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ㆍ25전쟁이 발발한지 60주년. 반세기가 훌쩍 넘는 시간이 지나 전쟁을 기억하는 세대들이 세상을 떠나면서, 6ㆍ25전쟁에 대한 기억도 희미해지고 있다.

젊은이들이 동족상잔의 비극을 알지도 못할 뿐만 아니라 알고 있어도 잘못 알고 있는 현실을 안타까워하면서 ‘6ㆍ25전쟁 진실알리기운동본부’의 주역으로 활동하고 있는 이가 있다.

지난 1990년 해병대 부사령관으로 예편한 박인환 장로(74, 여의도순복음교회)다. 박 장로는 이 전쟁이 외침이 아니라 동족끼리의 비극이라는 것은 용서는 하되 잊어서는 안 될 중요한 명제임을 강조했다.

그는 우리 사회의 가장 심각한 문제를 북한 등 외부 세력에 의한 것이 아니라, 천안함 사태 이후 극명하게 드러나는 남남갈등으로 봤다. 다음은 박인환 장로와의 인터뷰 전문.

32723o.jpg
▲박환인 장로는 6.25에 대한 진실을 알지 못해서 벌어지는 왜곡에 대해 우려했다.©뉴스미션

-6.25 전쟁이 발발한지 올해로 60년입니다. 전쟁이 일어난 지 반세기가 훌쩍 넘다 보니 어린이들은 물론 20대 조차 6.25전쟁에 대해 잘 알지 못하고 있습니다.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제가 볼 때 6ㆍ25에 대해 잘 알지 못하는 것보다 더 큰 문제는 잘못 알고 있는 것입니다. 지난 1월 국방부 산하 NGO 단체로 ‘6ㆍ25 진실알리기운동본부’를 승인 받았습니다. 잘 알지 못한다면 ‘알리기’라고 하면 되는데, ‘진실알리기’라고 한 것은 6ㆍ25에 대해 잘못 알고 있기 때문입니다. 잘못 아는 것이 불안요소가 된다고 봅니다. 예를 들어 6ㆍ25전쟁은 북한에 의한 남침인데 북침이라고 하는 것이나, 통일전쟁이라고 알고 있는 것들이 바로 그런 것들입니다. 6ㆍ25가 통일전쟁이 되면 자연스레 미군은 훼방꾼이 되고, 거기서부터 문제가 복잡하게 됩니다. 역사를 왜곡하게 되는 것이죠.

- 6.25를 겪은 세대들이 경험담이 사라지면서 6.25가 잊혀지는 것 같습니다. 장로님이 겪었던 6.25는 어땠습니까.

제가 중2때 일이라 기억이 선명합니다. 지금은 남원시로 승격됐지만 당시 행정상으로 남원읍에서 태어났습니다. 교통 요충지였죠. 그래서 북한이 남침하거나 후퇴할 때 남원을 통과해야 했습니다. 중2때면 이념이 뭔지도 잘 모를 때였죠. 비행기가 뜨고 대포소리, 총소리가 나니까 읍내에서는 못 있고, 시골 할머니 댁에 피란 가 있었습니다. 그래서 선배들이 겪은 고통스러운 전투는 목격하지 못했습니다. 하지만 남원이 지리산 아래다 보니 빨치산에 대해 들었던 잔인한 소문들과 북한군 토벌 작전 본부가 우리 중학교였던 것, 우리 동네에 장군이 지나가던 것들이 기억에 납니다. 전쟁에 대한 것들은 후에 전쟁 기록과 영화를 보고 잘 알게 됐지요.

▲박환인 장로는 전쟁 가해자는 용서하되 잊지 말아야 함을 강조했다.©뉴스미션

- 기독교인이 6.25전쟁을 바라봐야 하는 시각은 어때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6ㆍ25전쟁은 일본이나 중국이 영토확장을 위해 침략한 외침이 아닙니다. 전쟁이 벌어지면 아무리 빨리 끝난다 해도 수십만 명이 죽게 될 줄 알면서도 벌어진 동족상잔 전쟁입니다. 기독교인의 입장에서는 무엇보다 공산주의자들이 북한을 점령하자마자 장대현교회를 없애고 김일성 동상을 세운 것, 수많은 기독교인을 숙청한 것을 기억해야 합니다. 6ㆍ25 당시 기록을 보면 목사 540명 , 신부 180명이 피살된 걸로 나와 있습니다. 기독교인들이 원수를 용서하라는 말씀을 따라야 겠지만, 독일 나치 수용소에 있는 ‘용서하라, 그러나 잊지는 말라’는 말도 기억해야 할 것입니다. 중요한 것은 실체를 바로 아는 것입니다.

- 해병대 부사령관을 지내셨는데요, ‘귀신도 잡는다’는 해병대에서 신앙생활은 어떻게 하셨는지 궁금합니다.

저는 1977년 포항에서 대대장하던 시절에 군에 있는 교회를 다니기 시작했습니다. 당시만 해도 윗분들이 불교를 많이 믿을 때였습니다. 또 저희 집은 아버지가 원불교 원로를 지내신 원불교 집안이었습니다. 그래서 저도 중학교 때까지는 원불교도였습니다. 기독교를 접근하기 어려운 환경이었습니다. 어른이 되고 나서 주위에서 권유도 있었지만 안 믿었던 이유는 내 자신을 믿어왔기 때문이었죠. 성적도 좋고 건강하고 잘나갔기 때문에 얼마든지 내 힘으로 목표를 달성하리라고 믿었습니다.

그러던 중에 갑작스런 계기가 생겼습니다. 제가 대대장이던 시절 연대장이던 선배가 계셨는데, 그분은 자연스럽게 곧 장군이 될 것이라고 모두가 인정하던 분이었거든요. 그런데 간첩이 그 부대 근처에 왔다가 소대장과 전령을 쏘는 일이 일어나는 바람에 중대장부터 연대장까지 모두 전역하는 일이 있었습니다. 그 때 ‘세상 일이란 게 내 뜻대로 안되는구나. 하나님께 의지하고 도움을 받아야겠다’는 생각이 강렬하게 들었습니다. 그래서 바로 그 다음 주일에 교회에 나가기 시작했지요. 난 시간을 돌아보면 저는 군인이 아니었으면 하나님을 만나지 못했을 것 같습니다. 집안 환경도 그랬고요. 군대 가게 됨으로 하나님 믿게 된 것이 예비하심 같습니다. 하나님께서는 잘못 된 것 같은데 결과적으로 잘 되게 해주시는 간증을 저에게 많이 주셨습니다. 해병대에서 부사령관까지 했으니 큰 은혜와 도우심을 입은거지요.

- ‘6ㆍ25 진실알리기운동본부’를 통해 앞으로의 계획을 부탁드립니다

이번에 〈6ㆍ25란 무엇인가〉라는 책자와 만화로 된 〈창이와 숙이가 겪은 6ㆍ25〉를 만들어 배포할 예정입니다. 6ㆍ25를 설명하는 20분짜리 동영상도 보급과 함께 어린이들을 위해 글짓기와 웅변대회도 준비하고 있습니다. 6ㆍ25전쟁을 제대로 모르는 세대, 안보의식이 없는 세태에 대해 많은 사람들이 걱정은 하면서도 아무것도 하지 않고 있는 게 요즘 세태인데, 나라 안보를 위한 기도도 중요하지만, 기도와 함께 행동에 옮기는 자세가 필요하리라 봅니다. 또 각 가정마다 교육을 통해 6ㆍ25에 대해서도 잘 알렸으면 좋겠습니다. 저는 북한과의 전면전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봅니다. 오히려 우리 내부에서 붕괴하기 시작하는 것이 더 문제라고 봅니다. 나라의 장래를 위해 고뇌하되 행동하는 자세가 여러 면에서 필요할 것입니다.

 

32724o.jpg
▲6ㆍ25전쟁 진실알리기운동본부가 발간한 자료집©뉴스미션




  1. 바다가 얼어 망한 스웨덴

    러시아의 바다를 통한 스웨덴 침공로. 나폴레옹. 스웨덴의 구스타브 4세 초상화. 무척 추운 겨울이었던 1808년에서 1809년 겨울, 러시아군은 얼음으로 꽁꽁 얼어버린 보스니아 만을 핀란드에서부터 스웨덴까지 가로질...
    Date2011.03.16 By운영자 Views5332
    Read More
  2. 아메리카 인디언의 꿈을 뒤덮은 안개

    1812년 유럽에서는 나폴레옹 전쟁이 한창 진행되고 있었다. 미국은 말로는 중립을 선언했으나 많은 군수물자를 프랑스에 팔아 엄청난 이익을 챙기고 있었다. 이에 영국이 미국의 선박을 강제로 나포하는 일이 자주 발...
    Date2011.03.16 By운영자 Views5932
    Read More
  3. 지뢰탐지중인 미군

    Date2011.02.24 By운영자 Views5036
    Read More
  4. 미해군 덴버함의 LCAC

    Amphibious assault vehicles from a battalion landing team with Lima Company, 3rd Battalion, 1st Marine Regiment, 31st Marine Expeditionary Unit, III Marine Expeditionary Force conduct an amphibious lan...
    Date2011.02.24 By운영자 Views4661
    Read More
  5. 개인비행 장비 ‘Jet pack’

    개발 중인 마틴 사의 제트팩. 출처 : www.martinjetpack.com 2010년 11월, 스위스 모험가 이브 로시가 맞춤 제작한 제트 추진 날개옷(제트팩)을 입고 열기구에서 뛰어내려 비행하고 있다.연합뉴스 수천 년 동안 인간...
    Date2011.02.23 By운영자 Views6717
    Read More
  6. 美 해군 이지스함, 멀쩡하던 마스트가 ‘뚝’

    [서울신문 M & M] 취역한 지 1년도 안 된 미 해군의 신형 이지스함에서 마스트(Mast)의 일부가 부러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미국의 군사전문지인 네이비타임즈는 통상적인 임무를 수행하던 미 해군 구축함 '그레이블리...
    Date2011.02.16 By운영자 Views7892
    Read More
  7. 영국군의 무덤이 된 아프가니스탄전쟁

    아프가니스탄은 고대부터 서양과 동양을 연결하는 중요한 곳이었다. 실크로드의 핵심기지와 루트 중 하나였다. 바닷길이 열린 후에는 주변 강대국들의 이해관계가 상충하는 요충지로 변했다. 1830년대도 마찬가지였다...
    Date2011.02.16 By운영자 Views9738
    Read More
  8. 일본 JGSDF 대원

    CRRC training with JGSDF, EWTGPAC [Image 5 of 8] A scout swimmer, with the Japanese Ground Self Defense Force, Western Army Infantry Regiment, simulates securing a beach during combat rubber raiding cr...
    Date2011.02.15 By운영자 Views5316
    Read More
  9. 미군의 통로개척차량 - 지뢰 및 푹발물제거

    Date2011.02.15 By운영자 Views4662
    Read More
  10. 얼어버린 함포

    Date2011.02.15 By운영자 Views4315
    Read More
  11. 커티스윌버함(DDG54)

    2010년 9월 한미함정공개행사에 참여하기 위해 인천항 1부두에 입항한 커티티스윌버함 커티스윌버함의 파푼미사일발사대
    Date2011.02.14 By운영자 Views5660
    Read More
  12. 미해군 causseway ferry

    SATTAHIP NAVAL STATION, Kingdom of Thailand - A U.S. Navy causeway ferry carries humvees from the USNS Lummus during a maritime prepositioning force offload during exercise Freedom Banner 2011 Jan. 26,...
    Date2011.02.13 By운영자 Views426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19 Next
/ 19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