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실한 軍 의료체계] 조선일보 | 김철중 의학전문기자 | 입력 2011.06.14 03:13 | 수정 2011.06.14 07:28
논산훈련소 - 군의관, 인턴 갓 마친 초심자… 심각한 질병 놓치기 십상
일반 軍부대 - 대대·연대에 군의관 한 명뿐… 민간병원과 협력도 부실
민간전문가들 진단 - 軍의료 전투하듯 하면 곤란… 장비개선 보다 인식 전환돼야

 

경기도 부천 순천향대병원 중환자실에 사지마비 상태로 누워 있는 오모(22)군은 지난해까지만 해도 강원도 지역 사단에 근무한 현역 장병이었다. 오군은 지난해 여름, 메스꺼움과 식욕감소 증세로 사단의무대 진료를 받았다. 군의료진은 우울증으로 판단하고 약물치료를 했다. 뒤늦게 뇌 안쪽 뇌척수액이 고이는 공간이 부풀어 오르는 뇌질환의 일종인 뇌수종으로 밝혀져 민간 대학병원으로 이송돼 뇌 수술을 받았으나 현재 뇌기능 상실로 말을 전혀 못하는 상태다.

20110614072806827.jpg


최근 군의료의 오진과 늑장 대응으로 뇌수막염 환자가 잇따라 사망한 가운데, 군의료가 환자 발생 시 초동 대처를 부실하게 해 화를 키우고 있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본지가 국방부 산하 '군의료체계 보강 추진위원회'에 소속된 민간분야 위원 6명을 모두 인터뷰한 결과, 이들은 "현재의 군의료 핵심 문제는 하드웨어(시설과 장비 등) 문제도 있지만 군의료에 대한 인식 부족, 1~3차 효율적인 의료 시스템 미비 등 소프트웨어의 부실이 더 심각하다"는 데 입을 모았다.

구멍 난 1차 군의료 시스템

1만7000명의 훈련병을 수용하는 논산 훈련소의 경우 폐렴·감기·골절·인대손상 등의 환자가 속출하고 있으나, 이를 처리하는 의료인력은 군의관 7명과 의무병 6명뿐이다. 7개 연대별로 하루 평균 150~200명의 환자가 훈련이 끝난 저녁 6시부터 10시 사이 의무대를 찾지만, 주로 병원에서 인턴을 마치고 군의관이 된 중위 1명이 이들을 치료하고, 군의관 7명이 돌아가며 야간 근무를 한다.

이들은 입원실 환자 관리, 응급 환자 대기 등으로 종종 밤샘 당직근무도 선다. 의무병들도 환자 진료기록 입력과 체온 체크, 주사 및 소독 등을 하느라 눈코 뜰 새 없다. 이렇다 보니 심각한 질병을 안은 환자들을 놓치기 십상이다.

지난해 5월 경기도 동북부 지역 사단에 근무하던 장병이 갑자기 가슴을 움켜쥐고 쓰러졌다. 사단의무대로 이송된 이 환자는 심장이 불규칙하게 뛰는 부정맥이 의심됐다. 통상적인 군의료체계 절차라면 인근 군 병원이나 국군수도병원으로 후송되어야 할 상황이다. 하지만 사단의무대는 환자의 상태가 촌각을 다투며 군병원으로 이송돼도 고난도 치료가 필요해 역부족이라며, 환자를 가장 가까운 대학병원으로 응급 이송했다. 이로써 환자는 극적으로 회생했다. 만약 기존의 군의료체계 후송 방식대로 했다면, 환자의 운명이 달라졌을 것이라고 이 부대 의료진은 전했다.

현재 군에서 응급환자가 발생했을 때 '대대→연대→사단→병원'으로 다단계 후송 체계가 고착화돼 있다. 하지만 대대와 연대에는 군의관이 한 명 있을 뿐이다.

군 의료인식·예산은 아직 1980년대

전체 국방비 중 의료 예산이 차지하는 비율은 1%에도 미치지 못한다. 지난 10여년간 국방비에 군 의료예산이 차지하는 비중은 0.2~ 0.7% 수준을 맴돌고 있다. 지난 2005년까지는 0.29% 수준이었으나 2005년 말 군에서 얻은 위암으로 제대 후 사망한 노충국 사건이 발생하면서 2006년 이후 다소 증액됐지만 0.5~0.6% 수준이었다.

연간 무기 등 구입비용으로 10조원의 예산을 쓰면서 정작 이 장비를 운용할 장병의 건강에 쓰는 돈은 2200억여원에 불과하다.

'군 의료체계 보강 추진위원' 강대희(서울대 의대) 교수는 "군의료를 전투하듯이 명령체계로만 다뤄서는 현재의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며 "군의료 선진화를 위한 획기적인 대책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TAG •

  1. 국지전도 감수 단호한 靑 모든 공무원 비상근무 유지

    李대통령 정상업무 수행…“모든 공무원 비상근무 유지” “거의 말씀은 안 하셨지만 대단히 단호한 의지를 느낄 수 있었다.” 20일 군의 연평도 포격 훈련 관련 보고를 받는 이명박 대통령의 모습에 대해 홍상표 청와대 ...
    Date2010.12.20 Views3255
    Read More
  2. 올 6·25 전사자 유해발굴 사업 시작

    7일 경남 함안공설운동장에서 열린 유해발굴 개토식에서 육군39사단장을 비롯한 민ㆍ관ㆍ군 관계자들이 시삽하고 있다. 6ㆍ25 전사자 유해발굴 사업은 오는 11월 말까지 전국 39개 지역에서 실시된다. 경남 함안=이헌...
    Date2011.03.08 Views3254
    Read More
  3. 내년부터 입영의무 면제연령 31→36세로

    연합뉴스 | 입력 2010.12.29 06:02 | 수정 2010.12.29 06:46 양육수당ㆍ보육료 지원 확대..복수국적 허용 (서울=연합뉴스) 정준영 기자 = 내년부터 현역병과 공익근무요원 등 일반 병역의무자의 입영의무 면제연령이 ...
    Date2010.12.30 Views3253
    Read More
  4. 독도함

    사진출러 : 플릭코리아 대한민국해군
    Date2010.06.07 Views3253
    Read More
  5. No Image

    고체추진 우주발사체 2차 비행시험도 성공

    국방과학연구소(ADD)는 2022년 12월 30일 국방과학연구소 종합시험장 인근 해상에서 순수 우리 기술로 개발한 고체추진 우주발사체의 성능 검증을 위한 두번째 비행시험에 성공하였습니다. ㅇ 이는 지난해 3월 30일 ...
    Date2023.01.02 Views3250
    Read More
  6. 프랑스 코만도부대와 ‘對해적작전’

    청해부대 10진, 지부티 항에서 선박 검문검색 훈련전술전기 노하우도 공유 / 국방일보 2012.07.26 청해부대 10진 검문검색대원과 프랑스 해군 코만도부대원들이 왕건함에서 선박 검문검색 훈련을 전개하고 있다.부대...
    Date2012.07.25 Views3250
    Read More
  7. No Image

    北 서해지역 사격준비태세 유지…軍 경계태세 강화

    공군전력 공중대기… 이지스함인 세종대왕함ㆍ독도함 지원 서북지역 외 군사분계선.동해안 등 도발도 철저대비 (서울=연합뉴스) 김귀근 기자 = 군당국은 21일 북한이 연평도 사격훈련 이후에도 서해지역에 지대함, 지...
    Date2010.12.21 Views3249
    Read More
  8. 두번째 이지스 구축함 율곡이이함 영해수호 나섰다

    한국의 두 번째 이지스 구축함 1일 작전 배치 / 국방일보 윤병노기자 2011.06.02 이지스 구축함 율곡이이함 갑판요원들이 전력화 훈련에서 링스(Lynx) 헬기 이착함 및 격납훈련을 하고 있다. 대한민국 해군의 두 번째...
    Date2011.06.01 Views3246
    Read More
  9. No Image

    국방부, 상부지휘구조 개편안 타당성 강조

    군정 중심의 행정형 군대에서 작전 중심의 전투형 군대로 국방부가 28일 기자들을 대상으로 상부지휘구조 개편안에 대해 설명과 질의응답 시간을 갖는 등 ‘국방개혁 307계획’의 지휘구조 개편안의 타당성에 대한 적극...
    Date2011.03.28 Views3246
    Read More
  10. 소통·배려·화합 갖춰 엄친아 해군 戰力까지 막강함 뽐내

    `일류 해군문화 운동' 1년 성과 / 국방일보 2011.07.28 #사례 1. 울산에 거주하는 이정희 씨는 이달 초 한 통의 편지를 받았다. 해군군수사령부에서 군 복무 중인 아들 장민래 일병의 선임병 한치병 상병이 보낸 편지...
    Date2011.07.27 Views3245
    Read More
  11. No Image

    TA-50 1호기 출고

    국내 최초의 초음속 고등훈련기인 T-50의 후속 기종인 전술입문기 TA-50 1호기가 24일 경남 사천 한국항공우주산업(KAI)에서 출고됐다. TA-50 항공기는 고등훈련을 이수한 예비 조종사들이 실전배치되기 전 공대공·공...
    Date2011.01.26 Views3243
    Read More
  12. No Image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 춘천 북산면 발굴 전사자 유해 추가 신원확인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이하 국유단)은 춘천 북산면에서 발굴된 6·25전사자 유해의 신원을 고(故) 김진욱 일병으로 확인하였다고 27일 밝혔다. 2009년 5월, 춘천 북산면에서 국유단과 육군 702특공연대 장병 100여 명...
    Date2022.05.27 Views3234
    Read More
  13. No Image

    특수근무수당 10~20% 인상

    국방부는 열악한 환경에서 근무하는 국군 장병의 처우를 개선하기 위해 해군특수전요원(UDT/SEAL), 해난구조대(SSU), 육군특전사 요원 등의 위험수당을 10~20% 인상하기로 했다고 7일 밝혔다. 국방부는 UDT/SEAL, SSU...
    Date2011.02.07 Views3229
    Read More
  14. No Image

    제8차 한미 확장억제수단 운용연습(DSC TTX) 공동 보도문

    □ 한미 국방부는 2023년 2월 22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펜타곤)에서 제8차 확장억제수단 운용연습(DSC TTX)을 개최하였고, 한미 대표단은 2023년 2월 23일(현지시간), 조지아주 킹스베이에 있는 미 핵잠수함 ...
    Date2023.02.27 Views3227
    Read More
  15. No Image

    제2차 한-필리핀 국방협력공동위원회 개최

    신범철 국방부차관은 10월 19일(수) 오후, 프랑코 네미시오 가칼(Franco Nemesio M. Gacal) 필리핀 국방차관과 ‘제2차 한-필리핀 국방협력공동위원회’를 화상으로 개최하고 양국 간 국방·방산협력 발전방안 등에 관하...
    Date2022.10.20 Views3222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 193 Next
/ 193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