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견기간 지역 파견 부대·요원 파견 인원
    1965.3.10~1973.3.23 월남전 주월사령부,맹호,백마,청룡,
    십자성,비둘기,백구,은마 등
    8개 부대
    연인원 31만2,853명
    (전사 4,960명,
    부상 10,962명)
    1991.1.24~4.10 걸프전 국군의료지원단 연 154명
    1991.2.24~4.10 공군수송단 연 160명
    1993.7.30~1994.3.18 소말리아 공병대대(상록수부대) 연인원 516명
    1994.8.9~2006.5.15 서부사하라 국군의료지원단 연인원 542명
    1994.10.6~2009.7.9 그루지야 그루지야 정전감시단 옵서버 연 88명
    1997.3.3~1998.3.31 인도, 파키스탄 인·파 정전감시단 옵서버 10명(연인원 135명)
    1995.10.5~1996.12.23 앙골라 101 공병대대 연인원 600명
    1999.10.4~2003.10.23 동티모르 보병대대(상록수부대) 420명(연 3,328명)
    2000.1.16~2004.6.4 동티모르 참모 및 연락단원 연 45명
    2001.11.16~현재 미국 중부사령부 참모/협조장교 3명(연인원 35명)
    2001.12.18~2003.9.1 아프간 해군수송지원단(해성부대) 연인원 823명, LST 1척
    2001.12.21~2003.12.20 공군수송지원단(청마부대) 연인원 446명, C-130 2대
    2002.2.27~2007.12.14 국군의료지원단(동의부대) 연인원 780명
    2003.3.28~2007.12.14 건설공병지원단(다산부대) 연인원 1,330명
    2002.3.28~2008.12.4 CJTF-101 협조장교 연인원 22명
    2002.7.21~2007.1.26 CFC-A 참모장교 연인원 9명
    2003.7.6~ 현재 유엔 아프간지원단 연락장교 1명(연인원 6명)
    2008.4.23~현재 KMVTT 군의료진 5명(연인원 13명)
    2009.6.23~현재 CJTF-82 협조장교 2명(연인원 2명)
    2009.9.6~현재 CSTC-A 참모요원 4명(연인원 4명)
    2002.1.4~2003.12.23 사이프러스 사이프러스 사령관 1명(육군 중장)
    2003.2.12~2008.12.19 이라크 MNF-I 협조반 요원 연인원 49명
    2003.8.7~2008.12.19 MNF-I 참모장교 연인원 82명
    2003.4.30~2004.4.23 건설공병지원단(서희부대) 연인원 956명
    국군의료지원단(제마부대) 연인원 185명
    2004.4.23~2008.12.30 민사재건부대(자이툰부대) 연인원 17,708명
    2004.10.12~2008.12.21 제58항공수송단(다이만부대) 연인원 1,324명
    2005.12.7~2008.12.17 RRT 부팀장 연인원 4명
    2003.3.25~현재 지부티 CJTF-HOA 참모장교 1명(연인원 11명)
    2003.10.18~현재 라이베리아 유엔 라이베리아임무단 옵서버 2명(연인원 12명)
    2004.9.15~2006.12.11 부룬디 유엔 부룬디임무단 옵서버 연인원 4명
    2005.11.25~현재 수단 유엔 수단임무단 옵서버 7명(연인원 31명)
    2009.6.16~현재 유엔 수단다푸르임무단 옵서버 2명(연인원 2명)
    2007.3.12~2008.7.25 네팔 유엔 네팔임무단 옵서버 연인원 5명
    2009.2.10~현재 4명(연인원 4명)
    2007.1.16~현재 레바논 유엔 레바논평화유지군 참모장교 3명(연인원 8명)
    2007.7.19~현재 보병대대(동명부대) 359명(연인원 1,747명)
    2008.3.10~현재 유엔 레바논평화유지군 서부여단 5명(연인원 14명)
    2008.1.16~현재 소말리아 해역 연합해군사령부 참모 2명(연인원 3명)
    2009.3.13~현재 청해부대 297명(연인원 594명)
    2009.3.6~현재 연합해군사령부 협조장교 1명(연인원 1명)
    2009.3.23~현재 CJTF-HOA 협조장교 3명(연인원 3명)
    2008.4.23~현재 미국 미 중부사 참모 및 협조단 3명(연인원 33명)
    2009.7.28~현재 코트디부아르 코트디부아르 평화유지군 2명(연인원 2명)
    2009.7.29~현재 서부사하라 유엔 서부사하라선거감시단 2명(연인원 2명)
    2009.11.11~현재 아이티 아이티 안정화지원단 1명(연인원 1명)
    2009.2.10~현재 아이티 아이티 단비부대 240명


    CJTF : Combined Joint Task Force(연합합동군)
    CFC-A : Combined Force Command-Afghanistan(아프간 연합군사령부)
    KMVTT : Korean Medical and Vocational Training Team(의료지원/직업훈련팀)
    CSTC-A : Combined Security Transition Command-Afghanistan(아프간 연합 치안전환사령부)
    MNF-I : MutiNational Force -Iraq(이라크 다국적군)
    RRT : Regional Reconstruction Team (지방재건팀)
    CJTF-HOA : Combined Joint Task Force-Horn Of Africa(연합합동군-아프리카의 뿔)

    ※ 파병완료 : 343,583명, 총 누계 : 344,589명

  • hb_img_11.jpg

  •  


TAG •

  1. 해군 경항공모함 개념도

    해군 경항공모함 개념도 항모전투단 개념도 <사진 해군 홈페이지 경항모게시판>
    Date2021.04.22 By관리자 Views1161
    Read More
  2. 항공촬영 지침서 개정안 전문

    「항공촬영 지침서」개정 내용을 붙임과 같이 공지합니다. * 적용기간 : 2022.12.1. ~ 개정시까지
    Date2023.07.08 By관리자 Views181709
    Read More
  3. 합참 중심의 전구작전 지휘·수행체계 구축

    전작권 전환으로 안보 상황 새로운 변화 우리 군 주도 작전 수행위해 군 체계 정비 /국방일보 2011.05.17 2015년 전시작전통제권 전환은 우리 군 역사의 일대 전환점이라 할 수 있을 만큼 전혀 새로운 안보 상황의 변...
    Date2011.05.16 By운영자 Views4289
    Read More
  4. 한치도 흐트러짐 없는 훈련병들의 군기

    육군훈련소에 갓 입소해 교육을 받고 있는 훈련병들이 잠시 쉬기 위해 총을 철모 위에 가지런히 올려 놓은 모습. 한치도 흐트러짐 없는 모습에서 훈련병들의 엄정한 군기가 느껴진다.(1976년 3월 9일) 국방일보 DB / ...
    Date2012.03.12 By배나온슈퍼맨 Views1986
    Read More
  5. No Image

    한반도전쟁 시뮬레이션 해봤더니…하루만에 240만명 사상

    한반도 전쟁 시뮬레이션 해봤더니…하루만에 240만명 사상 [시사IN] 호전론자들 주장대로 전쟁을 하면 한·미 연합군이 승리한다. 그러나 ‘민족 공멸’의 피해를 피할 길이 없다. 전면전 발생 하루 만에 230여 만명이 사...
    Date2010.06.09 By운영자 Views5157
    Read More
  6. 한미상호방위조약

    ●「한·미 상호방위조약」체결 배경 한국전쟁중지를 위한 정전협정 체결 과정에서이승만 대통령이보여준 외교적 노력은 오늘날까지 한국의 자유민주주의 발전과 경제적 번영을 뒷받침해 온 한·미 동맹관계를 낳게하였...
    Date2010.08.02 By운영자 Views4167
    Read More
  7. No Image

    한미 지휘관계와 조화

    상부지휘구조 개편은 2015년 전시작전통제권 전환에 대비해 우리 군이 주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시대적 과업이다. 오늘은 상부지휘구조 개편에 따른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전후의 한미 지휘관계에 대해...
    Date2011.05.24 By운영자 Views3138
    Read More
  8. No Image

    한미 국방협력지침

    2010년 10월 4일 제42차 SCM시 발표한 한미간 국방협력지침입니다. 101009-국방협력지침 최종안[1].hwp
    Date2010.12.06 By관리자 Views3922
    Read More
  9. No Image

    한국전차의 발달과정

    [국방일보 신인호기자] 6·25전쟁 중 북한군의 소련제 T-34전차에 속수무책으로 당했던 국군이 오랜 세월 동안 가져온 숙원 중 하나는 ‘우리 손으로 만든 전차’를 갖는 것이었다. 우리 군은 1950년 미군으로부터 M36잭...
    Date2010.05.23 By운영자 Views5125
    Read More
  10. 한국군이 개발한 순항미사일 ‘현무-3C’ (한겨례21)

    베이징·도쿄도 사정권, 주변국 긴장 1990년 한-미 두 나라는 ‘한-미 미사일 각서’를 체결했다. 한국 정부가 보유할 수 있는 미사일 사거리를 180km로 제한하는 내용이었다. 탄두 중량도 500kg 이하만 개발 가능하도록...
    Date2010.08.02 By운영자 Views6023
    Read More
  11. No Image

    한국군 해외파견현황

    한국군 해외파견 현황(1월18일 기준)입니다. 한국군 해외파견 현황(1월18일).hwp
    Date2011.03.16 By운영자 Views4844
    Read More
  12. 한국군 해외파견현황

    한국군 해외파견 현황 □ 총 15개국 1,463명 (’12. 6. 11. 현재) 구 분 현재 인원 지 역 최초 파병 교대 주기 UN PKO 부대 단위 레바논 동명부대 359 티르 ’07.7월 6개월 아이티 단비부대 240 레오간 ‘10.2월 개인 단...
    Date2012.06.30 By배나온슈퍼맨 Views5894
    Read More
  13. 한국군 해외 파견현황

    파견기간 지역 파견 부대·요원 파견 인원 1965.3.10~1973.3.23 월남전 주월사령부,맹호,백마,청룡, 십자성,비둘기,백구,은마 등 8개 부대 연인원 31만2,853명 (전사 4,960명, 부상 10,962명) 1991.1.24~4.10 걸프전 ...
    Date2010.05.31 By운영자 Views4592
    Read More
  14. No Image

    한국군 파병현황

    □ 임무 종료 파병부대 현황 파병국가 파병부대 규모 파병기간 파병근거 소말리아 공병부대 (상록수부대) 250명 ’93.7∼’94.3 ∙UN결의안 794호(’92.12.3) ∙국회파병동의안(‘93.5.18) 서부 사하라 의료지원단 20∼40명 ’9...
    Date2012.06.30 By배나온슈퍼맨 Views3958
    Read More
  15. No Image

    한국군 작전통제권

    한국군에 대한‘작전지휘권’이 유엔군사령관에게 이양된 것은 한국전쟁이 한창이던 1 9 5 0년 7월 1 7일이었다. 당 시 이승만 대통령은 맥아더 유엔군사령관에게 보낸 서신에서 한국군에 대한 작전지휘권을“현재의 적...
    Date2010.05.28 By운영자 Views1479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0 Next
/ 20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