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사무실 제 책상 6m 근방에 책상이 있는 동료에게 편지 한 통이 왔습니다.

편지를 보낸 사람은 ‘해병대사령관’.

통 사람은 범접하기도 두렵다는 대한민국 군대 사령관이 무슨 일로 편지를 보냈는지가 궁금했습니다.

편지 주인에게 허락 받아 읽어 봅니다.

 

 내우외환이랄까, 해병대는 지난 해와 올해 유독 악재가 많았습니다. 

천암함 사건, 연평도 포격, 그리고 해병대 2사단 ‘기수열외’ 사건까지, 힘들고 아픈 시기를 보냈습니다.

그런 해병대에서, 대한민국 그 누구보다 힘들었을 해병대 사령관이 일반인인 기자에게 보낸 편지를 읽다가 문득 뭉클해지는 대목이 있어 소개합니다. 

 

50e021611.jpg

 

해병대사령관 유낙준입니다.

먼저, 최근 해병대와 관련하여 총기사고, 인명사고 등 불미스런 일들로 인해 이정훈 기자님을 비롯한 대한민국 국민과 해병대를 아끼는 많은 분들에게 심려를 끼친 것에 대해 매우 송구스럽게 생각합니다.

 

그러나 이정훈 전문기자님의 ‘해병대는 ‘상륙기동군’이고 싶다’ 제하의 기사를 보며 ‘지금 내가 고개를 숙이고만 있어서는 안 되겠구나’, ‘하루빨리 해병대와 군을 걱정해주는 분들을 위해 더욱 노력해야겠다.’고 다시 한 번 다짐을 하면서, 이 기자님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그동안 이 기자님께서는 각종 세미나 및 방송출연, 지면보도, 기고, 저서 등을 통해 한국 해병대가 융비해 나가 대한민국 방위에 가장 효과적으로 운용될 수 있는 혜안과 방향을 제시해주셨고, 이는 우리 해병대에 큰 힘이 되어 왔습니다.

 

이번 기사에서도 이 기자님께서 강조해주신 것처럼 해병대가 다목적 신속 대응군이자 전략기동부대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완편 된 상륙사단의 보유와 상륙기동헬기가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이 사실입니다. 비록 지금 당장은 극복해야할 과제가 많아도 우리 해병대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전 장병이 한 마음으로 더욱 노력해 나갈 것입니다.

 

우리 해병대가 존재 목적에 부합되는 최강의 군대로 거듭날 수 있도록 이 기자님의 진심어린 성원과 아낌 없는 고견을 간곡히 부탁드리며, 이 기자님의 건승과 가정의 평안, ‘동아일보사’의 발전을 기원합니다.

 

2011년 8월 17일’해병대사령관 해병중장 유낙준 드림

 

 

50e0218.jpg

 

 

아래는 유낙준 해병대사령관이 편지를 직접 쓰게 만든 기사입니다.

 

해병대는 ‘상륙기동군’이고 싶다

 

2사단과 6여단 경계 방어에만 투입

상륙부대 1사단은 장비와 인원 부족

 

  

7월 4일 인천 강화도에 주둔한 해병대 2사단(청룡) 예하 부대에서 한 소대원이 동료 네 명을 쏴 숨지게 하자 “소수정예를 자랑하는 해병대에서 어떻게 이런 일이 일어날 수 있느냐”는 탄식이 터져 나왔다. 군을 안다는 사람들은 “구시대적으로 ‘악으로 깡으로’만 외치며 운영하니 그렇게 된 것”이라며 해병대 특유의 기수 문화를 비판했다. 1967년 베트남 짜빈동에서 중대 병력으로 월맹군 연대의 공격을 막아내 외신에 ‘신화를 남긴 해병(Myth Making Marines)’으로 소개됐던 부대가 이 지경이 된 이유는 무엇인가.

 

현재 휴전선 방어에 투입한 육군 사단은 20여 개다. 이 중 10여 개가 휴전선을 지키는 전방관측소(GOP) 부대고, 나머지는 이들을 지원하는 예비 부대다. 휴전선 길이가 155마일(250여km)인 점을 감안하면, 육군 한 개 사단이 지키는 전선 길이는 대략 25km다. 국방개혁 2020 등에서는 GOP 사단의 작전구역을 가로 15km, 세로(종심) 30km로 정해놓았으니 육군 사단이 맡는 전선(가로 ) 길이는 20km 내외로 볼 수 있다.

 

육군 두 개 사단 구실해온 해병대 2사단

 

해병대 2사단이 맡은 김포·강화 지역은 육군 GOP 사단이 담당하는 지역과 조건이 다르다. 강화도와 그 부속도서인 교동도, 우도 등은 북한과 가까워 전 해안에 경계 병력을 배치해야 한다. 한강 하구도 북한을 마주보고 있으므로 전체를 경계해야 한다. 이러한 섬의 해안선과 한강 하구를 더한 길이가 휴전선과 비슷한 250여km다. 물론 해안선이 구불구불해 길게 측정된 탓도 있겠지만, 해병대 2사단이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긴 선을 지켜야 하는 것은 사실이다.

 

따라서 해병대 2사단 예하 부대들은 산지사방으로 흩어진다. 분대가 들어가 지켜야 하는 섬이 있을 정도다. 이러니 기수를 따지는 병사 중심의 문화가 강해질 수밖에 없다. 군 구조개혁 방안인 8·18계획을 추진한 노태우 대통령 때도 해병대 2사단의 관할 지역이 너무 넓다는 것이 문제로 제기됐다. 해병대는 상륙전을 해야 하는 부대이므로 김포와 강화는 육군이 지켜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그래서 해병대 2사단을 빼내고 육군을 배치하려고 실사해보니 2.8개 사단, 적어도 두 개 사단을 넣어야 한다는 결과가 나왔다.

 

육군이 두 개 사단을 김포·강화 지역에 투입하면, 나머지 사단이 맡아야 하는 작전 지역이 넓어진다. GOP 사단은 물론이고 예비사단과 군단의 작전구역도 재조정해야 한다. 이 때문에 해병대 2사단을 빼내는 것은 없던 일이 됐다. 그 후로는 ‘해병대는 용맹하다고 하고, 그 지역은 섬이 많으니 해병대가 지키는 것이 맞다’는 논리가 등장했다. 해병대 2사단에서 사고가 일어나자 이러한 부담은 고려하지 않은 채 “운영이 구시대적이라서 그렇다”는 비판만 난무했다.

 

한국군이 안은 고질 중 하나는 해병대를 육군처럼 운영한다는 점이다. 미국 육군은 분대를 9~10명으로 구성하지만 해병대는 12명 이상으로 편성한다. 따라서 같은 소대라도 해병대 병력이 더 많다. 미 육군 사단 병력은 1만2000여 명 정도지만 해병대 사단은 1만5000여 명 이상으로 구성한다. 이는 상륙전 과정에서 많은 병력을 잃을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한 조치다. 그러나 한국 해병대의 사단 병력은 육군 사단과 엇비슷하다. 

 

해병대 용맹함 밖으로 증폭시켜야

  

포항에 있는 해병대 1사단은 대한민국 유일의 상륙부대다. 그런데도 이 부대의 병력은 육군화가 많이 이뤄진 해병대 2사단보다 적다. 전략 예비부대라는 이유로 전선을 맡지 않아, 예하 부대를 여러 곳으로 파견했기 때문이다. 해병대 1사단은 유사시 북한 중허리로 상륙해 제2전선을 형성해야 한다. 그런 만큼 항상 완편(完編)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데, 상륙전을 못할 정도로 부대를 줄여놓았다. 해병대의 육군화를 막고 상륙전 기능을 회복하는 것은 중요한 국방개혁 사안이지만 이명박 정부는 우선순위를 뒤로 미뤄놓았다.

 

해병대는 용감하다는 이유로 전력 증강도 제대로 받지 못했다. 해병대는 상륙전을 하는 기동부대이므로 육군의 기계화부대 이상으로 좋은 장비를 갖춰야 하는데 거꾸로 갔다. 해병대 부대에는 육군에서는 보기 힘든 구식 장비가 즐비하다. 유일한 예외가 해병대 6여단과 연평부대에 제공한 K-9 자주포다. 6여단과 연평부대는 10여km 이상 바다를 사이에 두고 적과 대치하고 있으니, 사거리가 10km 이상 되는 포를 보유해야 한다. 155mm포와 한국형 방사포인 ‘구룡’ 등이 이에 해당한다.

  

우리 군 수뇌부는 육군이 다수인 탓인지 ‘군단에는 155mm포, 사단과 여단에는 105mm포’ 식으로 정형화한 포 배분론을 신봉한다. 이 때문에 해병대 6여단에는 북한 땅에 도달하지도 못하는 105mm포를 제공했다. 이 문제점을 꿰뚫어본 이가 조성태 전 국방부 장관이었다. 1999년 명품 155mm 자주포인 K-9이 생산되자 당시 장관이던 그가 백령·연평도에 이 포를 먼저 배치해야 한다고 주장해 관철시켰다. 그 덕분에 지난해 11월 북한군이 연평도로 포격을 퍼붓자 연평부대는 K-9을 쏘며 반격할 수 있었다. 그의 선견지명이 없었다면 이날 연평부대는 어떠한 대응도 하지 못했을 것이다. 문제는 조 전 장관 같은 정책결정권자의 배려가 극히 이례적이라는 사실이다. 

 

북한 급변사태 시 신속히 북한을 안정화시키려면 해병대를 동원해 서해에 상륙하는 것이 유리하다.

 

예상 가능한 북한 급변사태 중 하나는 북한  내전이다. 북한내전이 벌어지면 신속히 군대를 파견해 안정화해야 한다. 내전은 권력 핵심 부서가 있는 평양에서 일어날 확률이 가장 높으므로 평양부터 점령해야 한다. 휴전선에 배치한 육군의 기계화사단이 평양까지 달려가려면 조밀한 북한군 방어망을 뚫고 200여km를 달려야 한다. 이 과정에서 북한군과 교전이 없으리라고는 누구도 자신할 수 없다. 그러나 해병대를 파견한다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대동강 하구로 상륙한 해병대는 50여km만 주파하면 평양에 닿을 수 있다. 

 

백령도 등 서해 5도는 이러한 상륙전을 지원하는 전진기지가 돼야 한다. 해군도 강력한 상륙전 세력을 갖춰야 한다. 해군의 전투부대는 함대→전단→전대 순으로 작아진다.  1980년대 해군은 전단 규모의 상륙전 세력을 보유했지만 지금은 전대 수준만 갖고 있다. 미군은 비상시에 대비해 상륙전용 함대를 만들고 이 함대에 해병대 대원과 장비를 항상 태워놓는다. 한국은 아시아 최대의 상륙함이라는 독도함을 갖고 있지만, 해병대와 해병대 장비를 전혀 태워놓지 않는다.

 

해병대를 정상화하려면 먼저 해병대 1사단의 병력과 장비를 보완해 완편 상륙사단으로 만들어야 한다. 김포·강화 지역 방어는 육군 사단이 맡고 해병대 2사단은 후방으로 빼내 완편 상륙여단으로 재편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때 확보한 여력으로 기동헬기를 운영할 해병대 항공여단을 창설해야 한다. 현대 상륙전에선 기동헬기가 필요하니 해병대는 반드시 항공여단을 가져야 한다.

 

끈끈한 전우애를 가진 해병대를 넓은 지역에 펼쳐놓는 것은 올바른 활용법이 아니다. 해병대는 한곳에 모아놓았다가 유사시 쓰나미처럼 돌격상륙하는 전략군으로 써야 한다. 해병대의 올바른 활용을 무시한 국방개혁안은 다시 짜여야 한다. 

 

이정훈 전문기자 hoon@donga.com



  1. 평생 해병대에 사랑 베푼 대청도 '해병 할머니' 세상 뜨다

    평생 해병대에 사랑 베푼 대청도 '해병 할머니' 세상 뜨다 / 뉴시스 2012-11-27 10:21:47 이선비 할머니 최근 작고…장병들 직접 상여 매고 마지막길 배웅 【서울=뉴시스】오종택 기자 = 한 평생 해병대에 사랑을 베풀며 '해병 할머니'라는 별명까지 얻은 한 할머니가 최근 세상을 떠나 해병대 장병들에게 큰 슬픔을 안겼다. ...
    Date2012.12.02 By배나온슈퍼맨 Views3825
    Read More
  2. No Image

    대청도 해병 할머니와 해병들의 사랑 이야기

    - 평생을 해병대 장병들의 어미니와 할머니로 살아온 이선비 할머니 - 해병대가 대청도에 위치하기 시작한 1951년부터 지금까지 60여 년 동안 대청도 해병들과 끊임없이 사랑을 주고받으며 ‘해병 할머니’라는 별명과 함께 한 평생을 보낸 이가 있다. 이야기의 주인공은 이선비(향년 87세, ’12. 11. 22.(목) 별세) 할머니로, ...
    Date2012.11.30 By배나온슈퍼맨 Views2923
    Read More
  3. 故서정우 하사의 어머니… 2년간 '아들을 위한 일기'

    故서정우 하사의 어머니… 2년간 '아들을 위한 일기' [연평도 포격 2년] "사람들이 잊어도, 정치인들이 뭐라해도 포화 속 뛰어든 내 아들이 자랑스럽다" / 조선일보 2012.11.19 [1] 마르지 않는 눈물 故서정우 하사의 어머니… 2년간 '아들을 위한 일기' 설움과 눈물로 쓴 200쪽 김정일 조문 주장한 黨에 분해서 전화… "연평도...
    Date2012.11.21 By운영자 Views6042
    Read More
  4. 청룡부대 해병대전우들, 베트남 다시 찾다

    청룡부대 해병대전우들, 베트남 다시 찾다 / 월드코리안뉴스 www.worldkorean.net 양국 불행한 과거역사의 상처를 보듬기 위해 장학재단 설립 해방이후 6.25를 겪었던 우리 현대사와도 너무나도 흡사하게도 프랑스 식민지배에서 벗어나자마자 참혹한 전쟁을 겪어야만 했던 베트남. 그 전쟁의 비극을 온몸으로 체험한 주인공...
    Date2012.11.13 By김종영 Views4830
    Read More
  5. 11월 23일, 아직 전투는 끝나지 않았다!

    “조국 수호를 위한 뜨거운 염원을 가슴에 품은 자랑스런 대한민국의 젊은 영웅들이여. 그대들의 숭고한 희생으로 인하여 우리가 이곳에 편히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조국은 절대 잊지 않을 것이니, 부디 저 하늘에서 평화의 수호신이 되어 우리를 굽어보며 편히 쉬소서.” - 연평도 평화공원 故서정우 하사, 故문광욱 일병 위령...
    Date2012.11.13 By운영자 Views3950
    Read More
  6. 어느 해병의 묘비에 붙여진 앵카

    지난 5월 25일 북한지역에서 발굴된 6·25전쟁 국군전사자 유해가 휴전 이후 62년 만에 조국의 품으로 돌아와 신원이 확인된 10구에 대한 김상기 육군참모총장 주관의 합동안장식이 있었습니다. 합동안장식 취재를 마치고 대전 국립현충원을 몇군데 촬영키위해 돌아보다가 어느 해병의 묘비를 보게 됐습니다. 묘비위에 고인의...
    Date2012.11.09 By운영자 Views5596
    Read More
  7. 해병대 신병 1165기에 친형제 두 쌍 문영빈·영덕, 최종윤·종근 내일 수료

    해병대 신병 1165기에 친형제 두 쌍 문영빈·영덕, 최종윤·종근 내일 수료 / 국방일보 2012.11.07 해병대 신병 1165기로 입대한 문영빈·영덕, 최종윤·종근 형제(왼쪽부터) 훈련병이 6일 위풍당당한 해병대원이 될 것을 다 짐하는 파이팅을 외치고 있다. 부대제공 수료식을 앞두고 막바지 훈련에 열중하고 있는 해병대 신병 11...
    Date2012.11.06 By운영자 Views7769
    Read More
  8. 해병대 항공단 재창설, 해병대 1호 조종사

    해병대 항공단 재창설, 해병대 1호 조종사 나는 대한민국 해병대 조종사다! 해병 대위 박순혁 가장 먼저, 가장 깊숙하게 날아 오르겠습니다. 우리는 준비되어 있습니다. 나는 해병대 조종사입니다. 35년 만에 재탄생한 해병대 1호 조종사! 사람들은 저를 1호 조종사로 불러 주었습니다. 하지만 저는 아닙니다. 과거 해병대에...
    Date2012.11.03 By배나온슈퍼맨 Views4934
    Read More
  9. 결혼식날 대통령 축하 화환 받은 해병대2사단 이선정 대위

    결혼식날 대통령 축하 화환 받은 해병대2사단 이선정 대위 / 국방일보 2012.10.29 결혼식 날 대통령으로부터 축하 화환을 받아 화제가 된 해병대2사단 이선정(왼쪽) 대위와 해병대1사단 신봉수 대위의 웨딩 촬영 모습.부대제공 모름지기 동서양을 막론하고 결혼식에서 가장 스포트라이트를 받는 건 아리따운 신부다. 그런데 ...
    Date2012.10.29 By운영자 Views7652
    Read More
  10. 해병대 중앙청소대를 아십니까

    김종화 중위(진) 해병대2사단 빗발치는 적의 총탄에도 불구하고 전우들의 허리띠를 밧줄 삼아 녹슨 사다리를 타고 올랐다. 그의 품에는 낡고 허름한 태극기가 있었다. 노심초사하며 엄호를 하던 해병대원들에게 사다리를 오르는 전우의 모습은 한없이 느리기만 했다. 마침내 태극기가 게양됐고, 여기저기서 환호가 들려왔다....
    Date2012.10.26 By운영자 Views3986
    Read More
  11. 그림으로 본 해병대 전투복 변천과정

    해병대지 42호에 실린 '군복 그것이 궁금하다'에 삽입된 해병대 전투복의 병쳔과정을 그린 그림
    Date2012.10.22 By운영자 Views362339
    Read More
  12. 로드FC 이용재, 승리 원동력은 '해병대 정신?'

    <mfight | 고준일 기자 >지난 15일 열렸던 '로드FC 9-BEAT DOWN'이 열렸던 원주 치악체육관. 코너에서 경기 흐름을 정확하게 짚고 선수에게 최적의 지시를 내리기로 유명한 팀파시 이재선 감독이 갑자기 기술적인 지시를 멈추고 "해병대! 해병대 정신!"이라며 케이지에서 싸우던 소속팀 선수를 향해 목청을 높였다. 경기를 ...
    Date2012.09.25 By배나온슈퍼맨 Views40146
    Read More
  13. 해병대 출신 미용사, 그의 변신이 주목받는 이유

    김광훈 에코바이크 사무국장 / 오마이뉴스 변방의 게릴라 ③ 기사출처 : 오마이뉴스 이주빈기자 http://www.ohmynews.com 지역이나 비주류 공간에서 세상을 아름답게 변화시켜 나가는 이들이 있습니다. <오마이뉴스>는 '변방의 게릴라' 기획을 통해 이들의 활동과 꿈을 독자 여러분과 함께 나누고자 합니다. 여러분께 소개하...
    Date2012.09.18 By운영자 Views8577
    Read More
  14. 강인호 대한민국고엽제전우회 회장

    [일요서울 인물 초대석] 강인호 대한민국고엽제전우회 회장 “육영수 여사, 월남출병 때 눈물배웅 잊을 수 없다” [일요서울 | 서원호 취재국장] “월남 전에 출정할 때 육영수 여사님이 박정희 전 대통령과 함께 손을 흔들고 눈물을 훔치며 배 웅해 주던 모습을 잊을 수 없다. 나는 그때 어머니가 전장터로 향하는 아들을 배웅...
    Date2012.09.06 By운영자 Views6697
    Read More
  15. 김기덕 “방위 판정 불량품 취급받는것 같아 해병대 지원”

    [뉴스엔 황유영 기자] 김기덕이 해병대 지원 이유를 밝혔다. 김기덕 감독은 최근 진행된 KBS 2TV '이야기쇼 두드림' 녹화에서 "처음에 방위 판정을 받았지만 스스로를 불량품으로 보는 것 같았다. 건강한 대한민국 남자라는걸 보여주고 싶어 해병대에 지원했다"고 설명했다. 김기덕 감독은 "당시 검사에서 ‘빗소리가 음악소...
    Date2012.09.01 By운영자 Views5025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22 Next
/ 22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