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395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해병대, '연평도 포격 도발' 2주년 행사 개최

 

- 참전 장병 Home-coming 행사, 기념관 개관

해병대는 11월 23일(금) '북한의 연평도 포격 도발' 2주년을 맞아 그 날의 교훈을 상기하고 전사자 추모와 장병 및 국민의 안보의식 고취를 위한 다양한 행사를 개최할 예정이다. 


□ 참전 장병 Home-coming 행사 

◦ 해병대는 먼저 북한의 연평도 포격 도발 당시 진정한 군인정신을 보여준 참전 장병들을 격려하고 현역 장병들에게 그 날의 상황을 생생히 알리기 위한 ‘참전 장병 Home-coming 행사’를 연평도 포격 도발 2주년인 11월 23일(금)부터 2박 3일의 일정으로 진행한다. 

◦ 이번 행사에는 당시 연평부대장이었던 이승도 준장(진)을 포함한 지휘부와 주요 직위자, 부상자, 대응 사격을 했던 포병중대 장병 등이 참가할 예정이다.  

◦ 참가자들은 23일(금) 전사자 추모식에 이어 격려 만찬을 갖고 24일(토)에는 연평도에 들어가 위령탑 제막식, 기념관 개관식에 참가한다. 이어 25일(일)에는 연평부대를 방문하여 전우들과 만남의 시간을 갖는다.

◦ 연평부대 방문 간(24일 ~ 25일)에는 부대관측소와 당시 대응사격을 했던 포병중대 등을 둘러보며 부대 장병들에게 당시 긴박했던 순간 속에서도 신속하게 대응사격을 하고, 나 보다 먼저 주민들과 전우를 생각했던 상황을 설명하고 생사를 함께 나누었던 전우들과 그 동안 못한 이야기를 나눌 예정이다.


□ 기념관 개관 및 전사자 위령탑 제막

◦ 11월 24일(토)에는 북한의 연평도 포격 도발시 해병대 장병들이 보여준 투혼과 서북도서 첨병으로서 장병들의 자긍심을 담아 건립된 기념관 개관식을 한다.

◦ 이날 개관하는 기념관은 첨단 전시연출 기법을 사용해 북한의 연평도 포격 도발 당시 상황을 생생하게 재현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전시관 일부는 당시 피폭 현장을 그대로 보존해 만들어졌다. 

◦ 기념관 내부는 ▲평화로운 연평도 ▲서북도서를 둘러싼 전쟁    ▲북한의 연평도 포격 도발 ▲서북도서방위사령부 ▲미래 해병대 ▲포토존 이상 6개의 주제를 가진 전시공간과 모든 부분을 종합한 영상실로 구성되며 야외에는 전투에 참가했던 연평부대원들의 명판과 북한의 연평도 포격 도발 당시 철모가 불에 타는지도 모르고 임무를 수행했던 임준영 상병(당시 계급)의 불탄 철모 조형물이 전시된다.

◦ 전시관은 개관과 함께 항재전장의 정신무장과 완벽한 대비태세  유지를 위한 장병 정신교육과 대국민 안보교육의 장으로 활용할 예정이다. 

◦ 기념관 개관에 앞서 연평도 평화공원에서는 해병대사령관 주관으로 유가족과 연평부대원, 옹진군 관계자 등이 참가한 가운데 포연탄우 속에서 조국을 지키다 전사한 故 서정우 하사와 문광욱 일병의 군인정신과 희생정신을 기리기 위한 위령탑 제막식을 한다.

◦ 국가 수호의지를 담아 이날 제막된 위령탑 중앙에는 故 서정우  하사와 문광욱 일병의 부조와 함께 국민 모두의 추모의 마음을 담은추모글이 새겨져 있다.

※ 위령탑 추모글
조국 수호를 위한 뜨거운 염원을 가슴에 품은 자랑스런 대한민국의 젊은 영웅들이여 그대들의 숭고한 희생으로 인하여 우리가 이곳에  편히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조국은 절대 잊지 않을 것이니, 부디 저 하늘에서 평화의 수호신이 되어 우리를 굽어보며 편히 쉬소서.


□ 결의대회 및 상기훈련

◦ 또한 해병대 전 부대는 북한의 연평도 포격 도발이 있었던 11월 23일(금) 북한의 연평도 폭겨 도발 경과와 교훈 등에 대한 특별 정신교육과 함께 결의대회를 갖고 적의 어떠한 도발도 더욱 신속하고 강력하게 대응하겠다는 강한 의지를 다짐한다. 

◦ 이어 연평도 포격 도발이 있었던 동일 시간대에는 적 화력도발 및 기습강점 시도 등 발생 가능한 다양한 상황에 대해 전투수행절차를  숙달하고 지원 작전사간 합동작전 능력 향상을 위한 상기훈련을 예하부대 및 지원 작전사가 참가한 가운데 실제 기동훈련(비사격)으로 진행한다. 

◦ 합참 주관으로 진행되는 이번 훈련을 통해 해병대는 북한이 또 다시 무모한 도발을 감행할 경우 적을 분쇄할 의지와 충분한 능력이  있으며 언제든지 이를 실행 할 수 있도록 훈련이 되어 있다는 것을 다시 한 번 보여줄 예정이다.  


□ 전사자 묘역참배 및 추모식

◦ 북한의 연평도 포격 도발 2주년 하루 전인 11월 22일(목)에는  전사자 묘역 참배 행사를 한다. 故 서정우 하사와 문광욱 일병의   유가족과 해병대사령부 지휘부와 처ㆍ실장 등이 차례로 경례, 헌화, 그리고 묵념을 하며 고인에 대한 명복을 빈다.

◦ 이어 북한의 연평도 포격 도발 2주년 당일인 11월 23일(금) 10시에는 보훈처 주관으로 전사자 추모식이 서울 전쟁기념관에서 열리며 김황식 국무총리가 주관한다. 

◦ 이 날 행사에는 전사 장병 유가족과 북한의 연평도 포격 도발 당시 참전 장병, 정부 및 군 주요인사, 국회의원, 각계 대표, 일반 시민, 육‧해‧공군 현역 장병 등이 참석한다.

◦ 추모식은 개식사를 시작으로 국민의례, 경과보고, 헌화 및 분향, 추모사, 추모공연, 폐식사 순으로 진행된다. 영상으로 상영되는  경과보고 중에는 연평도 포격 도발 당시 연평부대원들의 용맹성과  전투정신을 담을 예정이며 군악대의 연주와 추모글 낭독, 진혼곡 등의 추모공연도 이루어질 예정이다.

◦ 추모식에 이어 전쟁기념관 웨딩홀에서는, 이호연 해병대사령관  주관으로 연평도 포격 도발 전사 장병 유가족과 부상 장병, 당시   지휘관(자)을 대상으로 격려 오찬을 실시하며 故 서정우 하사와 문광욱 일병을 기억하고 유가족과 부상자들을 격려할 예정이다.


□ 범국민 추모행사 및 안보교육

◦ 해병대는 12일(월)부터 30일(금)까지 북한의 연평도 포격 도발 상기 기간을 설정하고 국방부와 보훈처, 해병대 및 각 군 인터넷 홈페이지 및 내부 인트라넷 홈페이지에 사이버 추모관을 운영한다. 

◦ 또한 상기기간 동안 해병대 전 부대는 북한의 연평도 포격 도발을 상기 할 수 있는 문구의 현수막을 각 부대 위병소에 게시하고 특별 정신교육 및 안보 초빙강연 등을 진행하며 전사자 모교 등을 대상으로 안보교육도 지원한다.  

 

연평도포격.jpg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92 한민구 국방부장관 최북단 해병부대 순시 file 운영자 2015.09.27 1398
691 해병대 상륙기동헬기 실전배치 된다. file 운영자 2017.01.29 1399
690 해군ㆍ해병대, 호국 합동상륙훈련 file 운영자 2014.11.17 1400
689 해병대원 5인, 통일안보 비전 발표대회 상금 덕산장학회 기부 file 운영자 2015.08.04 1439
688 말년휴가 해병, 묻지마 폭행으로 헌병대 인계 운영자 2016.06.01 1458
687 “전쟁나면 의원직 사퇴하고 참전하겠다” 이우현의원 file 운영자 2015.08.25 1489
686 대한민국 해병대, 제64주년 서울수복 기념행사 개최 file 운영자 2014.09.27 1499
685 한국 첫 전투 해병대 청룡부대, 파월 출정 기념식·추모행사 개최 file 운영자 2015.10.13 1516
684 국회 병영특위 추진 ‘해병대 독서카페 1호점’ 개점 file 운영자 2015.06.24 1526
683 ‘호국충성 해병대’ 창설 66주년 file 운영자 2015.04.15 1545
682 매티스 美국방장관 "해병대 정 하사 만나고 싶다" file 운영자 2017.02.04 1556
681 공정식 6대 해병대사령관 별세 file 운영자 2019.10.25 1603
680 해병대 삼부자 대 이어 사랑나눔 file 운영자 2015.05.06 1659
679 64년전, 인천상륙작전의 감동을 재연하다! file 운영자 2014.09.17 1663
678 제방사, 제주·남해안 일대 도서지역서 수색작전 file 운영자 2015.03.15 1685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55 Next
/ 55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