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008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첨부

 

저격소총.jpg

 

미 육군의 신형 저격총인 XM2010.

 

미 육군은 9월, 약 3600정의 XM2010 저격총을 도입하기로 결정하고 올해 안에 약 250정의 XM2010을 아프가니스탄 등에 우선적으로 배치한다고 밝혔다. 그렇다면 이 새로운 저격총인 XM2010은 과연 무엇일까?

 일단 XM2010은 완전히 새로운 총은 아니다. 기존의 M24 저격총에서 기관부를 재활용, 여기에 새로운 형태의 총몸과 탄창·총열을 장착한 업그레이드 모델이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지난해까지 이 모델은 M24E1, 즉 M24 저격총의 개량형이라고 불린 바 있다.

 그러나 개량이라고 해도 그 변화는 개량이라기보다는 ‘기존 부품을 일부 재활용한 신규 제작’이라고 해도 좋을 정도로 크다.

 가장 큰 변화는 성능 그 자체다. 사용탄이 기존의 7.62㎜ 나토(NATO)탄이 아닌, 탄피 길이가 무려 16㎜나 더 길어진 .300윈체스터 매그넘 탄약이 된 것이다. 이 탄약은 유효사거리가 약 1400m에 달해 800m의 사거리를 갖던 기존의 M24보다 비약적으로 사거리와 살상력 모두가 향상됐다. 물론 이 탄이 다른 나라들에서 활발히 도입 중이고 미군 특수부대에서도 일부 사용 중인 .338라푸아 매그넘보다 다소 떨어지는 측면이 있다. 미국은 .300윈체스터 매그넘을 특수부대 등에서 오랫동안 사용해 온 데다 M24 자체가 처음부터 .300윈체스터 매그넘으로의 업그레이드를 염두에 둔 설계이기 때문에 비용 측면을 고려해 .300윈체스터 매그넘으로의 업그레이드를 결정한 듯하다.

 이처럼 기존 탄약인 7.62㎜ 나토탄보다 월등히 사거리가 늘어난 신형탄을 채택하는 이유는 나토탄을 반자동 저격총인 M110에서 사용하기 때문이다. M110은 반자동이지만 기존의 M24와 비견될 약 800m의 유효사거리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아프가니스탄 등에서는 1000m 이상의 장거리 저격에 대한 수요가 높고, 이로 인해 800m까지의 비교적 단거리(기존 개념에서는 장거리이지만)는 반자동의 M110이, 그 이상의 거리는 XM2010이나 M107(12.7㎜) 같은 장거리 저격총이 담당할 것으로 보인다.

 XM2010은 미 육군의 제식 저격총으로는 두 번째로 처음부터 소음기가 장착되도록 설계된 총이기도 하다. 총구에는 소염기를 겸한 소음기 장착용 어댑터가 있어 별도 개조나 부품 장착 없이 소음기를 탈착할 수 있게 돼 있다. 현대의 저격총에는 소음기가 필수품이라는 인식은 선진국에서는 거의 기본으로 굳어지는 추세로, 비록 발사음을 완전히 감추지는 못해도 저격 위치의 판정을 매우 곤란하게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또 현대의 저격총기용 소음기는 총기의 정밀도 훼손이 거의 없고 영점조차 원래와 큰 차이 없이 유지되므로 운용상의 난점이 매우 적기도 하다.

 총몸 부분도 기능적으로 큰 변화가 생겼다. 총열 덮개에는 긴 레일이 장착돼 단순히 조준경뿐만 아니라 레이저 거리 측정기, 야시장비, 조명장치 등의 각종 액세서리를 쉽게 장착할 수 있게 됐다. 또 개머리판도 옆으로 접히는 방식으로 바뀌면서 유사시 운반이 기존 모델보다 훨씬 쉬워졌다. 탄창도 기존 M24의 고정식과 다른 탈착식으로 변경, 교체가 가능해졌다.

<국방일보, 홍희범 월간 `플래툰' 편집장>



  1. No Image

    프랑스의 국방개혁

    프랑스군은 1997년부터 현재까지 15년에 걸쳐 지속적으로 총 3차의 국방개혁을 추진하고 있다. 1997~2002년에 1차, 2003년~2008년 2차 개혁이 추진됐고, 현재는 2009~2014년의 제3차 개혁시기라고 할 수 있다. 오늘부...
    Date2011.06.13 By운영자 Views4745
    Read More
  2. 영국군의 국방개혁

    과거 해가 지지 않는 나라라고 불렸던 영국. 지금은 과거에 비해 세계적 위상이 다소 추락했으나 아프가니스탄에 9500명 파병, 리비아전 주도 등 미국과 더불어 주요 국제 분쟁에 적극적으로 개입해 군사작전을 펼치...
    Date2011.06.09 By운영자 Views4833
    Read More
  3. 스텔스 헬기 - 소리 없이 적지에 침투해 작전 수행한다

    최근 신문지상에서는 파키스탄 내에 은신 중이던 9·11 테러 용의자 오사마 빈 라덴을 포착한 미군이 특수전부대인 네이비 실(Navy SEAL)팀을 투입해 사살한 작전을 대대적으로 보도한 바 있다. ‘제로니모’로 명명된 ...
    Date2011.06.08 By운영자 Views6512
    Read More
  4. 6·25 호국영웅 백선엽 예비역 대장

    <한국경제 월요인터뷰 > 6 · 25 기습남침을 단행한 북한군이 서울을 무너뜨리고 낙동강까지 진격하는 데 걸린 기간은 두 달이 채 되지 않았다. 낙동강 부근 다부동마저 밀리면 대구와 부산이 함락되는 것은 시간문제...
    Date2011.06.05 By운영자 Views5042
    Read More
  5. 스마트폰 미군군사훈련 투입

    [아시아경제 양낙규 기자]미군이 군사훈련을 위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해 눈길을 끌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이 3일 "미군이 스마트폰을 실전에 사용하기 위해 오는 6일부터 뉴멕시코주의 사막지대인 화...
    Date2011.06.04 By운영자 Views4409
    Read More
  6. 가래로도 못 막은 과달카날 전투

    日, 미군 전력 모르고 공격했다 연이은 참패 日, 4차에 걸쳐 전사 14800·병사 9000·포로 1000명 손실 연합군에 육지뿐만 아니라 해상·공중서도 주도권 넘겨줘 / 2011.06.01 석지실장(惜指失掌)이라는 고사성어가 있다...
    Date2011.06.01 By운영자 Views9993
    Read More
  7. 미국 골드워터-니콜스법 제정 배경·경과

    버락 오바마 미 대통령이 30일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차기 합참의장으로 마틴 뎀프시(왼쪽 둘째) 육군대장을, 차기 합참부의장 으로 제임스 윈펠드(왼쪽 셋째) 해군대장을, 차기 육군참모총장으로 레이몬드 오디에르노...
    Date2011.05.31 By운영자 Views13413
    Read More
  8. 선덕여왕

    신라 삼보(三寶)의 하나인 황룡사 목탑 터에는 현재 초석만이 남아 있다. 643년 당나라에서 유학을 마치고 귀국한 자장 (慈藏)의 요청으로 건조됐다. 645년 처음 건축을 시작해 그해 4월 8일에 찰주를 세우고 이듬해 ...
    Date2011.05.17 By운영자 Views4975
    Read More
  9. 탄도미사일 방어체계

    미래전의 경우 위협의 양상은 현재보다 다양화될 것으로 보인다. 그중에서도 공중공격 위협은 전술 항공기ㆍ헬기ㆍ전략 탄도미사일 위주에서 순항 미사일ㆍ무인 항공기ㆍ전구 탄도미사일 등으로 다양화되고 있으며 그...
    Date2011.05.16 By운영자 Views5696
    Read More
  10. No Image

    아프간 주둔 미군은 줄지만 군견은 대폭늘려

    미군이 아프가니스탄 주둔군의 단계적 철수로 폭탄 테러가 더욱 기승을 부릴 것으로 예상, 폭발물 탐지 군견(軍犬)을 연내 70% 가량 늘리기로 했다. 오는 7월부터 아프가니스탄 철군을 시작하는 미군은 현재 350마리 ...
    Date2011.05.13 By운영자 Views4672
    Read More
  11. 명장의 조건, 아라비아의 로렌스

    아랍의 낙타부대. T. E. 로렌스 영화 `아라비아의 로렌스' 포스터. 영화 ‘아라비아의 로렌스’의 주인공이기도 한 T. E. 로렌스는 터키의 압제로부터 아랍 민족에게 독립을 안겨준 멋진 사나이였다. 16세기부터 터키 ...
    Date2011.05.11 By운영자 Views4156
    Read More
  12. No Image

    현대史 특수작전 `18대 미션'

    알 카에다의 최고지도자 오사마 빈 라덴의 사살로 마무리된 미군 특수부대의 미션은 치밀한 계획과 첨단 기술이 동원된 ‘성공작’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과거 세계 각국의 군대와 경찰 특수요원들이 동원된 작전...
    Date2011.05.10 By운영자 Views4669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18 Next
/ 18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