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뮤지컬 ‘몬테크리스토’ 전동석

어릴때부터 ‘울림통’ 남달라 성악 입문
혜성처럼 등장? 10년 넘게 땀방울 흘려
선배 류정한은 닮고 싶고 넘고 싶은 벽

배우 전동석(24)은 시쳇말로 ‘류빠’다. 한마디 한마디 선배 류정한에 대한 애정이 흘러넘친다.

뮤지컬을 업으로 선택한 것도, 작품을 고른 이유도, 앞으로 닮고 싶은 인물도 무조건 류정한이란다. 뮤지컬 ‘몬테크리스토’에e1a049c3fe0a4066be179e7a34d85e17_1.jpg 서 알버트 역으로 출연한 것도 류정한의 아들을 연기할 수 있어서다.

“정한이 형은 존경하는 선배이자 내가 그리는 미래예요. 늘 정상을 지키면서도 겸손하고, 끊임없이 노력하는 모습이 후배들에게 귀감이 되죠. 이번이 아니면 또 언제 형과 같이 무대에 오를 수 있을까 해서 선뜻 출연을 결심했습니다.”

뮤지컬 ‘몬테크리스토’에서 그가 맡은 역할은 에드몬드와 메르세데스의 아들 알버트다. 남편을 잃고 아들을 홀로 키우는 메르세데스가 믿고 의지하는 유일한 인물이지만 경솔한 행동을 일삼으며 어머니의 속을 썩인다.

“누구의 말에도 귀를 기울이지 않는 철부지예요. 아버지의 원수들과 결탁해 아무것도 모른 채 친부에게 총구를 겨누죠. 누가 봐도 한없이 어리고 줏대 없는 모습으로 콘셉트를 잡았어요. ‘천국의 눈물’의 준과는 정반대되는 캐릭터라고 할 수 있죠.”

전동석은 2009년 ‘로미오 앤 줄리엣’으로 데뷔한 뒤 같은 해 ‘노트르담 드 파리’에 캐스팅되며 뮤지컬계 최고의 기대주로 떠올랐다. 지난해 ‘몬테크리스토’에 이어 올해는 김준수와 함께 ‘모차르트’ 무대에 서며 존재감을 각인시켰다. 신인들이 오르기 힘들다는 대형 라이선스 뮤지컬을 줄줄이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 억세게 운 좋은 사나이다.

 

“시대를 잘 만난 것 같아요. 지금 워낙 제 나이 또래 배우들이 없기 때문이기도 하고요. 시작하는 단계에서 이렇게 좋은 작품을 만난 건 엄청난 행운이죠. 큰 공연을 하면서 만난 대 선배님들께 배우면서 한층 성장하게 되는 것 같아요.”

태어날 때부터 울림통이 남달랐던 전동석은 또래가 대중가요를 흥얼거리던 사춘기 시절부터 클래식 음악에 심취했다. 그의 우렁찬 목소리는 음악선생님들의 귀를 매료시켰고 끊임없이 성악을 배워보지 않겠느냐는 권유를 받았다. 교회 성가대로 활동할 무렵 지휘자 선생님의 도움으로 성악에 입문했다.

 

뮤지컬 배우로서의 꿈을 키운 건 군 시절이다. 해병대로 군 생활을 했던 그는 미래에 대해 생각하던 중 노래와 연기, 춤을 함께 할 수 있는 뮤지컬을 생각해냈다.  노래를 불러보라는 고참의 말에 가요가 아닌 뮤지컬 넘버를 불렀다.

“전역할 땐 어떤 힘든 일도 다 해낼 수 있다는 확신이 들었어요. 원래 긴 군 생활 끝엔 다들 자신감이 충만하잖아요. (웃음)지금도 너무 힘들 때면 이병 시절을 회상해요. 그럼 희한하게 뮤지컬도, 사회생활도 별로 힘들지 않거든요.”

사람들은 그에게 ‘혜성’‘샛별’ 등 명찰을 붙이며 한순간 만들어진 반짝 스타로 포장하지만 그는 지금 이 순간들이 지난 10년 인고의 세월이 만들어 준 선물이라고 생각한다.

“탄탄대로를 걸은 것처럼 보일지 몰라도 성악을 시작한 이후 10년 동안 전 수없이 많은 벽에 부딪혀 왔습니다. 앞으로도 무수한 벽이 기다리고 있겠지요. 하지만 겁내지 않으려고요. 노력과 꿈이 있다면 언젠가는 (류)정한이 형처럼 모두가 동경하는 배우가 될 수 있지 않을까요.”

[포커스신문사 | 글 이윤경 기자·사진 장세영 기자 2011-04-26 00:05:28] 

별명은 ‘충북예고 강동원’
부담되지만 그래도 좋아
  

충북 청주 출신인 전동석의 별명은 ‘충북예고 강동원’이다. 훤칠한 키, 작은 얼굴에 또렷한 이목구비가 강동원을 빼다박았다는 이야기가 인터넷에서 화제가 됐다.

그는 “고등학교 2학년 때 강동원 주연의 영화 ‘늑대의 유혹’이 나왔다”며 “누가 지었는지 출처는 모르지만 기분 좋으면서도 부담스러운 별명이다”고 말했다.

“지금 그런 얘길 들으면 손발이 오글거려요. 저도 나이가 많이 들었는데 말이죠. 고등학교 시절 별명이 지금까지 따라다는다는 게 참 신기하죠? 하긴 졸업앨범이 떠도는 것보다는 백배 낫지만….” 


TAG •

  1. 연평도포격 현장수기 - 3포반장 하사 김영복

    김영복 하사 금일에 평가 ATT평가 사격이 계획이 되어 있었다. 그래서 오전부터 사격준비 및 사격대비 비사격 임무를 실시하였다. 오후 13시 30분부터 평가사격이 되었고, 초탄은 우리 3포가 수정임무 사격을 실시하였다. 마지막 사격을 실시하는 도중에 4포가 불발이 나서 FDC에 불발보고를 하였다. 그때 우리 포반은 사격...
    Date2010.12.14 By관리자 Views6889
    Read More
  2. 연평도포격 현장수기 - 제7포병중대장 대위 김정수

    제7포병중대장 대위 김정수 우리 해병대 연평부대 포 7중대는 '대한민국 국가대표 포병중대'다. 전군 최초로 대한민국이 개발한 세계적인 명품 K-9 자주포가 배치됐다는 것을 알고 서북도서에서의 군 복무로 자부심을 갖도록 내가 붙인 애칭이다. 2010년 11월 23일 여느 때처럼 아침에 출근을 하면서 소연평을 바라봤었다. ...
    Date2010.12.14 By관리자 Views8409
    Read More
  3. 해병대원들의 연평도포격 수기

    해병대 사령부가 지난달 23일 발생한 북한의 연평도 포격도발 당시 전투에 참가한 장병들의 수기 가운데 일부를 14일 공개했다. 이번에 공개된 수기는 현장에 있던 장병 12명이 직접 적은 것이다. 해병대 측은 다른 장병들이 적은 내용을 보완해 수기를 책으로 발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수기에는 장병들이 직접 보고 체험...
    Date2010.12.14 By관리자 Views8169
    Read More
  4. 전쟁에 반대하는 해병

    해병 539기 김복철(44)씨. 그는 지난 1986년부터 88년까지 서해 바다의 강화도에서 근무했다. 오랜만에 군대 얘기가 나오자 여느 해병대 나온 사람들이 그러는 것처럼, 두 눈을 반짝이며 경험담을 쏟아내더니 신병교육을 마치고 동기들과 찍은 사진을 자랑스럽게 내민다. “해병대의 빨간 명찰은 아무나 다는 게 아닙니다. 전...
    Date2010.12.09 By슈퍼맨 Views4624
    Read More
  5. 대한민국 최일선 서해 5도

    ‘서해 5도는 과연 우리에게 무엇인가.’ 북한의 연평 도발 이후 대한민국 최전방에 떠 있는 서해 5도는 우리에게 자신들의 존재 의미를 새삼 되묻고 있다. 백령, 대청, 소청, 연평, 우도 등 대다수 뭍사람들에게는 이름조차 잊혀져 있던 이들 5개 섬은 이번 포격 사태로 우리가 절대로 빼앗길 수 없는 대한민국 영토임을 분명...
    Date2010.12.09 By슈퍼맨 Views6567
    Read More
  6. 백령도

    “중국 어선들 어장 싹쓸이 그래도 덕분에 북한이 포 안 쏘겠지 싶기도 하고…” “자식들 나오라고 성화 여기처럼 살기 좋은 데 없어… 저놈들 내려오면 총 들고 나설 것” ▲ 육지에 있는 자식들을 위해 김장을 하는 백령도 주민들. 왼쪽이 이영자, 오른쪽이 최춘매씨. 연평도에 대한 북한의 포격 공격이 일어난 지 6일이 지난 11...
    Date2010.12.09 By슈퍼맨 Views3138
    Read More
  7. 우도

    백령도·연평도 못지않은 전략적 요충지 1961년 남북한 비밀회담 루트 2주일마다 한 번씩 오는 부식 배가 생명선 서해 5도의 마지막 섬 섬 한 바퀴 도는 데 30분이면 끝 365일 민간인 구경 못해 고독과의 사투 근무 장병들 우울증 호소도 ▲ 우도의 일부분. 해병 OP가 보인다. photo 신미식 서해 5도(島). 북한의 연평도 포격...
    Date2010.12.09 By슈퍼맨 Views4137
    Read More
  8. No Image

    대청도

    “평생 고생해 민박집 하나 장만해 놨더니 낚시꾼 발길 끊겨 휴업상태 고기만 잡고 살았는데 육지 나갈 수도 없고…” 40년 전에 지은 방공호 있으나 마나북측은 서해안 기지에 온갖 포 집중배치北 앞마당이나 다름없어 ▲ 대청도의 한 주민이 선진동 해군기지에 정박 중인 해군 고속정들을 바라보며 담배를 피우고 있다. 지난 1...
    Date2010.12.09 By슈퍼맨 Views8169
    Read More
  9. No Image

    해병대 - 함혜리

    “그들은 귀신을 잡을 수 있을 정도로 용감했다.” 6·25 전쟁 당시 한반도의 전쟁터를 종횡무진 누비며 현장감 있는 기사로 전쟁의 참상과 이면을 세상에 알린 뉴욕헤럴드트리뷴의 종군기자 마거릿 히긴스가 1950년 8월 23일 자에 송고한 기사다. 히긴스는 ‘귀신 잡는 해병대’란 제하의 기사에서 우세한 적군을 기습적인 양동 ...
    Date2010.12.07 By관리자 Views4340
    Read More
  10. 한번 더 건드리면 죽는다 우린 해병이다

    [중앙일보]입력 2010.12.03 19:22 / 수정 2010.12.04 02:38 “사나이 한 명이 길목 지키면 1000명을 두렵게 한다” 해병 청룡부대 11중대, 연대급 월맹군 격파 … 당시 신원배 1소대장, 해병정신을 말하다 해병 정복을 입고 포즈를 취한 신원배 예비역 소장. 사진 = 박종근 기자 jokepark@joongang.co.kr 정유재란 때이던 1597...
    Date2010.12.05 By관리자 Views4372
    Read More
  11. 해병대는 원래부터 국가전략기동부대 였다

    지난달 23일 발생한 북한의 연평도 포격에 대한 대응으로 해병대를 국가전략기동부대로 육성하겠다는 국방선진화추진위원회의 언급에 대해 해병대 전역자들의 볼멘소리가 나오고 있다. 해병대 전역자들은 “해병대는 원래 국가전략기동부대였다.”면서 “이 사실은 해병대 나온 사람만 알고 있는 것이냐”고 반문하고 있다. 실제...
    Date2010.12.05 By관리자 Views5708
    Read More
  12. 북도발 좌시해서는 안돼...공지기동 해병대 건설해야!

    공정식 제6대 해병대 사령관 지난 11월 23일 오후 2시 34분, 북한은 연평도 지역에 대한 무차별 해안포 사격으로 해병대에 대한 도발을 감행했다. 수백발의 포탄이 연평도에 떨어졌고 연평도는 순식간에 화염에 휩싸였다. 연평도에서 국방의 의무를 수행 중이던 해병대 고(故) 서정우 하사와 고(故) 문광욱 일병은 북한의 무...
    Date2010.12.04 By관리자 Views4134
    Read More
  13. 서정우,문광욱해병의 묘소를 찾아.....

    후배해병을 잃은 슬픔과 그들의 명복을 비는 마음을 기사로라도 대신하고자 지난 11월30일 서정우하사와 문광욱일병의 묘소를 찾아 대전국립현충원에 다녀왔습니다. 자세한 기사는 아래 링크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서정우하사,문광욱일병을 묘소를 다녀왔습니다. http://demaclub.tistory.com/271 11월 30일 오전에 다...
    Date2010.12.02 By슈퍼맨 Views2948
    Read More
  14. 해병대를 이끌어가는 힘! 장교가 되는 길

    어느 덧 사관후보생 110기를 모집하는 시즌이 다가왔다. 해병대 장교의 매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선배장교이자 동시에 후배 장교 모집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사령부 인력획득과의 박진호 대위를 만나보았다. 병 군 복무기간이 예전에 비해 많이 단축되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이 장교의 길을 선택하는 이...
    Date2010.12.01 By관리자 Views3561
    Read More
  15. 해병대정신

    해병대 정신의 상징은 젊음이다. 그것은 잘 다듬어진 젊은 남성의 육체가 주는 강력한 파워다. 그러나 힘은 육체에서 오는 것만은 아니다. 그것은 정신이 만들어 내는젊은 에너지로 충만해 있는 것을 말한다. 글 변화경영연구소 소장 구본형 여름은 무성하다. 나는 늘 여름이면 제자들과 아름다운 여행을 한다. 가고 싶은 사...
    Date2010.12.01 By관리자 Views4632
    Read More
  16. 나라를 구한 섬사람들 제주해병 3,4기

    지난 9월 1일. 제주도 동문 로터리 일대에서 ‘해병대 주둔 표지석 제막식’이 열렸다. 60년 전 해병대 사령부가 주둔했음을 기념하기 위한 행사. 해병대는 1949년 12월 28일 제주도로 이동하여 한라산의 공비를 토벌하고 4·3사건으로 피폐된 제주도의 민심을 수습하는데 전력투구한다. 그러던 1950년 6월 25일 6·25전쟁이 발...
    Date2010.12.01 By관리자 Views4490
    Read More
  17. 골수기증으로 한 생명을 살린 김성관소령을 만나다.

    “누구나 약속하기는 쉽다. 그러나 그 약속을 이행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미국의 시인이자 사상가인 에머슨 (Ralph Waldo Emerson) 이 남긴 말이다. 우리는 타인, 또는 자기 자신과 무수히 많은 약속을 하며 살아간다. 하지만 그 많은 약 속들 중 상당수는 지키지 못한 채 살아가는 것도 사실이다. 골수 기증은 적혈구, ...
    Date2010.12.01 By관리자 Views4933
    Read More
  18. 연평도의 K9자주포 해병대가 늦장대응이라고???

    연평도에서 13분 걸렸다. 평시가 아닌 전시에서. 한대에 40억하는... 정말 그런 몸값을 하는 자주포를 6대 연평도에 배치했다.(한부대가 6대) 나는 155밀리 견인곡사포를 상병떄까지 하고 군단급이라 포가 자주포로 바뀌는 경험을 했다. 덕분에 상병떄 분대장달고 다시 공부했다. 결국 전역할떄까지 K9과 살았다. 포병은 T0T...
    Date2010.11.27 By운영자 Views6084
    Read More
  19. 빗발치는 포격속에서 빛난 해병대의 뜨거운 전우애

    중화기 중대 김지용 상병은 다른 해병들과 함께 북한군의 포격간 마을 주민을 대피시키고 잠시 소강상태가 되자 부대로 복귀했다. 하지만 곧 2차 폭격이 시작되었고, 중대건물에 포격이 시작되며 파편으로 인해 목 파편상을 입었다. 하지만 중대 관측담당관인 김종선 상사가 김상병의 목을 지혈하고 "너는 내가 반드시 살린...
    Date2010.11.27 By운영자 Views3969
    Read More
  20. No Image

    해병대는 줄이고 자주포는 늘려야 하는데 (예비역 육군중사)

    게시글출처 : 다음 아고라 http://bbs1.agora.media.daum.net/gaia/do/debate/read?bbsId=D115&articleId=1228274 해병대 감축안을 폐지하고 현행대로 유지한다는 언론 뉴스를 보고 한마디 합니다. 서해5도 다시말하면 해병부대가 주둔하고 있는 백령도,연평도에 가장 필요한것은 적의 공격을 가장 효과적 으로 방어할수있는...
    Date2010.11.27 By운영자 Views7122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6 Next
/ 16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