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518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첨부

5-3.jpg ◇ 공정식 장군은
▲1925년 9월 3일 경남 출생
▲1948년 해군 경주함 함장
▲1952년 해병대 제3 전투단장
▲1957년 한미 해병 연합상륙 여단장
▲1964∼1966년 제6대 해병대 사령관
▲1967년 제7대 국회의원
▲1994년 성우회 부회장

나는 무인이다. 제6대 해병대사령관 임기를 끝으로 군복을 벗은 지 40여 년이 지난 지금도 나는 군인으로 살고 있다. 일상에서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사람은 대부분 군대 시절 연을 맺었던 사람들이다. 내 정신세계를 지배하는 가치관과 사고방식까지도 옛날 그대로다.

따라서 내 관심분야는 무기나 군사훈련, 또는 국방문제 현안이나 국군 발전 같은 일에 집중돼 있다. 옛날이야기를 해 보라는 국방일보 부탁을 받고 내 할 일이 아니라고 망설였다. 그러나 해병대 얘기를 들려줄 적임자라는 말에 대답이 궁해져 마지못해 마음을 정했다. 사령관 경험자 가운데 선임자의 한 사람으로서 고사만 할 수는 없었다.

내 나이 올해 여든 셋, 이제 옛날을 돌아보면서 남길 말을 정리할 때가 되기도 했다. 아무것도 없던 건국 초기 맨주먹 하나로 시작한, 그야말로 무(無)에서 유(有)를 만들어 낸 거짓말 같은 이야기를 증언할 필요성도 느낀다. 또 해군과 해병은 동반자이고, 분리해서는 존재할 수 없는 해상세력(Sea Power)으로서의 존재가치도 알리고 싶다.

해군은 대양해군으로 거듭나기 위해서라도 해병대를 좀 더 이해하고 지원해야 한다. 해병대는 태생과 정체성을 인식하고 해군과 동반 발전해 5대양 6대주를 무대로 웅비해야 한다.우리 집은 3대 해병가족이다. 내 아들 셋이 모두 해병대 출신이고, 손자들 중에도 둘이 해병대와 연을 맺었다. 60년도 채 안 되는 해병대 역사에 이런 일은 흔치 않다.

얼마 안 되는 해군·해병대 역정을 통해 화려하고 찬란한 역사를 만들어 내는 데 몸 바친 현역과 예비역 해군·해병전우들, 그리고 우리와 연을 맺은 모든 이를 사랑하는 마음으로 이야기를 하려고 한다.건군 초창기 그 어려웠던 시절의 여러 일들과 6·25전쟁, 베트남전 일선에서 애환을 함께 나눈 전우들 모습이 새삼 뇌리에 떠올라 감개무량했다.

수많은 전우들 가운데 용감히 싸우다가 아깝게 산화한 사람도 많다. 이 지면이 아직 살아 있는 전우들과 그들의 넋이 한자리에 만날 수 있는 만남의 장이 됐으면 좋겠다.나는 해군으로 군문에 들어가 소령 시절에 해병대로 전과한 사람이다. 그래서 해군과 해병대 양쪽 경험을 골고루 갖고 있다. 그 덕분에 우리 전사에 남은 유명한 전투에 골고루 참여해 본 행운을 누린 사람이다.

6·25 당시 역사적인 인천상륙작전에 참여한 것은 내 인생 최대의 영광이었고, 해군소령 당시 해병대로 전과해 ‘무적해병’ 신화 창조에 일조한 것도 개인적으로 크나큰 행운이다. 그중에서도 도솔산 전투 같은 세계 전사에 남을 대첩의 주인공이 된 것은 영원히 잊을 수 없는 추억으로 남았다. 청룡부대 베트남전 파병을 주도한 일도 그렇다.

우리 역사상 처음으로 자유를 수호하려는 이웃 나라를 돕기 위해 수만 명의 군대를 파견한 일은 개인적인 영광만이 아니다. 역사의 생명과 가치는 진실 그 속에 있다. 이미 존재하는 기록이 날조되거나 왜곡된 부분이 있다면 그것은 역사를 모독하고 우리의 자존심과 명예를 욕되게 하는 것이므로 마땅히 도려내고 바로잡아야 한다.

또 치부가 드러난다고 해서 그것을 부끄럽게 생각할 것이 아니라, 그것을 직시함으로써 그 교훈을 올바르게 깨우쳐야 한다고 믿는다. 주관과 편견을 배제하고 신빙성 있는 자료를 토대로 이야기를 전개하려고 한다. <공정식 前 해병대사령관/정리= 문창재·언론인>


TAG •

  1. 공정식 전 해병대사령관 장학금 전달

    "일생동안 끊이지 않는 해병대사랑." 통영상륙작전, 도솔산전투, 사천ㆍ장단강지구전투 등 6ㆍ25전쟁 기간동안 수많은 전투에서 혁혁한 공을 세운 '해병대의 살아있는 전설' 공정식 前 해병대사령관께서 호국보훈의 ...
    Date2017.06.28 Category6대 공정식 Views384017
    Read More
  2. 연평도포격 2주기 추모식 참석한 공정식사령관님

    연평도포격 전사자 2주기 추모식에 참석한 공정식사령관님 모습입니다.
    Date2012.11.24 Category6대 공정식 Views6260
    Read More
  3. 금성을지무공훈장과 훈장증 - 공정식사령관

    공정식 6대 해병대사령관께서 인천상륙작전에 참가하여 수여받은 금성을지무공훈장과 훈장증 - 인천상륙작전기념관
    Date2012.03.28 Category6대 공정식 Views9371
    Read More
  4. No Image

    국민에게 석고대죄자세로 새롭게 태어나자!

    세계 최고의 정예군대를 지향하는 해병대는 군기가 엄한 강한 군대, 투명하고 깨끗한 조직문화,투철한 사명감과 윤리 의식을 가진 해병대로 새로이 태어나야 하겠다. / 공정식 제6대 해병대사령관 오래전 군문을 떠난...
    Date2011.12.11 Category6대 공정식 Views5988
    Read More
  5. 인천상륙작전전승행사 참석한 공정식사령관

    인천상륙작전전승행사 참석한 공정식사령관 인터뷰중인 공정식사령관
    Date2011.09.19 Category6대 공정식 Views5095
    Read More
  6. 천자봉과 해병대 - 바다의 사나이·영원한 해병-44

    진해만을 병풍처럼 둘러싼 장복산 줄기 동남쪽 끝에 천자봉이라는 봉우리가 있다. 천자봉은 높이가 500m 정도지만 그와 연해 있는 시루봉(웅산)은 693.8m나 된다. 밑에서 보면 평범해 보이지만 가파르고 돌과 바위가 ...
    Date2011.04.24 Category6대 공정식 Views7079
    Read More
  7. 바다의 사나이·영원한 해병-38-해병대 편에 들어가면서

    지금까지의 이야기는 한국 해군 초창기 내가 겪었거나, 보고 들은 것이다. 이제부터는 이 시리즈의 본론이라 할 해병대 차례다. 이 이야기를 하려고 먼 길을 돌아 온 느낌이다. 왜 해병대인가. 많은 군대 가운데 왜 ...
    Date2011.04.24 Category6대 공정식 Views4532
    Read More
  8. 바다의 사나이·영원한 해병-21-아아! 전함 백두산

    해군은 전투함을 가져야 진정한 해군이다. 전투 수단을 갖지 못한 군대를 어찌 군대라 하겠는가. 건국 초기 해군의 가장 큰 염원이 전투함이었음은 말할 나위 없다. 나는 영광스럽게도 미국에 출장가서 한국 해군 최...
    Date2011.04.24 Category6대 공정식 Views4933
    Read More
  9. 바다의 사나이·영원한 해병-18-함정 납북사건

    한반도가 통일을 이루지 못하고 남북한에 각각 정부가 수립된 1948년부터 6·25전쟁 때까지 남북 간에는 체제 경쟁이 치열했다. 특히 북한은 남로당을 조종해 남한사회의 혼란을 획책하기에 열중했다. 빈번한 납치와 ...
    Date2011.02.13 Category6대 공정식 Views7312
    Read More
  10. 바다의 사나이·영원한 해병-7-해군장교 임관

    우리 1기생은 구축함 실습 중 임관돼 임관기념 사진이 없다. 졸업식도 2기생 입교식 날 더부살이처럼 가졌다. 60년이 넘은 해군사관학교 역사상 이런 일은 그것이 처음이자 마지막이었다. 그럴 만한 사유가 있었기 때...
    Date2011.01.28 Category6대 공정식 Views4891
    Read More
  11. 바다의 사나이·영원한 해병-5-해사시절

    초창기 해군사관학교 교과목은 지금의 이학사 과정에 비춰도 크게 손색이 없을 정도였다. 국어·영어·국사·대수·물리 같은 교양 공통과목에, 군사·통신·항해·기관·군법·지정학·해병학 같은 전문과목도 공통 필수과목이...
    Date2011.01.28 Category6대 공정식 Views4588
    Read More
  12. 바다의 사나이·영원한 해병 공정식- 프롤로그

    ◇ 공정식 장군은 ▲1925년 9월 3일 경남 출생 ▲1948년 해군 경주함 함장 ▲1952년 해병대 제3 전투단장 ▲1957년 한미 해병 연합상륙 여단장 ▲1964∼1966년 제6대 해병대 사령관 ▲1967년 제7대 국회의원 ▲1994년 성우회 ...
    Date2011.01.28 Category6대 공정식 Views518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Next
/ 2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