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순채 사이버칼럼

정순채 동국대학교 융합교육원 겸임교수·경희대학교 사이버대 객원교수 · 법무법인 린 전문위원 · 해병대부사관153기

  1. No Image

    [정순채 칼럼] ‘디지털 증거’의 기본은 무엇인가?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는 디지털 매체와 함께하는 일상이다. 사회 환경이 0과 1로 이루어지는 디지털 혁명의 물결은 우리의 삶 전체에 영향을 미친다. 우리가 일상에서 쉽게 접촉하는 디지털 기기는 스마트폰을 비롯해 컴퓨터, 노트북, CCTV, 내비게이션, 블랙박스 등 매...
    Date2024.05.27 ByHBcom Views1455
    Read More
  2. No Image

    [정순채 칼럼] 대비가 필요한 AI와 공존하는 사회

    우리는 8년 전 구글의 딥마인드가 개발한 인공지능(AI) 바둑 프로그램 알파고(AlphaGo)를 기억하고 있다. 세계 최정상급의 이세돌 9단과의 대결은 AI 연구에 있어 획기적인 사건이었다. AI가 인간을 이긴 것이다. 현재의 AI 기술은 더욱 빠르게 진화해 인간 영역 전반에 ...
    Date2024.04.15 ByHBcom Views7977
    Read More
  3. No Image

    [정순채 칼럼] 지속적 인재 양성이 필요한 사이버 보안

    국내를 향한 북한의 사이버 도발이 위험 수위를 넘어섰다. 북한은 사이버 공격을 통해 우리의 취약점을 파악하는 동시에 사이버전 역량을 키우고 있다. 사이버전은 현재 진행 중인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이스라엘과 하마스 전쟁에서 중요 공격 수단으로 활용됐다. 국제 ...
    Date2024.04.09 By관리자 Views8580
    Read More
  4. No Image

    [정순채 칼럼] 첨단기술이 바꾼 우크라이나 전쟁 2년

    지난달 24일로 우크라이나 전쟁이 2년을 넘겼다. 단기간에 우크라이나를 점령할 것이라는 러시아의 예상과는 달리 우크라이나의 저항이 거세다. 그 중심에는 드론과 같은 첨단 기술이 활용되고 있다. 기존 전쟁과는 확연하게 다르다. 지난달 중순에는 우크라이나의 드론...
    Date2024.03.21 By관리자 Views11599
    Read More
  5. No Image

    [정순채 칼럼] 표기 의무화가 필요한 생성형 인공지능 콘텐츠

    생성형 인공지능(AI)을 이용한 콘텐츠가 증가하고 있어 저작권 침해 등 부작용이 우려된다. AI 기술 발전이 창작 활동 전반에서 폭넓게 응용되면서 결과물도 급속도로 확산하고 있다. 저작권 침해나 가짜뉴스, 딥페이크 같은 문제점도 다양하다. 챗GPT 등 AI를 활용한 콘...
    Date2024.03.06 By관리자 Views14083
    Read More
  6. No Image

    [정순채 칼럼] 김정은 지시에 활동하는 北 해커부대

    지난해 공공기관을 노린 하루 평균 해킹 시도는 1년 만에 36%가량 증가한 162만 건으로 나타났다. 이 중 80%가 북한발 공격으로 밝혀졌다. 북한의 사이버 공격은 김정은 위원장의 지시에 따라 이뤄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올해는 북한이 공공기관과 금융시장 등을 상대로 ...
    Date2024.03.04 By관리자 Views12721
    Read More
  7. [정순채 칼럼] 빠르고 넓게 전파되는 가짜뉴스

    가짜뉴스에 대한 논쟁이 끝이 없다. 가짜와 결합 된 뉴스는 그 자체가 기형으로 사실의 뉴스와는 다르다. 가짜뉴스는 진짜 뉴스보다 전파가 훨씬 더 빠르고 범위도 넓다. 가짜뉴스는 사실 이상으로 더 새롭고 자극적이다. 시각이나 청각 등 사람의 감각을 만족시키기 위...
    Date2024.03.04 By관리자 Views12659
    Read More
  8. No Image

    [정순채 칼럼] 김정은 지시에 활동하는 北 해커부대

    지난해 공공기관을 노린 하루 평균 해킹 시도는 1년 만에 36%가량 증가한 162만 건으로 나타났다. 이 중 80%가 북한발 공격으로 밝혀졌다. 북한의 사이버 공격은 김정은 위원장의 지시에 따라 이뤄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올해는 북한이 공공기관과 금융시장 등을 상대로 ...
    Date2024.02.14 By관리자 Views15281
    Read More
  9. No Image

    [정순채 칼럼] 대응 강도 높여야 할 北 사이버 공격

    국내를 타깃으로 한 북한의 사이버 도발이 우려스럽다. 최근 사이버 보안기업 안랩 등의 보고서는 북한의 해킹조직 ‘킴수키(kimsuky)’가 공공기관을 겨냥한 사이버 공격이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했다. 킴수키는 외교와 정치, 국방, 안보, 금융, 의료 등 주요 분야의 특정...
    Date2023.12.07 By관리자 Views26016
    Read More
  10. No Image

    [정순채 칼럼]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한 사이버공간

    오늘날 정보통신망 등으로 연결된 국제사회는 사이버 공격에 취약하고, 공격으로 인한 피해도 매우 크다. 현재 전개되고 있는 우크라이나 전쟁도 사이버 공격으로 전쟁이 개시되었다. 러시아는 전쟁 전 우크라이나 주요 정부 기관 전산망을 해킹으로 마비시켰다. 세계인...
    Date2023.12.07 By관리자 Views24200
    Read More
  11. [정순채 칼럼] 신분증 사진 도용 금융피해 대책은?

    자녀 등 가족을 사칭한 피싱 수법에 속아 신분증 사진을 전송해 금융사기를 당하는 사례가 많다. 피해자의 신분증 사진을 전송받은 피싱범은 알뜰폰을 개통한 후 오픈뱅킹을 위한 은행 앱을 깔아 시중 은행에 분산 예치된 피해자의 금융재산을 모두 파악할 수 있다. ‘공...
    Date2023.10.29 By관리자 Views22541
    Read More
  12. No Image

    정순채 칼럼 교권침해 주범 아동복지법 ‘제17조 제5호’

    지난달 25일 국무회의는 교사의 정당한 생활지도와 교육 활동을 보호하기 위한 교권보호 4법을 심의 의결했다. 교원의 지위 향상과 교육 활동을 위한 교권보호 4법은 교원지위법, 초·중등교육법, 유아교육법, 교육기본법이다. 다소 늦은 감이 있지만 ‘환영’하며, 아동복...
    Date2023.10.04 By관리자 Views23377
    Read More
  13. [정순채 칼럼] 고도화가 필요한 금융보안

    정순채 동국대학교 겸임교수, 서울디지털대학교·경희사이버대학교 객원교수, 법무법인 린 전문위원 디지털 금융 환경 확장으로 금융보안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디지털 수단으로 확장되는 금융서비스 위협 범위도 넓어지고 다양화되어 대응력 강화가 필요하다. 지난...
    Date2023.09.25 By관리자 Views22543
    Read More
  14. [정순채 칼럼] 전쟁 판도 바꾸는 드론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반발한 전쟁이 1년 반이 지났다. 우크라이나 전쟁 18개 월 만에 양국 군 사상자가 50만 명에 육박했고 민간인 사상자도 수천 명이 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피난민도 수백만 명에 달한다. 우크라이나는 5월 대반격 이후 큰 어려움을 겪고 있...
    Date2023.09.15 By관리자 Views22876
    Read More
  15. No Image

    [정순채 칼럼] 지위 강화가 필요한 ‘사회안전망’ 통장

    우리 마을 주변에는 자신의 역할에 소명의식을 갖고 묵묵히 봉사하는 통장이 있다. 이웃과 단절되기 쉬운 도시 지역 특성상 통장의 역할은 ‘사회안전망’으로서 절대적이다. 정부 등의 복지서비스를 필요한 주민에게 연결하는 결정적 존재가 통장이다. 통장 제도는 정보화...
    Date2023.09.12 By관리자 Views21743
    Read More
  16. No Image

    교사들의 ‘저승사자법’으로 불리는 ‘아동복지법’

    충북 초등학교의 한 교사는 지난해 4개월을 경찰서와 지방경찰청, 군청을 다녀오는 고난을 겪었다. 학부모가 아동학대로 해당 교사를 신고했기 때문이다. 교사는 학생과 신체 접촉이나 언성을 높인 적도 없었다. 교사는 학부모에게 억울함을 호소했지만 통하지 않았다. ...
    Date2023.09.05 By정순채 Views2104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