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995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첨부

 

저격소총.jpg

 

미 육군의 신형 저격총인 XM2010.

 

미 육군은 9월, 약 3600정의 XM2010 저격총을 도입하기로 결정하고 올해 안에 약 250정의 XM2010을 아프가니스탄 등에 우선적으로 배치한다고 밝혔다. 그렇다면 이 새로운 저격총인 XM2010은 과연 무엇일까?

 일단 XM2010은 완전히 새로운 총은 아니다. 기존의 M24 저격총에서 기관부를 재활용, 여기에 새로운 형태의 총몸과 탄창·총열을 장착한 업그레이드 모델이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지난해까지 이 모델은 M24E1, 즉 M24 저격총의 개량형이라고 불린 바 있다.

 그러나 개량이라고 해도 그 변화는 개량이라기보다는 ‘기존 부품을 일부 재활용한 신규 제작’이라고 해도 좋을 정도로 크다.

 가장 큰 변화는 성능 그 자체다. 사용탄이 기존의 7.62㎜ 나토(NATO)탄이 아닌, 탄피 길이가 무려 16㎜나 더 길어진 .300윈체스터 매그넘 탄약이 된 것이다. 이 탄약은 유효사거리가 약 1400m에 달해 800m의 사거리를 갖던 기존의 M24보다 비약적으로 사거리와 살상력 모두가 향상됐다. 물론 이 탄이 다른 나라들에서 활발히 도입 중이고 미군 특수부대에서도 일부 사용 중인 .338라푸아 매그넘보다 다소 떨어지는 측면이 있다. 미국은 .300윈체스터 매그넘을 특수부대 등에서 오랫동안 사용해 온 데다 M24 자체가 처음부터 .300윈체스터 매그넘으로의 업그레이드를 염두에 둔 설계이기 때문에 비용 측면을 고려해 .300윈체스터 매그넘으로의 업그레이드를 결정한 듯하다.

 이처럼 기존 탄약인 7.62㎜ 나토탄보다 월등히 사거리가 늘어난 신형탄을 채택하는 이유는 나토탄을 반자동 저격총인 M110에서 사용하기 때문이다. M110은 반자동이지만 기존의 M24와 비견될 약 800m의 유효사거리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아프가니스탄 등에서는 1000m 이상의 장거리 저격에 대한 수요가 높고, 이로 인해 800m까지의 비교적 단거리(기존 개념에서는 장거리이지만)는 반자동의 M110이, 그 이상의 거리는 XM2010이나 M107(12.7㎜) 같은 장거리 저격총이 담당할 것으로 보인다.

 XM2010은 미 육군의 제식 저격총으로는 두 번째로 처음부터 소음기가 장착되도록 설계된 총이기도 하다. 총구에는 소염기를 겸한 소음기 장착용 어댑터가 있어 별도 개조나 부품 장착 없이 소음기를 탈착할 수 있게 돼 있다. 현대의 저격총에는 소음기가 필수품이라는 인식은 선진국에서는 거의 기본으로 굳어지는 추세로, 비록 발사음을 완전히 감추지는 못해도 저격 위치의 판정을 매우 곤란하게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또 현대의 저격총기용 소음기는 총기의 정밀도 훼손이 거의 없고 영점조차 원래와 큰 차이 없이 유지되므로 운용상의 난점이 매우 적기도 하다.

 총몸 부분도 기능적으로 큰 변화가 생겼다. 총열 덮개에는 긴 레일이 장착돼 단순히 조준경뿐만 아니라 레이저 거리 측정기, 야시장비, 조명장치 등의 각종 액세서리를 쉽게 장착할 수 있게 됐다. 또 개머리판도 옆으로 접히는 방식으로 바뀌면서 유사시 운반이 기존 모델보다 훨씬 쉬워졌다. 탄창도 기존 M24의 고정식과 다른 탈착식으로 변경, 교체가 가능해졌다.

<국방일보, 홍희범 월간 `플래툰' 편집장>



  1. 미해병대 저격수 1982년 베이루트

    [다음 아고라 양웬리님의 글] 남자들이라면 저격수에 대한 일종의 동경과 흠모 같은 것이 있는 분들이 많을 것입니다. 웹서핑을 하다 저격수의 작전중 공개된 것이 있어 이렇게 발췌해 옵니다. 1982년 레바논의 베이...
    Date2010.08.20 By배나온 슈퍼맨 Views9184
    Read More
  2. 미해병과 함께 낙하하는 전투용자전거

    미해병대원과 함께 낙하하는 전투용자전거입니다. 자전거에도 U.S MARINE 이 선명하게 찍혀있군요! Airborne bicycles lead the way Now this is what I call a bad ass bike. It is already in use by the Marines. ...
    Date2010.08.20 By슈퍼맨 Views3945
    Read More
  3. 미해군의 전투복 - 커티스윌버함의 승조원들

    사진은 인천상륙작전 60주년 기념행사의 일환으로 지난 9월16일 인천항에서 있었던 한미해군함정공개행사에 입항하는 미해군 구축함 커티스윌버함의 승조원들 모습입니다. <사진 임영식기자> 입항후 커티스윌버함의 ...
    Date2010.09.20 By운영자 Views8509
    Read More
  4. 미해군의 LCAC-58

    BARKINGS SANDS, KAUAI (July 15, 2001) -- Landing Craft Air Cushion (LCAC) 58 from Assault Craft Unit-Five (ACU 5) based at Camp Pendleton Calif., flies along the beach and prepares to off-load Marines,...
    Date2010.08.20 By운영자 Views6865
    Read More
  5. 미해군 상륙함 덴버함

    Date2011.06.27 By운영자 Views4501
    Read More
  6. 미해군 덴버함의 LCAC

    Amphibious assault vehicles from a battalion landing team with Lima Company, 3rd Battalion, 1st Marine Regiment, 31st Marine Expeditionary Unit, III Marine Expeditionary Force conduct an amphibious lan...
    Date2011.02.24 By운영자 Views4613
    Read More
  7. 미해군 causseway ferry

    SATTAHIP NAVAL STATION, Kingdom of Thailand - A U.S. Navy causeway ferry carries humvees from the USNS Lummus during a maritime prepositioning force offload during exercise Freedom Banner 2011 Jan. 26,...
    Date2011.02.13 By운영자 Views4226
    Read More
  8. 미키 마우스 부츠 - 美, 1951년 한국 전선 제1해병사단에 첫 지급

    1951년 보급된 후 개량을 거쳐 현재도 사용 중인 미키 마우스 부츠(오른쪽)와 설장위장·단열 등 을 고려해 흰색으로 만든 버니 부츠. 필자제공 제2차 세계대전 중 유럽 전선에서는 슈팩이라는 우수한 방한화가 애용됐...
    Date2012.01.09 By배나온슈퍼맨 Views5296
    Read More
  9. 미육군 신형 저격총 XM2010

    미 육군의 신형 저격총인 XM2010. 미 육군은 9월, 약 3600정의 XM2010 저격총을 도입하기로 결정하고 올해 안에 약 250정의 XM2010을 아프가니스탄 등에 우선적으로 배치한다고 밝혔다. 그렇다면 이 새로운 저격총인 ...
    Date2010.12.05 By관리자 Views9955
    Read More
  10. 미군참전비와 미육군 제187 공수전투단 참전비

    미군참전비와 미육군 제187 공수전투단(US Army 187 Airborne Regimental Combat Team) 참전비
    Date2012.07.19 By배나온슈퍼맨 Views4084
    Read More
  11. 미군의 패트리어트 미사일

    2010 지상군페스티발에 전시된 미군의 패트리어트미사일
    Date2010.10.12 By운영자 Views6198
    Read More
  12. 미군의 통로개척차량 - 지뢰 및 푹발물제거

    Date2011.02.15 By운영자 Views462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18 Next
/ 18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