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925173147775.jpg

 
 “한국군 카투사는 내 군생활동안 지휘한 군인들 가운데 가장 우수한 부하들이었다. 그들은 절대 술취한 채 나타나지 않았고 없어지는 경우도 없었다. 그들은 지칠 줄 모르고 군기가 있었으며 지식습득 능력이 우수했다. 그들은 미군병사 한 명이 동두천에서 밤에 맥주를 마시며 써 버릴 수 있는 액수보다 적은 3달러를 매월
받을 뿐이었다.”


이 말은 1 9 7 3년 주한 미 제8군 예하 2사단에서 대대장으로 근무한 적이 있는 콜린 파월 미 국무장관이 그의 회고록『My American Journey』( 1 9 9 5 )에서 밝힌카투사 예찬론이다.
흔히 카추사로 잘못 발음되는 ‘카투사(Korean Augmentation To the United States Army; KAT U S A )’는 본래 주한미군에 증원된 한국군으로서 주한미군의 전투, 행정, 군수 등 각종 업무를 맡고 있다.
미군으로부터 지휘를 받지만, 인사행정 및 정신교육 분야는 미 제8군 한국군지원단을 통해 한국군의 통제를 받는다.
미군이 전세계 여러 나라에 주둔하고 있지만 카투사는 한국에만 있는 독특한 제도다. 카투사제도가 생겨나게 된 이유는 한국전쟁 기간중 미군의 병력부족 때문이었다. 그리고 한국지형과 지리에 대한 지식 및 피아구별 능력을 활용하기 위한 목적도 있었다. 당시 조병옥 내무장관도 1 9 5 0년 7월 1 5일 대전전투 후 영동전선을 시찰할 때, 북한군 유격부대가 피난민을 가장하여 전선후방에 침투할 우려가 있다고 보고 워커 장군에게 미군부대에 한국경찰대를 배속시켜 이들을 색출토록제의한 바 있다.
미군부대들은 피난민 때문에 부대이동에 큰 지장을 받았을 뿐만 아니라 그 속에 끼어 침투해 들어오는 민간인 복장의 게릴라들이 마을 등에 잠복해 있다가 일정 인원이 모이면 미군의 보급차량이나 후방부대를습격하였기 때문에 큰피해를 입었다.
카투사들이 본격적으로 전투에 참가하게된 것은 인천상륙작전부터였으며, 미군 통계에 의하면 당시 카투사 수는 18,944명이었다. 카투사들은 인천상륙작전에 투입된 미 해병 제5연대와 미 제7사단 그리고 이를 지원하는 부대에 배치되었다. 한국전쟁간 총 4 3 , 6 6 0명의 카투사가 미군과함께싸우면서소총수 , 운반및보급병 , 검문소위병, 통신병등의임무를수행하였다 .

현재 카투사 병력은 주한미군의 약 1 / 8에 해당하는 4천 8백여명 규모이나 이들이 한·미양국
군에 기여하고 있는역할과 기능은 매우 크다.
전투부대의 분대장으로 미군병사들을 휘하에 거느리고 있는 경우도 있고, 엄격하기로 유명한 의정부 미 하사관학교에서 미군들보다도 우수한 성적으로 교육과정을 수료하기도 한다.
따라서 한국군과 미군을 연결해주는 중간자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카투사의 존재는 한·미양국군의연합전력을 차질없이발휘토록 하는데있어커다란 기여를 하고 있다.

 

▶ KATUSA의 자격과 지위

 

카투사로 선발되기 위한 자격요건은 고졸 이상, 신체등급 3급 이상이며 TOEIC 성적 600점 이상 혹은 T E P S( 2 0 0 0년 이후) 5 5 0점 이상 득점한 자로서 특히 징병검사 또는 입영을 기피한 적이 없는 사람이어야 한다.
이들을 대상으로 육군종합행정학교에서 공개모집 방식으로 컴퓨터에 의한 추첨을 통해 1차선발( 9월경) 한 후, 신원조사 부적격자를 제외한 인원들을 최종선발( 1 1월경)하며, 입영은 보통 그 다음해에 하게 된다.
카투사로 선발되면 육군훈련소를 거쳐 미군부대 생활에 필요한 교육을 의정부의 미 하사관학교 카투사교육대(KATUSA Training Academy)에서 받는다. 이들의 복무기간은 다른 한국육군 병사들의 기간과 같다.


TAG •

  1. 해군리더십논총 원고모집 안내

    Date2010.07.20 Views3293
    Read More
  2. No Image

    해병대와 함께 간다! 고준봉급 상륙함

    [서울신문기획 한국군 무기 49] 해병대와 함께 간다! 고준봉급 상륙함 한 때 해군의 구호는 ‘바다로, 세계로, 미래로’였다. 하지만 해군 소속의 어떤 군함은 여기에 한마디를 더 붙여 외치곤 했다. ‘바다로, 세계로, ...
    Date2010.07.16 Views4569
    Read More
  3. [한국군무기] 아시아 최대 상륙함 ‘독도함’

    서울신문 기획 한국군무기 48 M&M 최영진 군사전문기자 zerojin2@seoul.co.kr 2005년 7월 12일 해군 역사상 가장 커다란 군함인 ‘독도함’(LPH-6111)이 진수식을 갖고 바다에 첫발을 내디뎠다. 보통 군함이 만들어지는...
    Date2010.07.12 Views5763
    Read More
  4. UDT 해상강하

    Date2010.07.12 Views7484
    Read More
  5. No Image

    李정부, 아프간에 '320명 파병'키로 결정

    약소한 아프간 파병으로 무엇을 얻을 것인지 모르겠다 올인코리아 임태수 논설위원 이명박 정부는 8일 아프가니스탄에 350명 이내의 국군을 파병하되 최초 파병기간을 내년 7월 1일부터 2012년 12월 31일까지로 한정...
    Date2010.07.09 Views2547
    Read More
  6. 한미연합 생환·산악구조 훈련 - 공군6탐색구조비행전대

    지난달 29일부터 강원 태백산 일대에서 열리고 있는 한미 연합 생환 및 산악구조훈련에서 공군6탐색구조비행전대 구조대원과 조난 조종사가 호이스트에 실려 HH-32 구조헬기에 오르고 있다.
    Date2010.07.03 Views4104
    Read More
  7. 기동중 포염 토해내는 K1A1 전차

    육군20사단 K1A1 전차의 120㎜ 활강포가 시뻘건 포염을 토해내고 있다. 육군20사단 비호대대는 지난 3·4일 이틀간 양평 종합훈련장에서 전차 중대조 전투사격과 기동훈련을 실시, 중·소대장의 전투지휘능력과 사격술·...
    Date2010.07.03 Views8376
    Read More
  8. 해병등 고생만큼 수당인상, 행안부 “개선 마땅”

    서해 연평도 해군2함대 소속 ○○○기지. 장마가 북상 중인 25일 행정안전부 관계자들과 해군 함정근무자, 해병대원, 심해해난구조·해상특전요원(SSU), 해군특수전여단(UDT) 대원들이 마주 앉았다. 행안부 인사실 관계자...
    Date2010.06.26 Views3799
    Read More
  9. 독도함의 역대참모총장과 해병대사령관 (2007년)

    2007년 8월2일 독도함에서 있있던 역대참모총장 및 해병대사령관 정책자문회의 기념촬영
    Date2010.06.26 Views4459
    Read More
  10. P-3CK 해상초계기

    해상초계기(P-3CK)는 기존 전력에 비해 정찰ㆍ감시 및 탐지ㆍ식별 능력과 대공유도탄 위협에 대한 생존성이 크게 향상되고, 연안 및 정박함정에 대한 공격 능력 등을 갖추었으며 , 광역초계 및 원거리 조기경보 임무...
    Date2010.06.26 Views4044
    Read More
  11. 수리온 힘차게 비상하다

    우리 손으로 만든 최초의 국산 헬리콥터 수리온(Surion)이 22일 최첨단 헬기로서 구비해야 할 비행능력을 갖췄음을 확인시켰다. 한국형 기동헬기(KUH) 수리온은 이날 오후 경남 사천 한국항공우주산업(KAI)에서 열린 ...
    Date2010.06.24 Views2903
    Read More
  12. 기무사령관 배득식 해병대사령관 유낙준 外 27명 승진인사

    정부는 23일 국군기무사령관에 배득식 소장(육사 33기)을, 해병대사령관에 유낙준 소장(해사 33기)을 각각 중장으로 진급시켜 임명하는 등 중장 이하 장성급 27명에 대한 승진인사를 단행했다. 해군작전사령관에는 황...
    Date2010.06.23 Views6003
    Read More
  13. 북한 인민군 특수부대

    자료출처 : http://blog.chosun.com/blog.log.view.screen?blogId=1837&logId=4616961#
    Date2010.06.20 Views6065
    Read More
  14. 해군함정, 어떻게 구분할까?

    해군함정 한눈에 구분하는 법 자료참조 : 대한민국해군지
    Date2010.06.19 Views4425
    Read More
  15. 해군의 함제명칭은 어떻게 제정되는가?

    Date2010.06.19 Views329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Next
/ 193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