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667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첨부

21068.jpg

개발 중인 마틴 사의 제트팩. 출처 : www.martinjetpack.com

제트팩.jpg

2010년 11월, 스위스 모험가 이브 로시가  맞춤 제작한 제트 추진 날개옷(제트팩)을 입고 열기구에서 뛰어내려 비행하고 있다.연합뉴스

 

 수천 년 동안 인간은 새처럼 하늘을 날고 싶어 하는 꿈을 가져 왔다. 이 꿈은 고대 신화나 상상에서, 15세기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그림에서, 라이트형제의 비행에서 보여 주었다. 이러한 역사를 기초로 오늘날 비행기가 인간의 꿈을 실현시켜 주었지만 이와는 별도로 인간이 직접 날개를 달고 비행하는 시도가 지속돼 왔다. 이는 개인장비를 착용하고 언제 어디서나 자유롭게 비행하면서 마치 영화 속의 슈퍼영웅처럼 되고 싶은 인간의 열망이 담겨져 있는 듯하다.

 ‘제트팩(jetpack)’, 혹은 ‘로켓벨트(rocket belt)’ ‘로켓팩(rocket pack)’으로 불리는 장비는 그 좋은 예다. ‘제트팩’은 인간이 직접 등에 매고 언제 어디서나 자유롭게 날 수 있게 하는 개인 비행장비로, 제트엔진에 의한 가스분사기와 가스분사에 의한 힘(추력)을 조절하는 장치로 이뤄져 있다. 제트팩은 제2차 세계대전 중 최초 개발 시도 이후, 현재까지 다양한 날개 형태와 다양한 연료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뤄져 왔다.

 초기 제트팩 연구는 그 활용성이나 개발 규모 때문에 대부분 군사적 목적의 정부 주도 위주로 이뤄져 왔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독일은 주요 공학자들을 안전하게 이동시키는 수단으로 제트팩을 고안했다. 1959년 미 육군은 지뢰밭·철조망·강물·절벽 등의 장애물을 극복하거나, 정찰과 전술이동 등에 활용하는 개념을 수립하고 제트팩 개발을 진행했다.

 그러나 그 당시 개발된 제트팩은 실용화하기에는 너무 무겁고 복잡했으며, 비행 안정성이 떨어지는 기술적 한계에 봉착했다. 그 후 80년대 들어 주요 스포츠 이벤트를 위한 일회성 행사나 중력에 영향을 받지 않는 우주에서 실제 활용하는 데 그쳤다.

 20세기 들어 제트팩에 대한 연구가 다시 민간을 중심으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스위스의 ‘제트맨’이라 불리는 이브 로시(Yves Rossy) 씨는 고정형 날개 형태의 제트팩 30여 종류를 개발했고, 심지어 2008년에는 제트팩을 착용하고 영국과 프랑스 사이에 있는 도버 해협을 횡단하기도 했다.

 현재는 여러 업체가 상용제품을 제작·판매하는 단계까지 도달했다. TAM 사, 제트인터내셔널 사, 마틴 사 등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업체들의 노력은 개인비행을 위한 장비로서의 제트팩에 대한 개념을 어느 정도 실현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제트팩을 활용하고자 하는 사람들의 바람은 단순 비행에만 있지는 않다.

 최근 ‘아이언맨’이라는 영화가 2편까지 개봉돼 많은 인기를 얻은 바 있다. 이 영화는 최첨단 슈트(suit)를 착용하고 활약하는 ‘아이언맨’이라는 영웅 이야기다. 이 아이언맨 슈트는 비행능력뿐만 아니라 엄청난 전투능력을 부여하는 꿈의 군사무기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제트팩의 기술이 현재의 개인비행 수준에서 최첨단 전자장비와 소형로켓 등을 장착할 수 있을 정도의 수준에 이른다면 제트팩이 영화와 같은 최첨단 무기로 진보하는 것이 불가능한 상상은 아니다. 앞으로는 대테러작전을 위한 특공대원들이 건물 진입 시 헬기나 로프를 타는 대신 로켓이 장착된 최첨단 제트팩을 착용하게 될지도 모르며, 전장에서 제트팩을 매고 작전을 수행하면서 부상자가 나오면 바로 옆 동료가 날아서 부상병을 후송하는 상황이 올지도 모른다. 이처럼 제트팩의 잠재력과 이에 대한 기대감이 존재하는 이상, 제트팩의 기술진보 노력은 계속되고 언젠가는 제트팩이 필수무기로 자리매김하는 날이 머지않았다고 믿는다.
<전상배 국방기술품질원 선임연구원>


TAG •

  1. 개인비행 장비 ‘Jet pack’

    개발 중인 마틴 사의 제트팩. 출처 : www.martinjetpack.com 2010년 11월, 스위스 모험가 이브 로시가 맞춤 제작한 제트 추진 날개옷(제트팩)을 입고 열기구에서 뛰어내려 비행하고 있다.연합뉴스 수천 년 동안 인간...
    Date2011.02.23 By운영자 Views6678
    Read More
  2. 강하준비하는 미육군 낙하산보병대원

    미육군 505 낙하산보병연대 낙하산병이 허귤리스 C-130에서 강하에 앞서 생명줄을 점검하고 있다. 사진출처 : 미국방부홈페이지 / 사진 : 안젤리타 엠 로렌스
    Date2010.10.20 By슈퍼맨 Views6688
    Read More
  3. 가장 잔인했던 겨울’ 장진호 전투가 남긴 교훈

    예로부터 추위는 전쟁터에서 군인이 겪어야 할 가장 큰 고통이었으며, 때로는 적 이상의 두려운 존재이기도 했다. 1812년 러시아를 향해 진군한 나폴레옹군은 적이 아닌 영하 38도의 혹독한 추위에 무릎을 꿇어야했고...
    Date2015.12.15 By운영자 Views23374
    Read More
  4. 가오리전투기 스텔스

    “유럽에서 코소보 분쟁이 한창이던 1999년 5월19일 새벽 대서양 건너편 미국의 미주리주 화이트맨 공군 기지에서 2대의 B-2 스텔스 전투기가 출격했다. 이들은 13시간의 비행 끝에 유고슬라비아 상공에 도착, 목표물...
    Date2010.05.24 By운영자 Views6799
    Read More
  5. 가래로도 못 막은 과달카날 전투

    日, 미군 전력 모르고 공격했다 연이은 참패 日, 4차에 걸쳐 전사 14800·병사 9000·포로 1000명 손실 연합군에 육지뿐만 아니라 해상·공중서도 주도권 넘겨줘 / 2011.06.01 석지실장(惜指失掌)이라는 고사성어가 있다...
    Date2011.06.01 By운영자 Views9928
    Read More
  6. 美해군이 '떠다니는 기지'용 함정을 건조하는 이유

    [아시아경제 박희준 기자]미 해군이 분쟁지역에 배치해 작전,보급,의료기지로 사용하는 해상전진대기지(AFSB)용 함정을 건조하고 있다. 1966년 기골을 설치해 55살이 된 수송선을 이동식 전투 플랫폼으로 개조한 폰스...
    Date2012.07.14 By배나온슈퍼맨 Views3756
    Read More
  7. 美국방부, 사이버 공격전에 `무력대응' 검토한다

    김성걸 (정치학 박사 한국국방연구원국방현안팀장) 불특정 공격자 日평균 600만 번 침투로 심각 사이버 공격 주체 확인 여부 … 대응전략 우선 / 국방일보 2011.07.04 청와대와 외교통상부·국가정보원 등 국가기관과 ...
    Date2011.07.03 By운영자 Views5090
    Read More
  8. 美 해병대 ILBE

    2004년 독자적 채택…총 23만 8천세트 사용 / 국방일보 2012.11.12 고강도 나일론 사용 가볍고 내구성 높아 미 해병대가 지난 2004년 독자적으로 채택한 ILBE 배낭 시스템. 필자제공 미 해병대는 2000년대 들어 육군과...
    Date2012.11.12 By운영자 Views17755
    Read More
  9. 美 해병대 4배율스코프 개인화기로 지급

    Date2010.08.10 By운영자 Views6234
    Read More
  10. 美 해군 이지스함, 멀쩡하던 마스트가 ‘뚝’

    [서울신문 M & M] 취역한 지 1년도 안 된 미 해군의 신형 이지스함에서 마스트(Mast)의 일부가 부러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미국의 군사전문지인 네이비타임즈는 통상적인 임무를 수행하던 미 해군 구축함 '그레이블리...
    Date2011.02.16 By운영자 Views7837
    Read More
  11. 美 항공모함 칼빈슨 함 부산 입항

    미국의 항공모함 칼빈슨 함(9만3000톤급)이 11일 오전 해군작전사령부 부산기지에 입항했다. 1983년 3월 취역한 니미츠급 원자력 항모의 세 번째 항모인 칼빈슨 함은 길이 333m, 넓이 40.8m, 비행갑판 길이 76.4m 규...
    Date2011.01.12 By운영자 Views5720
    Read More
  12. 美 합참 ‘합동 작전적 접근 개념’ <상>

    전투 영역 간 시너지 효과 극대화 창출 / 국방일보 2012.7.12 미국은 세계 군사작전에서 새로운 위협인 ‘반접근’ ‘지역 거부’를 극복하고자 새로운 작전 개념을 구체화하는 데 비상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미국의 ...
    Date2012.07.11 By배나온슈퍼맨 Views529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Next
/ 18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