항공기를 의미한다.

공중조기경보기는 제2차 세계대전 중 최초로 출현했다. 지상 레이더와 달리 항공기에 장착된 레이더는 지형상 제약받지 않으므로 보다 원거리의 탐지가 가능하다. 특히 지상 레이더가 탐지하기 힘든 원거리 저공 지역 감시에 탁월한 능력을 발휘한다.

이런 점에 착안한 미국은 1940년대 중엽 TBM-3W라는 최초의 공중조기경보기를 개발했다. 현대에 들어와서 활약한 대표적인 공중조기경보기로는 64년 이후 미 해군 항모 탑재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E-2를 들 수 있다.

77년 미국 공군에 배치되기 시작한 E-3 센트리는 기존 공중조기경보 기능에 공중지휘 기능을 추가, 현대적 의미의 공중조기경보통제기 개념을 최초로 구현했다.

공중조기경보통제기의 영문 약어로는 ‘Airborne Warning and Control System’의 약자인 AWACS와 ‘Airborne Early Warning & Control’의 약자인 AEW&C 두 가지가 혼용되고 있다.

이 두 단어의 의미 차이는 없고 실제로 혼용되는 사례도 많지만 AWACS는 원래 미국의 공중조기경보통제기 중 E-3 센트리를 지칭하는 고유 명칭이다.

일반적인 공중조기경보통제기를 의미할 때는 AEW&C라고 표기하는 것이 보다 정확한 표현이다. 우리나라의 공중조기경보통제기 사업도 그 때문에 AWACS가 아닌 AEW&C라고 표기하고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22 UER (Unsatisfactory Equipment Report) 운영자 2013.03.26 2891
221 ED 배나온슈퍼맨 2011.11.11 2902
220 QRF 운영자 2011.04.22 2913
219 매복 운영자 2010.11.02 2921
218 C, C&, C&C, C- 운영자 2011.04.22 2940
217 OA,OAC,OAS 운영자 2011.04.22 2941
216 P 배나온슈퍼맨 2011.11.11 2941
215 착륙관제유도장치, 착륙보조물, 착륙장소, 착륙지대, 착륙지대통제반, 착륙지역, 착륙지점 배나온슈퍼맨 2012.11.13 2942
214 UFL (Ulchi Focus Lens) 운영자 2013.03.26 2957
213 탄약 전투예비량, 탄약할당 운영자 2011.04.24 2967
212 타격거점, 타격작전 운영자 2011.04.24 2973
211 탐색, 탐색 및 구조, 탐색공격단대, 탐색소해 운영자 2011.04.24 3037
210 상륙작전 군사용어 운영자 2011.04.05 3054
209 서북도서방위사령부령 배나온슈퍼맨 2011.11.07 3066
208 BTL 운영자 2011.05.11 3104
207 W.WA 배나온슈퍼맨 2011.11.11 3106
206 내선작전 운영자 2010.09.11 3135
205 누적선량,누적전략 해순이 2011.04.05 3198
204 다국적,다국전군,다국적작전 해순이 2011.04.05 3200
203 EC 배나온슈퍼맨 2011.11.11 3233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7 Next
/ 17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