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리스크 특집] “육해공 합동성 높이고, 장성 숫자 줄여라”
군 개혁 71개 개혁과제 대통령에 전달…국방장관의 추진력에 관심쏠려

 

5283a.jpg

 
▲ 지난 8월 백령도에 배치된 K-9 자주포 사격훈련 모습. (사진 = 연합뉴스) ⓒ2010 CNBNEWS
▲ CNB저널, CNBJOURNAL, 씨앤비저널

국방선진화추진위원회가 지난 12월 6일 이명박 대통령에게 71개 국방 개혁 과제를 확정해 보고했다. 이에 따라 국방부는 이들 과제들을 넘겨받아 한국국방연구원(KIDA), 방위사업청 등과 함께 이를 단-중-장기 추진 과제로 세분화한 뒤 군 자체적으로 진행 중인 개혁 작업에 포함하는 등 군 개혁 작업에 가속도를 낼 전망이다.

확정된 과제들은 합동성 강화, 군 상부조직 개편, 국방 효율화, 군 복무기간 조정, 군 가산점제 부활 등이 핵심이다. 이에 대해 국방선진화위 관계자는 “처음 출발할 때는 획득체계 개선 등 효율화에 방점을 뒀으나 천안함 사건과 북한의 연평도 공격 등으로 합동성 강화와 군 조직 개편, 복무기간 조정 등으로 순위가 바뀌었다”고 설명했다.

합동성 강화와 관련해 국방선진화위 관계자는 “합참이 육-해-공군-해병대 장교들이 뒤섞여 근무하는 조직이기 때문에, 작전과 인사 등에서 합동성을 꾀하자는 취지에서 그동안 육군대장이 독식하는 합참의장을 비롯해 앞으로 신설이 검토되는 합동군사령관(대장)을 육-해-공군 대장이 순환보직으로 맡을 것을 제안했다”고 전했다.

합참의 작전과 전력 분야 주요 보직자도 현재는 준장 이상 장군의 합참 근무자 중 육군이 19명인 반면 해군과 공군은 각각 7명에 불과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개혁 안은 육-해-공군이 1 대 1 대 1로 균형을 맞춰 보임하도록 했다. 육-해-공군이 순환하는 공통 직위에서도 육군이 15명, 해군과 공군이 각각 6명으로, 비율로 따지면 2.5 대 1 대 1 수준이다. 국방개혁법은 2 대 1 대 1의 비율을 지키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런 기형적인 인사 구조 때문에 합참에 근무하는 각 군 장교와 장성들의 보이지 않는 갈등이 심화되고 있다는 지적이 그간 나왔다. 심지어 천안함 사건 이후 처음으로 합참 작전부장에 해군 소장을 보임한 것을 두고서도 육군 일각에선 말이 많았을 정도다.

이에 한 육군 관계자는 “한반도의 작전 형태가 지상군 중심으로 이뤄질 수밖에 없는 구조”라며 “주요 직위에 육군이 많다고 해서 문제로 인식하는 것이 진짜 문제”라고 의견을 밝혔다.


육-해-공군 사이 알력 줄이는 합동성 시급.
해병대 중심에 육-해-공군이 지원하는
‘서북도서 방어사령부’ 구체화될지에 관심



반면 해군 관계자는 “6.25전쟁 이후 남북간 충돌이 해상에서 주로 발생하지 않았느냐”면서 “군은 더 이상 해상 작전의 중요성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고 반론을 펼쳤다.

북한의 연평도 포격 이후 ‘서북도서 방어사령부’의 창설 필요성이 긴급하게 개혁 과제에 포함된 것도 합동성 강화 차원으로 분석된다. 이 방안은 해병대의 백령-연평 부대를 중심으로 육군 17사단 병력과 해-공군 일부로부터 병력을 지원받아 서북도서 방어사령부를 창설하자는 계획이다.

소장을 지휘관으로 하는 이 사령부는 백령부대와 연평부대, 대청-소청 부대, 우도 중대 등으로 편성되며 무인 항공기와 상륙 기동 헬기, 지원 함정, 다연장 로켓과 K-9 자주포 등의 화력으로 무장하는 방안이 추진되고 있다.

한편 군 상부 조직 개편과 관련해서는 육-해-공군 본부를 총사령부 체제로 개편하고, 각 군 총사령관이 자군 작전사령부를 지휘토록 하는 방안이 보고됐다. 현 합참의장이 작전과 인사, 군수, 정보, 전략기획 등을 모두 관할하고 있을 뿐 아니라 각 군 작전사령부를 지휘하고 있어 업무 부담이 크기 때문에 쪼개자는 과제도 제시됐다.

작전과 정보, 전략기획 등은 합동사령부로 넘기고, 합참의장은 인사, 군수 등 순수한 군 행정과 국군통수권자 보좌 업무로 임무를 제한하자는 방안이다.

국방 효율화 과제로는 2020년까지 장성 수를 10% 줄이고 무기 획득 사업에 있어 소요검증 위원회를 신설하자는 것이 핵심 골자다. 현행 430여 명의 장성을 10% 줄이는 방안에 대해 장성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육군의 반발이 예상되고 있기도 하다. 장성 숫자를 줄이려면 부대 감축 등 효율화 작업이 선행돼야 하기 때문이다.

소요검증 위원회는 민간인 등이 참여해 각 군이 합참에 소요를 제기하는 전력이 적정한지 등을 감시하자는 성격이다. 그러나 여야가 추천한 민간인이 참여해 가동되고 있는 방위사업 추진위원회와 성격이 비슷해 '옥상옥' 아니냐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한편, 군 복무 기간을 24개월로 환원하자는 제안은 결국 2011년 2월부터 21개월로 동결되는 것으로 확정됐다. 국방부는 12월 21일 “국방선진화 추진위원회가 육군 기준 복무 기간을 24개월로 환원하는 방안을 이명박 대통령에게 건의했으나 앞으로 병역 의무를 이행해야 할 대상자들의 불이익을 최소화하고 군 전투력 약화를 방지하기 위해 21개월로 동결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당초 병사 복무 기간은 ‘국방 개혁 2020’에 따라 2014년 7월까지 육군-해병대는 24개월에서 18개월로, 해군은 26개월에서 20개월로, 공군은 27개월에서 21개월로 각각 줄어들 예정이었다.

국방부 관계자는 이런 결정의 근거로 “만약 21개월로 군 복부 기간을 줄이면 1000~3만7000여 명이 부족하게 된다”며 “24개월에서 1개월씩 복무 기간을 줄일 때마다 1만 명 정도 병력이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군 가산점 제도의 도입 문제도 논란거리였다. 1999년 헌법재판소로부터 위헌 결정을 받고 폐지된 군 가산점 제도에 대해서는 현재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 위헌적 요소를 수정해 군 가산점 제도를 재도입하는 내용의 병역법 개정안이 계류돼 있다. 이 법안은 과거 만점의 3~5%를 주던 가산점 비율을 2.5%로 낮췄고, 가산점 합격자 상한선도 20%로 제한하고 있다.

이 제도에 대해 백희영 여성부 장관은 지난 10월 국회 여성위원회에서 “가산점을 주는 것에 대해 정부에서 논의되고 있지 않다”며 “다만 청년 고용 대책 등 가산점이 아닌 다른 방법으로 젊은이들에게 보상을 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으며 관련 연구 용역도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대통령 “스스로 하는 것과 떠밀려
하는 것은 성과 달라. 군 스스로 필요성
절감하는 개혁 추진해 달라“ 당부



국방 문민화와 관련해서는 국방부에 제2차관을 신설하고 대장보다 아래인 군내 서열을 높이는 방안도 보고됐다. 행정자치부가 마련한 '정부 의전 편람'에 따르면 군내 법적 서열은 장관 → 합참의장(대장) → 육-해-공군 참모총장(대장) → 연합사 부사령관(대장) → 1, 2, 3군 사령관(대장) → 차관 순이다. 지난 2006년에도 차관 서열을 높이는 방안을 추진했다가 대장 출신 예비역들의 반발로 유야무야 끝난 적이 있다.

이번에 확정된 개혁 과제 중에는 각 군 및 예비역 등의 이해관계가 얽혀 있는 사안들이 많다. 따라서 신임 김관진 국방장관이 이를 어떻게 조율하고 강력한 추진력을 발휘할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와 관련, 이명박 대통령은 청와대에서 열린 국방선진화위를 주재한 자리에서 “군이 스스로 개혁하겠다는 자세로 하는 것과, 타의나 외압에 의해 개혁하는 것은 성과가 훨씬 달라진다. 군 스스로가 정말 필요성을 느껴 했으면 좋겠다”고 당부했다.

이에 김 장관은 “전문가들이 1년 가까이 국방 개혁 분야를 연구했던 것으로 안다. 각 전문가가 참여한 연구이기 때문에 유용한 선물이라고 생각한다”며 “그 분들의 연구를 긍정적으로 검토해 추진하겠다”고 대답했다.

  심원섭 기자  [ 202-203호]


  1. 국지전도 감수 단호한 靑 모든 공무원 비상근무 유지

    李대통령 정상업무 수행…“모든 공무원 비상근무 유지” “거의 말씀은 안 하셨지만 대단히 단호한 의지를 느낄 수 있었다.” 20일 군의 연평도 포격 훈련 관련 보고를 받는 이명박 대통령의 모습에 대해 홍상표 청와대 ...
    Date2010.12.20 Views3255
    Read More
  2. No Image

    [연평도 사격훈련 강행]北 ‘교란작전’

    11·23 도발 때처럼 방사포 전진 이동 우리軍 혼란 유도하려 가짜포도 배치 <세계일보> 우리 군이 20일 연평도 해상사격훈련을 재개한 것과 관련해, 북한군 포병부대는 지난달 23일 포격 도발 때와 유사한 움직임을 보...
    Date2010.12.20 Views3574
    Read More
  3. 정부, 北위협 완화여부 판단주력..추가도발 주시

    연평도에 배치된 K-9 자주포 (서울=연합뉴스) 20일 오후 2시30분에 시작된 해병대 연평부대의 해상사격훈련에 동원된 K-9 자주포. 사진은 지난 2009년 6월 12일 해병대 연평부대가 국회 국방위에 공개한 K-9 자주포. ...
    Date2010.12.21 Views4657
    Read More
  4. 병사 복무기간 21개월 동결로 확정

    육군 기준..해군 23개월.공군 24개월 (서울=연합뉴스) 김호준 기자 = 병사 복무기간(육군 기준)이 내년 2월부터 21개월로 동결된다. 국방부는 21일 "국방선진화추진위원회에서 육군 기준 복무기간을 24개월로 환원하...
    Date2010.12.21 Views2777
    Read More
  5. 軍, 사격훈련후 애기봉 등탑 점등식 경계강화

    북녘 관람 오늘은 안됩니다. (김포=연합뉴스) 진성철 기자 = 군의 연평도 해상 포사격훈련이 진행된 지난 20일 경기 김포시 애기봉전망대 출입신고소에서 관람객들이 출입이 통제되자 발길을 돌리고 있다. zjin@yna.c...
    Date2010.12.21 Views3525
    Read More
  6. No Image

    北 서해지역 사격준비태세 유지…軍 경계태세 강화

    공군전력 공중대기… 이지스함인 세종대왕함ㆍ독도함 지원 서북지역 외 군사분계선.동해안 등 도발도 철저대비 (서울=연합뉴스) 김귀근 기자 = 군당국은 21일 북한이 연평도 사격훈련 이후에도 서해지역에 지대함, 지...
    Date2010.12.21 Views3249
    Read More
  7. No Image

    내년 국방예산 31조 4031억원

    지난 8일 국회 본회의를 통해 2011년 국방예산은 올해보다 6.2% 증가한 31조 4031억 원으로 확정됐다. 국방예산이 30조 원을 넘은 것도 처음이지만 4∼5%대에 머물던 국방예산이 6%대로 급증한 것은 이번 국방예산의 ...
    Date2010.12.21 Views2951
    Read More
  8. 해난구조대가 되기 위한 혹독한 훈련

    해난구조대(SSU) 합격자 정원에 30 ~ 40%만 통과할 수 있다는 혹독한 훈련을 마지막 관문까지 낙오하지 않기 위해 필사적으로 훈련에 임하고 있다. 해변가 구보훈련중... 해난구조대(Ssu) 합격자 정원에 30 ~ 40%만 ...
    Date2010.12.22 Views8921
    Read More
  9. 육군, 내일 최대규모 합동화력 훈련

    다연장로켓, F-15K, K-9 자주포 등 참가 연합뉴스 기사전송 2010-12-22 10:49 최종수정 2010-12-22 15:18 (서울=연합뉴스) 김귀근 기자 = 육군은 23일 경기도 포천시 승진훈련장에서 최대 규모의 합동화력을 실시한다...
    Date2010.12.22 Views3338
    Read More
  10. 육군 5군단 동계 공지합동훈련

    백발백중의 명중률을 자랑하는 ‘명품’ K-9자주포가 적진을 초토화하기 위한 동시탄착사격(TOT)을 선보이고 있다. 한치의오차도없이타깃을 명중시킨동시탄착사격이K-9 자주포의 위력을 실감케 한다. 은폐·엄폐한 다연...
    Date2010.12.24 Views9185
    Read More
  11. No Image

    2년6개월 장교 근무하던 朴중위 '사병으로 재입대' 악몽 같은 통보

    [조선일보] 2010년 12월 25일(토) 오전 03:10 육군 장교로 강원도 의 부대에서 근무하던 박모(27)씨는 작년 12월 청천벽력 같은 얘기를 들었다. 국방부 가 학사 장교인 박씨에게 "당신이 졸업한 대학이 인정되지 않아...
    Date2010.12.26 Views3788
    Read More
  12. 천안함, 연평도 그리고 북한' 기획사진전

    26일 서울광장에서 열린 ‘천안함, 연평도 그리고 북한’ 기획사진전을 찾은 시민들이 연평도 포격도발 사진을 관람하며 북한의 실체를 확인하고 있다. 국방부가 국민 안보의식 제고를 위해 지난 25일부터 내년 1월 8일...
    Date2010.12.26 Views3051
    Read More
  13. No Image

    합참의장보다 강한 권한… 합동군사령관 신설

    조선일보 원문 기사전송 2010-12-27 03:13 최종수정 2010-12-27 14:00 인사권·작전지휘권 부여… 軍구조 이르면 내년 개편 육·해·공 3군의 합동성을 강화하기 위한 합동군사령부 창설 등 군 상부(上部) 지휘구조 개편...
    Date2010.12.27 Views3367
    Read More
  14. 악천후도 문제없다 수기사 헬기 레펠훈련

    육군수도기계화사단 정찰대 및 헌병 특별경호대 장병들이 27일 눈이 내리는 악조건 속에서 적 특수작전부대원들의 침투를 조기 차단·격멸하기 위한 헬기레펠 훈련을 하고 있다. 국방일보 박흥배 기자 phbae@dema.mil.kr
    Date2010.12.27 Views4901
    Read More
  15. 육해공 합동성 높이고, 장성 숫자 줄여라

    [북한 리스크 특집] “육해공 합동성 높이고, 장성 숫자 줄여라” 군 개혁 71개 개혁과제 대통령에 전달…국방장관의 추진력에 관심쏠려 ▲ 지난 8월 백령도에 배치된 K-9 자주포 사격훈련 모습. (사진 = 연합뉴스) ⓒ2010...
    Date2010.12.27 Views316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193 Next
/ 193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