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384.jpg

 

<러시아의 ASM-DT. 위쪽은 유탄발사기와 대검을 장착하고 수중용 탄창을 삽탄한 상태며, 아래 쪽은 지상용 탄창을 삽탄한
상태다.>

 

 

 

구소련은 SPP-1M이라는 수중 권총을 성공적으로 개발, 운용했으나 곧 이것의 문제점 역시 빠르게 지적했다. 일단 장탄수가 4발에 불과하다는 것이 첫 번째 문제였고, 두 번째는 사거리가 수중용이라는 기준으로 봐도 짧다는 것이었다.

 이런 일선의 요구를 받아들인 구소련의 총기 설계자들은 놀랍게도 ‘수중 돌격소총’이라는 새로운 장르를 만들었으며, 그 결과 완성된 것이 1975년에 채택된 APS이다.

 APS 개발의 핵심은 수중 권총보다 강력한 탄약을, 지상의 돌격소총과 마찬가지로 자동·반자동 선택사격이 가능하게 만드는 것이었다. 먼저 이들은 탄약 개발부터 시작했다. SPP-1용 탄약과 마찬가지로 화약의 힘으로 발사되는 긴 다트 형태의 탄약은 구경이 5.66㎜로 커지는 등 전반적으로 대형화됐으며, 이로 인해 수중 5m에서 30m, 수중 40m 깊이에서도 11m의 유효사거리를 발휘할 수 있게 됐다. 지상에서는 물의 저항이 없어 사거리는 더 늘어나지만, 강선이 없는 총열에서 발사되므로 유효사거리는 그 수준이 약 100m에 불과하다.

 가장 중요한 수중에서의 작동은 뜻밖에도 지상용의 자동소총과 마찬가지로 가스압 작동식이다. 특수 설계된 가스조절기를 이용, 수중과 지상 모두에서 사용이 가능하도록 선택될 수 있는데, 수중에서 쓸 경우에는 총열을 포함한 총 전체가 물에 완전히 잠긴 상태에서 써야 한다. 또 공기와 달리 물은 압축되지 않기 때문에 몸통은 뒷부분이 뚫려 있다. 그렇지 않으면 물의 강력한 저항으로 작동에 지장을 받기 때문이다. 전체적으로 이 총은 수중에서의 사용을 전제로 만들어졌으며, 이 때문에 지상에서도 사용이 가능하지만 이때의 총열 수명은 180발 정도로 줄어든다(수중에서는 약 2000발).

 APS는 혁신적인 수중 총기이지만, 지상에서는 본격적 돌격소총과 비견될 무기는 아니었다. 이 때문에 부대에 따라서는 APS를 쓰지 않고 수중에서는 SPP-1M만을, 지상에서는 별도로 준비한 AK-74 소총을 쓰는 부대가 적지 않았다. 결국 이런 문제를 해결하고 수중-지상 모두에서 효과적으로 쓸 수 있는 돌격소총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러시아군 특수부대의 요청으로 ASM-DT라는 수륙양용 돌격소총이 만들어져 2000년부터 실전에 배치됐다.

 이 총은 APS용과 흡사한 5.45㎜ 구경의 수중탄약과 AK-74용 5.45㎜ 탄약을 동시에 쓰도록 만들어진 것으로, 수중에서는 대형의 수중 탄약용 탄창을 쓰지만 지상에서는 AK-74용 탄창을 쓴다. 탄창의 크기가 다르기 때문에 사용 탄창의 종류를 바꿀 때에는 탄창 멈치의 위치를 전진시키며, 이때 가스 조절기가 자동으로 지상 모드로 바뀐다. 강선이 파여 있어 지상에서의 명중률이 일정 수준 보장되지만, 강선은 화약 가스 일부가 탄자보다 먼저 앞으로 나가면서 총열 안에 남아 있는 물을 밖으로 뿜어내 안전사고를 예방하게 돼 있다. 여기에 더해 이 총에는 40㎜ 유탄발사기(GP-25)도 장착하도록 돼 있으며, 지상에서는 야시장비나 조준장비를 장착할 수 있다. APS와 ASM-DT 모두 지금은 해외 수출용으로 주목받고 있다.
2010.11.8  국방일보 <홍희범 월간 `플래툰' 편집장>



  1. No Image

    프랑스의 국방개혁

    프랑스군은 1997년부터 현재까지 15년에 걸쳐 지속적으로 총 3차의 국방개혁을 추진하고 있다. 1997~2002년에 1차, 2003년~2008년 2차 개혁이 추진됐고, 현재는 2009~2014년의 제3차 개혁시기라고 할 수 있다. 오늘부...
    Date2011.06.13 By운영자 Views4745
    Read More
  2. 영국군의 국방개혁

    과거 해가 지지 않는 나라라고 불렸던 영국. 지금은 과거에 비해 세계적 위상이 다소 추락했으나 아프가니스탄에 9500명 파병, 리비아전 주도 등 미국과 더불어 주요 국제 분쟁에 적극적으로 개입해 군사작전을 펼치...
    Date2011.06.09 By운영자 Views4833
    Read More
  3. 스텔스 헬기 - 소리 없이 적지에 침투해 작전 수행한다

    최근 신문지상에서는 파키스탄 내에 은신 중이던 9·11 테러 용의자 오사마 빈 라덴을 포착한 미군이 특수전부대인 네이비 실(Navy SEAL)팀을 투입해 사살한 작전을 대대적으로 보도한 바 있다. ‘제로니모’로 명명된 ...
    Date2011.06.08 By운영자 Views6512
    Read More
  4. 6·25 호국영웅 백선엽 예비역 대장

    <한국경제 월요인터뷰 > 6 · 25 기습남침을 단행한 북한군이 서울을 무너뜨리고 낙동강까지 진격하는 데 걸린 기간은 두 달이 채 되지 않았다. 낙동강 부근 다부동마저 밀리면 대구와 부산이 함락되는 것은 시간문제...
    Date2011.06.05 By운영자 Views5042
    Read More
  5. 스마트폰 미군군사훈련 투입

    [아시아경제 양낙규 기자]미군이 군사훈련을 위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해 눈길을 끌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이 3일 "미군이 스마트폰을 실전에 사용하기 위해 오는 6일부터 뉴멕시코주의 사막지대인 화...
    Date2011.06.04 By운영자 Views4409
    Read More
  6. 가래로도 못 막은 과달카날 전투

    日, 미군 전력 모르고 공격했다 연이은 참패 日, 4차에 걸쳐 전사 14800·병사 9000·포로 1000명 손실 연합군에 육지뿐만 아니라 해상·공중서도 주도권 넘겨줘 / 2011.06.01 석지실장(惜指失掌)이라는 고사성어가 있다...
    Date2011.06.01 By운영자 Views9993
    Read More
  7. 미국 골드워터-니콜스법 제정 배경·경과

    버락 오바마 미 대통령이 30일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차기 합참의장으로 마틴 뎀프시(왼쪽 둘째) 육군대장을, 차기 합참부의장 으로 제임스 윈펠드(왼쪽 셋째) 해군대장을, 차기 육군참모총장으로 레이몬드 오디에르노...
    Date2011.05.31 By운영자 Views13413
    Read More
  8. 선덕여왕

    신라 삼보(三寶)의 하나인 황룡사 목탑 터에는 현재 초석만이 남아 있다. 643년 당나라에서 유학을 마치고 귀국한 자장 (慈藏)의 요청으로 건조됐다. 645년 처음 건축을 시작해 그해 4월 8일에 찰주를 세우고 이듬해 ...
    Date2011.05.17 By운영자 Views4975
    Read More
  9. 탄도미사일 방어체계

    미래전의 경우 위협의 양상은 현재보다 다양화될 것으로 보인다. 그중에서도 공중공격 위협은 전술 항공기ㆍ헬기ㆍ전략 탄도미사일 위주에서 순항 미사일ㆍ무인 항공기ㆍ전구 탄도미사일 등으로 다양화되고 있으며 그...
    Date2011.05.16 By운영자 Views5696
    Read More
  10. No Image

    아프간 주둔 미군은 줄지만 군견은 대폭늘려

    미군이 아프가니스탄 주둔군의 단계적 철수로 폭탄 테러가 더욱 기승을 부릴 것으로 예상, 폭발물 탐지 군견(軍犬)을 연내 70% 가량 늘리기로 했다. 오는 7월부터 아프가니스탄 철군을 시작하는 미군은 현재 350마리 ...
    Date2011.05.13 By운영자 Views4672
    Read More
  11. 명장의 조건, 아라비아의 로렌스

    아랍의 낙타부대. T. E. 로렌스 영화 `아라비아의 로렌스' 포스터. 영화 ‘아라비아의 로렌스’의 주인공이기도 한 T. E. 로렌스는 터키의 압제로부터 아랍 민족에게 독립을 안겨준 멋진 사나이였다. 16세기부터 터키 ...
    Date2011.05.11 By운영자 Views4156
    Read More
  12. No Image

    현대史 특수작전 `18대 미션'

    알 카에다의 최고지도자 오사마 빈 라덴의 사살로 마무리된 미군 특수부대의 미션은 치밀한 계획과 첨단 기술이 동원된 ‘성공작’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과거 세계 각국의 군대와 경찰 특수요원들이 동원된 작전...
    Date2011.05.10 By운영자 Views4669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18 Next
/ 18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