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12.10 00:48

F-117 스텔스기

조회 수 644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첨부

 

f117.jpg

 

<레이저 유도폭탄을 투하하는 F-117 스텔스기>

1991년 걸프전을 통해 세상에 널리 알려진 F-117 스텔스기는 1970년대부터 개발이 시작됐다. 미국이 스텔스기 개발의 필요성을 느낀 계기는 베트남 전쟁에서 북베트남군의 지대공 미사일에 의해 많은 피해를 입으면서부터다. 73년 제4차 중동전에서 소련의 신형 지대공 미사일에 의한 이스라엘 공군의 피해도 역시 중요한 계기가 됐다. 이러한 배경하에 미 국방부는 국방고등연구국(DARPA)을 통해 록히드 사와 노스롭 사에 스텔스기를 개발할 것을 지시했다.

美, 1988년 사진으로 첫 공개

 록히드가 제작한 스텔스 시제기가 최초로 비행한 것은 77년 12월 1일이고, 78년 5월 4일에 사고로 손실됐다. F-117은 이 시제기를 바탕으로 실제 공격임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내부무장과 센서를 탑재하고, 기체를 전반적으로 확대한 기종이다. 극비리에 개발된 F-117은 외부 언론에 노출되지 않고 존재를 계속 숨길 수 있었으나 88년에 미 국방부가 F-117 사진 한 장을 공식적으로 공개했다.

 F-117A는 91년 걸프전에서 세계적으로 유명해졌지만 1년 앞서 파나마에 투입됐던 첫 실전 사례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F-117A의 첫 실전 투입은 총 6대로 이뤄졌고, 폭탄을 투하한 기체는 2대였다. 토노파 기지를 이륙한 6대가 공중급유를 받으면서 향한 곳은 파나마의 수도 파나마시티와 중부에 있는 리오하트였다. F-117A 제1편대의 2대는 리오하트에 있는 파나마군 보병부대 막사를 공격했다. 레이더에 탐지되지 않고 리오하트에 접근한 F-117은 각각 1발씩 2000파운드 폭탄을 막사와 가까운 거리에 명중시켰다. F-117의 폭격은 악천후와 통신 착오로 인해 완벽한 것은 아니었으나 스텔스기에 의한 기습이 효과적임을 나타낸 최초의 사례가 됐다.

 다음 해인 90년 8월 2일, 이라크가 쿠웨이트를 침공하자 미국을 필두로 하는 다국적군이 대이라크전의 준비를 갖췄다. 다국적군 항공기에 F-117이 포함된 것을 이라크도 알고 있었으므로 미국은 파나마 경우처럼 완전한 기습은 불가능하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이라크군의 방공시스템은 전혀 F-117을 탐지할 수 없었고, 바그다드에 있는 대통령 관저와 바트당 본부, 이라크군 사령부, 이라크 및 쿠웨이트의 지휘 통신시설은 기습 공격을 당했다.

 1월 16일 23시, 카미스 무샤이드를 출격한 F-117 36대는 저고도로 침입해 공격하고, 고고도로 귀환하는 비행을 실시했다. F-117이 바그다드 상공에 도달했을 때 등화관제가 실시되지 않았고, F-117은 기수에 장비된 센서로 목표 건물을 조준해 레이저 유도폭탄으로 명중시킬 수 있었다. 최초 목표 시설은 미국이 과거 AT&T 사옥으로 사용했고, 이라크군이 접수한 후에 통신시설로 사용되고 있던 건물이었다. 이 AT&T 빌딩에 폭탄이 명중되는 영상은 TV를 통해 널리 방송됐고, 스텔스와 스마트무기라는 최첨단 군사기술을 세계인의 머릿속에 각인시켰다.

첫 실전은 1990년 파나마 공격

 중추적인 지휘시설이 무력화돼 이라크군은 효과적인 반격도 못해 본 채 결국 정전에 응했다. 만약 F-117 스텔스기에 의한 개전 첫날의 공습이 없었다면 다국적군 측은 절대적인 항공우세를 확보하는 데 시간이 걸려 피해가 증가했을 것이 자명하다. 불시에 완전하게 기습한 것도 아니고 적이 대응할 준비를 마친 상태에서도 기습이 성공할 수 있었던 것은 F-117과 스텔스라는 기술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었다.

<국방일보 조용민 전사연구가>


TAG •

  1. No Image

    프랑스의 국방개혁

    프랑스군은 1997년부터 현재까지 15년에 걸쳐 지속적으로 총 3차의 국방개혁을 추진하고 있다. 1997~2002년에 1차, 2003년~2008년 2차 개혁이 추진됐고, 현재는 2009~2014년의 제3차 개혁시기라고 할 수 있다. 오늘부...
    Date2011.06.13 By운영자 Views4745
    Read More
  2. 영국군의 국방개혁

    과거 해가 지지 않는 나라라고 불렸던 영국. 지금은 과거에 비해 세계적 위상이 다소 추락했으나 아프가니스탄에 9500명 파병, 리비아전 주도 등 미국과 더불어 주요 국제 분쟁에 적극적으로 개입해 군사작전을 펼치...
    Date2011.06.09 By운영자 Views4833
    Read More
  3. 스텔스 헬기 - 소리 없이 적지에 침투해 작전 수행한다

    최근 신문지상에서는 파키스탄 내에 은신 중이던 9·11 테러 용의자 오사마 빈 라덴을 포착한 미군이 특수전부대인 네이비 실(Navy SEAL)팀을 투입해 사살한 작전을 대대적으로 보도한 바 있다. ‘제로니모’로 명명된 ...
    Date2011.06.08 By운영자 Views6512
    Read More
  4. 6·25 호국영웅 백선엽 예비역 대장

    <한국경제 월요인터뷰 > 6 · 25 기습남침을 단행한 북한군이 서울을 무너뜨리고 낙동강까지 진격하는 데 걸린 기간은 두 달이 채 되지 않았다. 낙동강 부근 다부동마저 밀리면 대구와 부산이 함락되는 것은 시간문제...
    Date2011.06.05 By운영자 Views5042
    Read More
  5. 스마트폰 미군군사훈련 투입

    [아시아경제 양낙규 기자]미군이 군사훈련을 위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해 눈길을 끌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이 3일 "미군이 스마트폰을 실전에 사용하기 위해 오는 6일부터 뉴멕시코주의 사막지대인 화...
    Date2011.06.04 By운영자 Views4409
    Read More
  6. 가래로도 못 막은 과달카날 전투

    日, 미군 전력 모르고 공격했다 연이은 참패 日, 4차에 걸쳐 전사 14800·병사 9000·포로 1000명 손실 연합군에 육지뿐만 아니라 해상·공중서도 주도권 넘겨줘 / 2011.06.01 석지실장(惜指失掌)이라는 고사성어가 있다...
    Date2011.06.01 By운영자 Views9993
    Read More
  7. 미국 골드워터-니콜스법 제정 배경·경과

    버락 오바마 미 대통령이 30일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차기 합참의장으로 마틴 뎀프시(왼쪽 둘째) 육군대장을, 차기 합참부의장 으로 제임스 윈펠드(왼쪽 셋째) 해군대장을, 차기 육군참모총장으로 레이몬드 오디에르노...
    Date2011.05.31 By운영자 Views13413
    Read More
  8. 선덕여왕

    신라 삼보(三寶)의 하나인 황룡사 목탑 터에는 현재 초석만이 남아 있다. 643년 당나라에서 유학을 마치고 귀국한 자장 (慈藏)의 요청으로 건조됐다. 645년 처음 건축을 시작해 그해 4월 8일에 찰주를 세우고 이듬해 ...
    Date2011.05.17 By운영자 Views4975
    Read More
  9. 탄도미사일 방어체계

    미래전의 경우 위협의 양상은 현재보다 다양화될 것으로 보인다. 그중에서도 공중공격 위협은 전술 항공기ㆍ헬기ㆍ전략 탄도미사일 위주에서 순항 미사일ㆍ무인 항공기ㆍ전구 탄도미사일 등으로 다양화되고 있으며 그...
    Date2011.05.16 By운영자 Views5696
    Read More
  10. No Image

    아프간 주둔 미군은 줄지만 군견은 대폭늘려

    미군이 아프가니스탄 주둔군의 단계적 철수로 폭탄 테러가 더욱 기승을 부릴 것으로 예상, 폭발물 탐지 군견(軍犬)을 연내 70% 가량 늘리기로 했다. 오는 7월부터 아프가니스탄 철군을 시작하는 미군은 현재 350마리 ...
    Date2011.05.13 By운영자 Views4672
    Read More
  11. 명장의 조건, 아라비아의 로렌스

    아랍의 낙타부대. T. E. 로렌스 영화 `아라비아의 로렌스' 포스터. 영화 ‘아라비아의 로렌스’의 주인공이기도 한 T. E. 로렌스는 터키의 압제로부터 아랍 민족에게 독립을 안겨준 멋진 사나이였다. 16세기부터 터키 ...
    Date2011.05.11 By운영자 Views4156
    Read More
  12. No Image

    현대史 특수작전 `18대 미션'

    알 카에다의 최고지도자 오사마 빈 라덴의 사살로 마무리된 미군 특수부대의 미션은 치밀한 계획과 첨단 기술이 동원된 ‘성공작’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과거 세계 각국의 군대와 경찰 특수요원들이 동원된 작전...
    Date2011.05.10 By운영자 Views4669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18 Next
/ 18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