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병묵시록.jpg


대개 전쟁영화는 군 통수권자인 대통령이나 최전선에서 병력을 진두지휘하는 장군 등 한 인물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하지만 때로는 대상이 복수인 경우도 있다. 특수한 임무를 띤 소수의 정예군이나 분대 병력이 그들이다. 이들은 난공불락의 적지에 침투해 적의 주요 시설을 파괴하거나 정보를 빼내 오는 역할을 맡게 된다.

그 과정에서 이들은 신출귀몰한 액션과 마술에 가까운 전술, 허를 찌르는 전략으로 적들을 일거에 무찌르며 관객들에게 시원하고 통쾌한 활극을 제공한다.

병사들의 캐릭터도 다양하다. 맏형 같은 리더를 중심으로 우람한 체구의 충직한 전사, ‘골통’으로 불리는 고집스러운 대원, 적인지 아군인지 정체성이 모호한 자가 있는가 하면, 까칠한 성격의 소유자도 있고 남자를 능가하는 여전사도 감초처럼 끼어 있다. 이 같은 개성 강한, 혹은 물불 안 가리는 대원들은 서로 갈등하고 티격태격하지만 결국 전우애로 ‘미션 임파서블(불가능한 임무)’을 수행한다.

해병묵시록_2.jpg

 


영화 ‘해병묵시록’은 중대장을 포함한 해병대 분대 병력이 주인공이다. 6·25전쟁이 막바지로 치닫던 1952년, 최정예 해병대원들과 폭파 전문가, 금고털이로 구성된 특공대가 죽음을 무릅쓰고 북한 화학공장에 침투, 요새 같은 공장을 폭파하고 장렬한 최후를 맞는다는 내용이다.

영화는 북한 요새에 침투한 해병대원들의 무용담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여기에 전쟁의 참상과 전우애, 일상 속 휴머니즘과 웃음을 적절히 배합해 보여주는데, 아쉽게도 완성도 측면에서는 다소 기대에 못 미친다. 하지만 남쪽으로 쳐내려온 북한군 또는 공비와 벌이는 공방전이나, 한 여성을 두고 일어나는 남북한 군인 간의 비극적인 로맨스를 그린 영화와는 달리 북한 적지에 침투한 국군이 북한에서 게릴라전을 벌이고 탈출한다는 점에서 차별화된다. 방어 차원의 전투가 아니라 적지에서 하는 공격적인 전투라는 면에서 역동적이다.

 

해병묵시록_3.jpg


영화 제목 ‘해병묵시록’은 어려운 임무를 수행하는 해병대의 비장미를 살리려는 의도로 명명된 듯한데, 원래 묵시록(默示錄)은 신약성서 중 마지막 부분으로, 종말과 최후의 심판을 뜻한다. 베트남전을 배경으로 미군의 윌라드 대위가 군에서 탈영한 커츠 대령을 찾는 과정을 통해 전쟁의 광기를 그린 프랜시스 포드 코폴라 감독의 1979년 작 ‘지옥의 묵시록(Apocalypse Now)’을 떠올리게 하는 제목이다.

6·25전쟁을 소재로 한 ‘잘 만들어진(well-made)’ 전쟁영화는 많다. ‘태극기 휘날리며’ ‘고지전’ ‘웰컴 투 동막골’ 등은 관객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었다. 하지만 이데올로기나 주제 면에선 아쉬운 점도 적지 않다. 우리 국군의 무용담이나 활약상을 표현하는 데 소홀했다는 느낌이다. 국군의 전우애나 활약상보다는 전쟁 자체에 역점을 두다 보니 북한군이 지나치게 우호적으로 묘사됐다는 것이다. 권위주의 시절처럼 일방적인 반공영화나 국책 영화를 만들 수는 없지만 남북한이 대치하고 있는 상황에서 적어도 우리 국군의 조국애나 무용담만큼은 사실적이고 균형감 있게 그려져야 한다.

6·25전쟁 당시 우리 해병대의 용맹성은 널리 알려져 있다. ‘귀신 잡는 해병’이란 별명이 그것을 방증한다. 이 문구를 처음 사용한 사람은 미국 뉴욕 헤럴드 트리뷴지의 종군기자 마거릿 히긴스다. 그녀는 6·25전쟁 발발 이틀 만에 우리나라에 와 최전선에서 전쟁의 참상을 전 세계에 알렸다. 특히 경남 통영지역이 북한군에게 점령당한 후, 우리 해병대의 상륙작전을 취재하며 그들의 용맹성에 대한 기사를 작성했다. 그때 그녀가 신문사에 타전한 “귀신도 잡는 해병(They might even capture the devil)”이라는 표현은 지금까지도 우리 해병대의 용맹성을 나타내는 문구로 회자된다.

6·25전쟁은 한반도에 치명적인 상흔을 남겼다. 대한민국의 자유와 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해 수많은 용사들이 목숨을 바쳤고 국민이 죽었다. 다시는 이 같은 전쟁이 일어나선 안 된다. 하지만 이 같은 바람은 우리 국민이 원한다고 이뤄지는 게 아니다. 상대가 있다는 말이다. 새해 들어 북한의 김정은은 대륙간탄도탄(ICBM) 발사 능력을 과시하며 우리를 여전히 위협하고 있다. 투철한 안보의식과 철통 같은 방위태세는 새해에도 한결같은 우리의 의무요, 사명이다.


감독:이병주
주연:유영국, 김영일, 김주영

<김병재 영화평론가>

<국방일보>

 



  1. 해병대 병 1272기 전역

    2021년 7월 26일 입영한 병 1272기가 전역했습니다. 1272기 해병들의 전역을 축하합니다. 병 1272기 전역! 축하해~~ 새로운 출발은 항상 마음을 들뜨게 만드는데요! 오늘은 새해 첫 걸음을 내딛는 병1272기의 명예로운 전역식날입니다. 2021년 7월 26일. 뜨거운 열정으로 입영하여 주어진 기간 국가와 국민을 위해 맡은바 임...
    Date2023.01.25 By관리자 Views276995
    Read More
  2. 해병대 병 1271기 전역

    2021년 6월 28일 해병대교육훈련단에 입영한 2022년 12월 27일 해병대 병1271기가 국방의 의무를 훌륭히 완수하고 명예롭게 전역하였습니다. 어제죠!! 병1271기가 국방의 의무를 훌륭히 완수하고 2022년 12월27일 명예롭게 전역하였습니다. 곳곳에서는 병1271기의 전역행사가 함께한 선ㆍ후배, 간부님의 축하속에 이루어졌는...
    Date2022.12.28 By관리자 Views288224
    Read More
  3. 해병대 교육훈련단 산악전교육대 최청일 상사 - 국방일보 포토뷰 '전우, 우리 곁의 군인 이야기'

    해병대 교육훈련단 산악전교육대 최청일 상사 국방일보 포토뷰 '전우, 우리 곁의 군인 이야기' 산 속에서도 귀신 잡을 수 있게! 해병대 교육훈련단 상륙전교육대대 산악전교육대 교관 최청일 상사가 교육생들에게 산악구조 시범을 보이고 있다. 장병들의 진솔한 이야기를 한 장의 인물사진과 짧은 인터뷰로 만나보는 포토뷰(...
    Date2022.09.13 By관리자 Views310852
    Read More
  4. 해병대지 96호

    해병대 96호에서는 특집<73주년 국군의날 기념식> <해병대와 연평도, 승리의 기록> <해병대 재창설 이야기>,<해병대 군악대 창설 70주년 기념 정기연주회 > <ADEX-2021 해병대 홍보관 운영> 등 해병대 소식과 영화리뷰, 책 소개, 법뮬과 의학 상식, 환경이야기 등 생활과 상식에 보탬이 되는 칼럼들이수록되어 있다. 해병대...
    Date2021.11.17 By관리자 Views178452
    Read More
  5. 해병대 95호

    해병대 95호 해병대 95호가 발간되었다. 해병대지는 해병대에 대한 다양한 소식과 유익한 상식정보를 담고 있는 격월간으로 발행되고 있다. 이번 [해병대] 95호에서는 특집<인천상륙· 서울탈환 전투사>& 회고록, <마린온 순직자 3주기 추모행사> <군산·장항·이리지구 전투 전승행사><통영지구전투카드뉴스>등에 대한 자세한 ...
    Date2021.09.08 By관리자 Views74590
    Read More
  6. 해병묵시록, 불타는 전우애로 하나된 해병 이들 앞 불가능은 없었다!

    대개 전쟁영화는 군 통수권자인 대통령이나 최전선에서 병력을 진두지휘하는 장군 등 한 인물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하지만 때로는 대상이 복수인 경우도 있다. 특수한 임무를 띤 소수의 정예군이나 분대 병력이 그들이다. 이들은 난공불락의 적지에 침투해 적의 주요 시설을 파괴하거나 정보를 빼내 오는 역할을 맡게 된다...
    Date2017.01.11 By운영자 Views1253
    Read More
  7. 해병전사프로그램① 전투전사

    전투전사 과정은 전입신병이 부대에 전입 후 일정기간동안 자기주도적 수련으로 올바른 병영문화에 대한 이해와 선정된 핵심과제를 집중 숙달하여 최단 시간 내 정예 전투원을 육성하는 과정으로, 군 생활 시작 단계부터 능동적이고 계획적인 생활습관을 배양하기 위해 전입 후 4주간의 기간 동안 정과시간을 부여하여, 자기...
    Date2014.10.13 By운영자 Views1783
    Read More
  8. 악! 해병대 최선입니다, 확실해요

    “어렸을 때부터 해병대 팔각모와 빨간 명찰을 꿈꿨습니다. 연평도 사태를 보며 꿈은 절박함으로 바뀌었습니다. 이번에 떨어 지면 될 때까지 지원할 겁니다. 스물한 살 청년의 눈시울이 붉어졌다. “지원할 겁니다”라고 외치는 그의 표정과 목소리에서 비장함마저 느껴졌다. 이런 청년이 한둘이 아니다. 1월 19일 서울 영등포...
    Date2011.02.14 By운영자 Views6170
    Read More
  9. 해병 전역자는 21세기 홍길동?

    “애걔걔, 해군이잖아! 아빠는 순 뻥쟁이야. ” 평소 ‘귀신잡는 해병’ 출신임을 중학생 아들에게 자랑해온 40대 회사원인 김아무개씨는 얼마전 아들 앞에서 무안을 당했다. 지하철역 무인민원발급기에서 해병 출신이라고 뽑내려고 병적 증명서를 발급받았는데, 김씨의 병적증명서 ‘군별’에 ‘해군’으로 표기되어 있었기 때문이...
    Date2011.02.12 By운영자 Views6402
    Read More
  10. 대한민국 최정예 해병대원들은 평소에 무엇을 하나?

    지난해 연평도 포격사건 이후 해병대 지원자가 늘어났다는 뉴스를 본 적이 있습니다. 요즘 우리 젊은이들이 개인의 미래만 걱정 하고 안보의식이 결여되어 있다고 생각할 수 있는데 위기의 순간이 닥쳐오니 그들의 조국에 대한 사랑은 실로 놀랍더군요. 이 젊은이들의 깊은 애국심에 감동하기도 했습니다. 연평도 포격으로 ...
    Date2011.02.10 By운영자 Views5801
    Read More
  11. 육십 남자 팔뚝의 'ROKMC'

    < 문갑식 스포츠부장> 스포츠(Sports)라는 말은 라틴어가 어원(語源)이라고 한다. '물건을 운반한다'는 뜻인데 프랑스어와 영어에선 '엄하고 가혹한 작업이나 노동에서 잠시 벗어나 기분 전환을 한다'는 의미로 바뀌었다. 힘껏 몸을 써 땀 흘리면 기분이 바뀌지만 감동의 드라마가 없다면 스포츠가 아니다. 스포츠 기사 데스...
    Date2011.01.22 By운영자 Views7116
    Read More
  12. 해병대 - 강원일보 언중언

    군이 인류 역사상 가장 오래된 직업 중 하나라는 것은 국방의 중요성을 의미하는 것이다. 명예와 충성심으로 상징되는 군은 군기와 사기를 먹고사는 집단이다. 전장에서 병사의 일탈과 실수에 일벌백계의 처단을 내리고 흩어지는 기세를 결집했던 극단의 처방은 모두 군기와 사기였다. ▼춘추전국시대 무패신화의 장군, 오기...
    Date2010.12.20 By운영자 Views429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Next
/ 2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