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견기간 지역 파견 부대·요원 파견 인원
    1965.3.10~1973.3.23 월남전 주월사령부,맹호,백마,청룡,
    십자성,비둘기,백구,은마 등
    8개 부대
    연인원 31만2,853명
    (전사 4,960명,
    부상 10,962명)
    1991.1.24~4.10 걸프전 국군의료지원단 연 154명
    1991.2.24~4.10 공군수송단 연 160명
    1993.7.30~1994.3.18 소말리아 공병대대(상록수부대) 연인원 516명
    1994.8.9~2006.5.15 서부사하라 국군의료지원단 연인원 542명
    1994.10.6~2009.7.9 그루지야 그루지야 정전감시단 옵서버 연 88명
    1997.3.3~1998.3.31 인도, 파키스탄 인·파 정전감시단 옵서버 10명(연인원 135명)
    1995.10.5~1996.12.23 앙골라 101 공병대대 연인원 600명
    1999.10.4~2003.10.23 동티모르 보병대대(상록수부대) 420명(연 3,328명)
    2000.1.16~2004.6.4 동티모르 참모 및 연락단원 연 45명
    2001.11.16~현재 미국 중부사령부 참모/협조장교 3명(연인원 35명)
    2001.12.18~2003.9.1 아프간 해군수송지원단(해성부대) 연인원 823명, LST 1척
    2001.12.21~2003.12.20 공군수송지원단(청마부대) 연인원 446명, C-130 2대
    2002.2.27~2007.12.14 국군의료지원단(동의부대) 연인원 780명
    2003.3.28~2007.12.14 건설공병지원단(다산부대) 연인원 1,330명
    2002.3.28~2008.12.4 CJTF-101 협조장교 연인원 22명
    2002.7.21~2007.1.26 CFC-A 참모장교 연인원 9명
    2003.7.6~ 현재 유엔 아프간지원단 연락장교 1명(연인원 6명)
    2008.4.23~현재 KMVTT 군의료진 5명(연인원 13명)
    2009.6.23~현재 CJTF-82 협조장교 2명(연인원 2명)
    2009.9.6~현재 CSTC-A 참모요원 4명(연인원 4명)
    2002.1.4~2003.12.23 사이프러스 사이프러스 사령관 1명(육군 중장)
    2003.2.12~2008.12.19 이라크 MNF-I 협조반 요원 연인원 49명
    2003.8.7~2008.12.19 MNF-I 참모장교 연인원 82명
    2003.4.30~2004.4.23 건설공병지원단(서희부대) 연인원 956명
    국군의료지원단(제마부대) 연인원 185명
    2004.4.23~2008.12.30 민사재건부대(자이툰부대) 연인원 17,708명
    2004.10.12~2008.12.21 제58항공수송단(다이만부대) 연인원 1,324명
    2005.12.7~2008.12.17 RRT 부팀장 연인원 4명
    2003.3.25~현재 지부티 CJTF-HOA 참모장교 1명(연인원 11명)
    2003.10.18~현재 라이베리아 유엔 라이베리아임무단 옵서버 2명(연인원 12명)
    2004.9.15~2006.12.11 부룬디 유엔 부룬디임무단 옵서버 연인원 4명
    2005.11.25~현재 수단 유엔 수단임무단 옵서버 7명(연인원 31명)
    2009.6.16~현재 유엔 수단다푸르임무단 옵서버 2명(연인원 2명)
    2007.3.12~2008.7.25 네팔 유엔 네팔임무단 옵서버 연인원 5명
    2009.2.10~현재 4명(연인원 4명)
    2007.1.16~현재 레바논 유엔 레바논평화유지군 참모장교 3명(연인원 8명)
    2007.7.19~현재 보병대대(동명부대) 359명(연인원 1,747명)
    2008.3.10~현재 유엔 레바논평화유지군 서부여단 5명(연인원 14명)
    2008.1.16~현재 소말리아 해역 연합해군사령부 참모 2명(연인원 3명)
    2009.3.13~현재 청해부대 297명(연인원 594명)
    2009.3.6~현재 연합해군사령부 협조장교 1명(연인원 1명)
    2009.3.23~현재 CJTF-HOA 협조장교 3명(연인원 3명)
    2008.4.23~현재 미국 미 중부사 참모 및 협조단 3명(연인원 33명)
    2009.7.28~현재 코트디부아르 코트디부아르 평화유지군 2명(연인원 2명)
    2009.7.29~현재 서부사하라 유엔 서부사하라선거감시단 2명(연인원 2명)
    2009.11.11~현재 아이티 아이티 안정화지원단 1명(연인원 1명)
    2009.2.10~현재 아이티 아이티 단비부대 240명


    CJTF : Combined Joint Task Force(연합합동군)
    CFC-A : Combined Force Command-Afghanistan(아프간 연합군사령부)
    KMVTT : Korean Medical and Vocational Training Team(의료지원/직업훈련팀)
    CSTC-A : Combined Security Transition Command-Afghanistan(아프간 연합 치안전환사령부)
    MNF-I : MutiNational Force -Iraq(이라크 다국적군)
    RRT : Regional Reconstruction Team (지방재건팀)
    CJTF-HOA : Combined Joint Task Force-Horn Of Africa(연합합동군-아프리카의 뿔)

    ※ 파병완료 : 343,583명, 총 누계 : 344,589명

  • hb_img_11.jpg

  •  


TAG •

  1. 세계 최강의 K-9 자주포

    [첨단무기 개발비화]세계 최강의 K-9 자주포(Ⅷ) 신인호 국방일보 기자 1991년 10월 해군사관학교 순항훈련분대는 한국해군 사상 처음으로 인도양, 홍해, 수에즈운하를 거쳐 지중해로 들어서 유럽대륙에 발을 디뎠다. ...
    Date2010.06.28 By운영자 Views8786
    Read More
  2. 여군의 다짐

    옛 여군학교 터에 ‘여군의 다짐’비(碑) 새로 자리잡다. 2005년말 여군발전단 해단 뒤 옛 여군학교 터에 시설본부 건물을 신축, 2007년말 입주하게 됨으로써,옛 여군학교의 흔적은 역사 속에 묻히게 되었다. 1980년 건...
    Date2010.06.19 By운영자 Views5841
    Read More
  3. 여군의 탄생과 발전 역사

    여자배속장교 양성 정부 수립 후 1948년 말경 중등학교 이상의 학교에 학도호국단을 조직하고, 그들을 훈련시킬 지도교관 양성을 위해 전국 중·고·대학의 체육교사를 중심으로 단기간의 군사교육 실시 후, 소속 학교...
    Date2010.06.19 By운영자 Views8871
    Read More
  4. 초대 여군병과장 김현숙

    김현숙 초대 여군병과장 그는 누구인가? 일찍이 육상에 소질을 드러내다 한국여군의 탄생 주역인 초대 여군병과장 김현숙 님은 1915년 7월 4일 평양에서 출생하여 서문여고를 거쳐 1934년 일본 동경 체육전문학교를 ...
    Date2010.06.19 By운영자 Views5367
    Read More
  5. 회전익 무인기 Fire Scout

    우리 군은 현재 2020년을 목표로 군 구조개혁을 추진하고 있다. 군 구조개혁의 골간은 병력 위주의 양적 재래식 군사력 구조를 현대전 개념에 맞게 기술 위주의 질적첨단 군사력 구조로 전환하는 것이다. 병력을 단계...
    Date2010.06.16 By운영자 Views7445
    Read More
  6. 서해 항공모함 포커 [한국일보 강병태컬럼]

    북한의 천안함 도발에 맞서 한미 해군이 지난 주 서해에서 실시할 예정이던 연합기동훈련이 연기됐다. 이달 말이나 7월초에 한다지만, 미 항공모함 조지 워싱턴(CVN-73)이 계획대로 참가할 지가 관건이다. 중국의 강...
    Date2010.06.15 By슈퍼맨 Views4065
    Read More
  7. 지뢰지대 통로개척장비

    미크릭·포민스 -Ⅱ 활용 기동로 확보 / 2009.06.15 전투부대의 접근과 기동을 효과적으로 방해하는 무기체계로서 지뢰가 사용된다. 적이 매설한 지뢰는 발견한다 해도 제거하는 절차가 복잡하고 위험하며 상당한 시간...
    Date2010.06.12 By운영자 Views5902
    Read More
  8. 북한 ‘해상사격구역’ 선포 저의와 우리 군의 대비

    송대성 세종연구소소장 북한은 2009년 11월 대청해전 패배이후 서해 북방한계선(NLL) 인근 주요 포병기지에 서울수도권을 위협하는 방사포 수십 문을 전진 배치하였다. 그리고 2009년 12월 21일 북한 해군사령부는 “...
    Date2010.06.12 By운영자 Views1832
    Read More
  9. No Image

    한반도전쟁 시뮬레이션 해봤더니…하루만에 240만명 사상

    한반도 전쟁 시뮬레이션 해봤더니…하루만에 240만명 사상 [시사IN] 호전론자들 주장대로 전쟁을 하면 한·미 연합군이 승리한다. 그러나 ‘민족 공멸’의 피해를 피할 길이 없다. 전면전 발생 하루 만에 230여 만명이 사...
    Date2010.06.09 By운영자 Views5157
    Read More
  10. 작전계획5026, 5027, 5028, 그리고 5029은 어떤 작전계획 인가?

    작전계획5027(北과 전면전 대비 극비 군사작전계획)이 최초로 작성 될 때는 북한의 남침에 대비할 방어전략에 초점을 맞췄었다. 그러나 1998년 작성된 “5027-98”에는 북한의 도발 징후가 포착될 때 “선제타격 전략”을...
    Date2010.06.07 By운영자 Views6135
    Read More
  11. 여군의장대의 시범장면

    This set consists of photos from the War Memorial of Korea, located near United States Army Garrison Yongsan, Seoul, South Korea. In the summer, visitors to the memorial may also view an outdoor honor ...
    Date2010.06.06 By운영자 Views10685
    Read More
  12. 한국군 해외 파견현황

    파견기간 지역 파견 부대·요원 파견 인원 1965.3.10~1973.3.23 월남전 주월사령부,맹호,백마,청룡, 십자성,비둘기,백구,은마 등 8개 부대 연인원 31만2,853명 (전사 4,960명, 부상 10,962명) 1991.1.24~4.10 걸프전 ...
    Date2010.05.31 By운영자 Views4592
    Read More
  13. No Image

    군인의 월급

    군인의 봉급표 (월지급액, 단위 : 원) 계급 호봉 소장 준장 대령 중령 소령 대위 중위 소위 준위 원사 상사 중사 하사 1 3,184,200 2,997,900 2,414,000 2,138,700 1,743,500 1,379,800 1,060,700 961,600 1,270,100 ...
    Date2010.05.30 By운영자 Views4819
    Read More
  14. No Image

    한국군 작전통제권

    한국군에 대한‘작전지휘권’이 유엔군사령관에게 이양된 것은 한국전쟁이 한창이던 1 9 5 0년 7월 1 7일이었다. 당 시 이승만 대통령은 맥아더 유엔군사령관에게 보낸 서신에서 한국군에 대한 작전지휘권을“현재의 적...
    Date2010.05.28 By운영자 Views1479
    Read More
  15. 남북한 군사력비교표

    남북한 군사력비교표 (국방백서)
    Date2010.05.28 By운영자 Views570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Next
/ 20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