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순채 사이버칼럼

정순채 동국대학교 융합교육원 겸임교수·경희대학교 사이버대 객원교수 · 법무법인 린 전문위원 · 해병대부사관153기

  1. No Image

    [정순채 칼럼] 대비가 필요한 AI와 공존하는 사회

    우리는 8년 전 구글의 딥마인드가 개발한 인공지능(AI) 바둑 프로그램 알파고(AlphaGo)를 기억하고 있다. 세계 최정상급의 이세돌 9단과의 대결은 AI 연구에 있어 획기적인 사건이었다. AI가 인간을 이긴 것이다. 현재의 AI 기술은 더욱 빠르게 진화해 인간 영역 전반에 ...
    Date2024.04.15 ByHBcom Views7976
    Read More
  2. No Image

    [정순채 칼럼] 첨단기술이 바꾼 우크라이나 전쟁 2년

    지난달 24일로 우크라이나 전쟁이 2년을 넘겼다. 단기간에 우크라이나를 점령할 것이라는 러시아의 예상과는 달리 우크라이나의 저항이 거세다. 그 중심에는 드론과 같은 첨단 기술이 활용되고 있다. 기존 전쟁과는 확연하게 다르다. 지난달 중순에는 우크라이나의 드론...
    Date2024.03.21 By관리자 Views11598
    Read More
  3. No Image

    [정순채 칼럼] 표기 의무화가 필요한 생성형 인공지능 콘텐츠

    생성형 인공지능(AI)을 이용한 콘텐츠가 증가하고 있어 저작권 침해 등 부작용이 우려된다. AI 기술 발전이 창작 활동 전반에서 폭넓게 응용되면서 결과물도 급속도로 확산하고 있다. 저작권 침해나 가짜뉴스, 딥페이크 같은 문제점도 다양하다. 챗GPT 등 AI를 활용한 콘...
    Date2024.03.06 By관리자 Views14082
    Read More
  4. No Image

    [정순채 칼럼] 김정은 지시에 활동하는 北 해커부대

    지난해 공공기관을 노린 하루 평균 해킹 시도는 1년 만에 36%가량 증가한 162만 건으로 나타났다. 이 중 80%가 북한발 공격으로 밝혀졌다. 북한의 사이버 공격은 김정은 위원장의 지시에 따라 이뤄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올해는 북한이 공공기관과 금융시장 등을 상대로 ...
    Date2024.03.04 By관리자 Views12720
    Read More
  5. [정순채 칼럼] 빠르고 넓게 전파되는 가짜뉴스

    가짜뉴스에 대한 논쟁이 끝이 없다. 가짜와 결합 된 뉴스는 그 자체가 기형으로 사실의 뉴스와는 다르다. 가짜뉴스는 진짜 뉴스보다 전파가 훨씬 더 빠르고 범위도 넓다. 가짜뉴스는 사실 이상으로 더 새롭고 자극적이다. 시각이나 청각 등 사람의 감각을 만족시키기 위...
    Date2024.03.04 By관리자 Views12658
    Read More
  6. No Image

    [정순채 칼럼] 민·관의 적정규제가 필요한 인공지능 산업표준

    국가전략기술 중 하나인 인공지능(AI) 기술에 대한 표준화는 적정 규제가 필요하다. AI 진흥과 부작용 억제 관계에는 균형이 필수이다. AI가 자율주행과 금융, 의료 등 다양하게 확장되면서 AI 관리 표준은 빠르거나 늦지 않게 적당한 속도가 조절돼야 한다. AI 산업 양...
    Date2023.11.07 By관리자 Views22206
    Read More
  7. [정순채 칼럼] 고도화가 필요한 금융보안

    정순채 동국대학교 겸임교수, 서울디지털대학교·경희사이버대학교 객원교수, 법무법인 린 전문위원 디지털 금융 환경 확장으로 금융보안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디지털 수단으로 확장되는 금융서비스 위협 범위도 넓어지고 다양화되어 대응력 강화가 필요하다. 지난...
    Date2023.09.25 By관리자 Views2254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