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585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11세 어린 아이를 강간한 사노 잉읍금을 교형에 처하다(태조 7년 윤5월16일). 형조에서 계하기를 "평해에 있는 죄수 김잉읍화(金仍邑火)는 8세 난 계집아이를 강간했사오니 율(律)이 교형(絞刑)에 해당합니다"하니 상이 그대로 따랐다(세종 8년 11월17일)

조상들의 성폭행범에 대한 처벌은 단호했다. 태조부터 철종까지 427년간 역사를 기록한 조선왕조실록에서 '강간'으로 검색하면 국역기준 213건(원문기준 262건) 등 200건 이상이 언급된다. 성폭행이라는 단어는 최근 들어 사용됐기 때문에 왕조실록에서 검색되지 않는다.

백성에게 선정을 베풀어 역사에서 위대한 성군으로 꼽히는 세종도 성폭행범에 대해서는 단호했다. 세종 8년 11월17일자 실록에는 평해(현재 경북 울진지역)에 사는 김잉읍화라는 사람이 8세 여아를 성폭행했다 붙잡혀 형조로부터 교수형에 처할 것을 왕이 건의받아 시행을 허락했다. 이에 앞선 태조 7년 윤5월에도 11세 여아를 성폭행한 노비 잉읍금이 역시 교수형을 당한다.

2009년 대검찰청 전자신문 뉴스프로스 3월호에 발표된 '조선시대 성범죄'(이현정 연구사)에 따르면 조선시대에는 강간 및 강간미수에 대한 처벌이 무거웠다. 강간은 극형인 교수형을 받았다. 강간미수는 곤장 100대, 유배 1000리의 처벌이 내려졌다.

특히 미성년자에 대한 성폭행은 곧바로 '죽음'으로 이어졌다. 12세 이하 여아를 성폭행하는 경우는 교수형에 처해졌다. 조선후기에는 성범죄 방지를 위해 오후8시가 되면 남자들이 거리로 나오지 못하도록 하는 풍습이 존재했다고 알려지고 있다.

사극과 '옛날 영화' 등에서 심심찮게 보이는 '주인이 노비를 방으로 불러들여 사욕을 채우는 장면'도 과장된 측면이 크다. 실제로는 목숨을 내놓는 일이었다.

조선왕조실록에는 중종26년 윤6월10일에 대신 김당 등이 왕에게 종친의 성폭행 사건에 대해 벌을 청하는 대목이 나온다. 왕실 종친인 고령감 이팽령이 개인노비 봉원의 딸 순금과 관계했다. 순금이 "여인이라 거역할 힘도 없어 어쩔수 없이 이틀 밤을 함께 했다"고 사헌부에 고소했다. 중종은 사건 조사 결과를 듣는 자리에서 "위력으로 간통하였다면 이 또한 강간이다"며 처벌을 하교했다.

사농공상이 뚜렷한 신분제 사회였기 때문에 지배층이 '마음대로 노비 등을 다룰 수 있다'고 여기겠지만, 조선의 국법은 왕실의 자제들에게도 단호했다.

최근 나주 7세 여아 성폭행 등 사건으로 세상이 떠들썩하다. 경찰 등 수사 당국도 뒤늦게 특별대책을 마련한다며 호들갑이다. 화학적 거세 강화에 이어 물리적 거세 법안도 발의됐다. 일각에서는 '사형제 부활'도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사건이 불거질 때마다 양은냄비에 물 끓듯 분개하다 세월이 흐르고 나면 다시 식어버리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초등학생 여아를 성폭행해 장기를 손상시킨 조두순 사건이 발생했던 때가 불과 2008년. 당시에도 요즘처럼 시끌벅적하게 사회가 들끓어 올랐지만 4년간 바뀐 것은 없었다.

김영삼 정부 끝무렵인 1997년 마지막으로 집행된 사형제 부활을 놓고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타인의 인권을 짓밟는 자에게는 인권이 없다'는 엄격한 법집행이 절실해 보인다. 다른 사람의 인권을 존중하지 않으면 자신도 존중받지 못한다는 사회적 인식이 각인될 필요가 있다.

 

출처:머니투데이 오승주 기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96 군납담배의 추억 슈퍼맨 2010.05.18 7256
395 군대 요리왕, 해병대냐 육군이냐 file 운영자 2012.12.17 7541
394 군악대가 연주하는 임을 위한 행진곡 슈퍼맨 2010.05.18 8023
393 군악의장페스티벌 사회 공군병장 조인성 file 운영자 2011.04.12 13159
392 군에 간 두 아들 덕 file 배나온슈퍼맨 2011.12.05 18392
391 군인 남자친구를 지켜 주세요! file 운영자 2011.06.02 10759
390 군인부부의 동행 1 file 운영자 2010.05.28 11426
389 귀신잡는 해병대는 어떻게 만들어질까? 운영자 2010.05.29 9505
388 그대들의 사기진작은 우리가 책임진다 - '국군방송 위문열차' 해병 1사단 방문!! file 배나온슈퍼맨 2012.09.17 7748
387 그대여 지금 힘이 드시나요 ututut 2011.07.13 8691
386 그때그시절~ 잠시 추억속으로!!!!! 1 file 카페리얼 2012.09.07 6526
385 금융권의 군인맥 운영자 2010.11.16 11030
384 긍정적인 생각이 행복의 첫걸음이다 ututut 2011.07.19 26254
383 기막힌 우연의일치라네요 ^^ file 사아 2013.03.17 6770
382 기무사, 성매매·횡령 조직적 은폐… 軍, 기무사령관에게 구두 경고만 운영자 2012.10.31 9112
381 김관진 국방부장관, 국군의 날 행사 의장대 사열 file 박희철 2012.09.27 8472
380 김관진국방부장관, 해병대독립 바람직하지 않아 3 file 운영자 2011.04.01 8926
379 김정 "해병대 독립, 신중한 검토 필요" 운영자 2011.02.14 9489
378 김정 국회의원 해병대관련 보도자료 운영자 2011.02.14 9845
377 김정일 사망, 군 복무중인 스타들은… 배나온슈퍼맨 2011.12.22 758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26 Next
/ 26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