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수 절정기때 해병대 입대

 

 

200902171851345331.jpg

ㆍ 1947년 서울 출생
ㆍ 배문고 졸업
ㆍ 한일은행 투수, 배문고 ·상문고 · 동국대 감독, 쌍방울 레이더스 · OB 베어스 감독 역임
ㆍ 2001년 골드 스포츠 프로야구 대상 프로감독상 수상 
 

1967년 해병대에 입대할 당시 나는 그해 일본 도쿄에서 열린 제7회 아시아 야구선수권대회에 한국 대표로 참가하는 등 투수로서의 기량이 절정에 올라 있었다. 대회 참가 이후 나를 눈여겨 본 해병대·육군 야구팀 관계자들이 집중적으로 영입(입대) 제의를 해왔다.

내가 소속돼 있던 한일은행 강대중 감독은 좀더 선수생활을 한 후 입대하라며 나를 잡았지만 만류를 뿌리치고 해병대에 입대했다. 당시 해병대팀은 투수력만 보강하면 실업리그 우승도 할 수 있는 강팀이어서 내가 가면 뭔가 이룰 수 있을 것이라는 자신감이 있었다. 복무기간이 26개월로 짧다는 것도 구미를 자극했다. 해병대가 멋있어 보였다는 것도 입대하게 된 동기 중 하나임을 부인할 수는 없을 것이다.

훈련소에 입소한 후 힘들기로 소문난 해병대 훈련을 받았지만 어린 시절부터 운동을 해와서인지 견딜 만했다. 그나마 훈련소에서는 열흘 정도밖에 훈련을 받지 못했다. 원래 4주 훈련이었지만 입소하자마자 실업야구대회가 잇따라 두 개나 열리는 바람에 거기에 참가하고 돌아와 보니 동기생들의 훈련이 이미 끝나 있는 상태였기 때문이다.

사격도 사격술 예비훈련만 받았지 총 한 번 제대로 쏴보지 못했으니 해병 치고는 상당히 허술한 해병이었던 셈이다. 하지만 내게도 총을 잡아볼 기회가 생겼다. 그 계기는 다름 아닌 김신조 사건(1968년 1·21사태). 이 사건 이후 전군에 비상이 걸렸고 운동선수들도 태릉에서 사격훈련을 받게 됐다.
해병대 야구팀은 해군 헌병감실 소속이어서 서울 회현동 헌병감실 내무실에서 생활했다.

해병대 야구단을 최고의 팀으로 만들겠다는 포부를 안고 입대했건만 사실 나는 당초 목표만큼 활약을 펼치진 못했다. 입대 전 어깨에 이상이 생겼다는 것은 알았지만 대수롭지 않게 여겼는데 군에서 상황이 심각하다는 것을 알게 됐다. 평소 공 100여 개는 던져야 피로가 오던 어깨가 60~70개만 던져도 아플 정도였으니. 그나마 내가 군생활을 하던 시기에 해병대 야구단이 1969년 실업리그 우승을 비롯해 전국체전·백호기 야구대회 등에서 우승해 체면 유지를 할 수 있었다.

해병대 야구단인 만큼 경기에도 `해병대 정신'으로 임하곤 했다. 당시 감독은 삼미·롯데에서 감독을 지낸 김진영씨였는데 선수들은 몸을 사리지 않고 야구를 했다. 비록 우승해도 포상휴가는 못 갔지만.
그 중에서 우리 팀원들이 가장 눈에 불을 켜고 야구를 했던 경기는 실업리그도 아니었고 전국체전도 아니었다. 당시 군에는 해병대·육군에 야구팀이 있었는데 두 팀의 경기만큼은 해병대와 육군 모두 양보할 수 없는 한판 승부였다. 때문에 피와 땀을 상징하는 빨간색과 노란색이 조합된 유니폼을 입고 육군과 경기를 할 때의 그 치열함이란. 육군에는 질 수 없다는 자존심 문제도 있었고 베트남 전쟁이 한창이었을 당시 `지면 베트남에 보낸다'는 지휘관들의 협박성(?) 격려도 경기의 열기를 더하는 데 한몫했다.

그런 분위기 속에 군생활을 마치고 전역 신고를 하던 날 `뭔가를 해냈구나'하는 뿌듯한 마음을 떨칠 수가 없었다. 나는 개인적으로 남자로 태어나 병역의 의무를 수행한 것을 참으로 다행스럽게 생각한다. 군에 다녀오면서 한마디로 딱 꼬집어 말할 수는 없지만 정신력과 사고방식이 달라진다는 것을 느꼈기 때문이다.

요즘 프로야구 후배들을 보면서 더욱 그런 생각을 하게 된다. 후배들을 보면 위계질서는 있지만 정신력이나 협동심 등이 이전에 군생활을 거친 선배들만 못하다는 느낌이 든다. 특히 이기적인 면이 눈에 띌 때가 많다. 따라서 지금 군생활을 하고 있는 모든 장병들은 군문을 나설 무렵 강한 정신력과 협동심을 갖춘 인재가 돼 있을 것이라는 사실을 믿어 의심치 않는다.
〈두산베어스 감독 김인식>

 



  1. 최초의 여자해병 문인순씨의 시집

    문인순씨 낙서하듯 쓴 시…50여년만에 / 국방일보 2004.12.14 6·25전쟁 때 학업을 중단하고 해병대에 입대한 우리나라 최초의 여자 해병 문인순(73·제주시 용담2동)씨가 처녀 시절 낙서하듯 쓴 시를 모아 50여 년 만에 책으로 펴냈다. 문씨의 시집 ‘짧고도 긴 세월’(사진·대한출판사)에 실린 ‘서리꽃’ ‘슬픈 전설 산방산’ ‘그...
    Date2010.09.10 By운영자 Views5974
    Read More
  2. 장지량 前공군참모총장의 회고록중 해병대와 공군의 다툼

    버스 노선 놓고 서로 사소한 시비 해병대의 공군 비행장 습격 불러 1966년 8월2일, 공군참모총장으로 취임한 다음 날 박정희 대통령이 진해의 대통령 별장으로 휴양차 떠나자 나는 첫 업무로 전용기에 동승, 수행했다. 미리 여의도 공항으로 나가 대통령 전용기이자 공군 1호기인 C-54기(4발 프로펠러기)와 조종사·부조종사...
    Date2010.09.09 By운영자 Views7214
    Read More
  3. 7번째 빨간명찰장교부부

    2006년도 국방일보 5월22일자에 소개된 빨간명찰장교부부기사입니다. 이당시 이 해병대부부의 결혼이 7번째라고 합니다. 그후에도 더 나왔는지...... 해병대 2사단 김태옥·이혜진 대위 일곱 번째 커플 / 국방일보 2006.05.22 해병대에서 일곱 번째 해병대 장교 부부가 탄생했다. 지난 20일 화촉을 밝힌 김태옥·이혜진 대위(...
    Date2010.09.09 By운영자 Views14180
    Read More
  4. 22년째 변함없는 ‘해병대 사랑’

    포항 요리학원 박순늠 원장 / 국방일보 2007.01.08 집을 떠나 군생활하는 해병대1사단 장병들의 입맛을 사로잡으며 22년째 어머니 노릇을 하고 있는 해병 모두의 어머니가 있다. 화제의 주인공은 포항요리학원 박순늠(56) 원장. 박원장이 해병대 장병들과 인연을 맺기 시작한 시기는 22년 전인 1985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
    Date2010.09.08 By운영자 Views4752
    Read More
  5. 요강파티 - 공정식

    정식 인사발령도 없이 부임했던 김포 제1여단장 시절 잊을 수 없는 일은, 북한에 우리의 위력을 과시한 염하 상륙작전이었다. 5·16 두 달 뒤인 1961년 7월 최고회의에서 대규모 상륙작전을 실시하라는 지시가 내려왔다. 당시 한강 하구 루트로 무장 게릴라를 다수 침투시키던 북한에 경고성 시위를 할 필요가 있었던 것이다....
    Date2010.09.05 By슈퍼맨 Views5455
    Read More
  6. 삭발중대 - 공정식

    장단지구전투 당시의 신현준 해병대사령관과 공정식 전투단 부단장, 김종식 제1대대장.(왼쪽부터) 해병대 1대대장을 두 차례 역임한 김종식 소령은 자신의 묘표(墓標)를 꽂아 두고 출전한 사람으로 유명하다. 그는 해병대 1대대장 발령을 받고 전선으로 떠나면서, 진해 장충단 묘지에 ‘고 해군소령 김종식의 묘’라는 팻말을 ...
    Date2010.09.02 By운영자 Views4317
    Read More
  7. 월남파병비화 - 공정식

    파병관련 미국 초청 받아 미국을 방문한 공정식 해병대사령관이 케네디 공항에서 미 해병대를 사열하고 있다(1965) 경북 포항에서 열린 해병대 청룡부대 출정식에서 박정희 대통령이 이봉출 장군에게 부대기를 수여하고 있다(1965. 9. 20) 미국의 한국군 월남파병 요청이 보도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나는 그린 미 해병대사...
    Date2010.09.02 By운영자 Views8697
    Read More
  8. 정조준금지 철모사진의 이명수씨

    해병대사령부가 1969년 12월 발행한 정훈홍보용 잡지에 게재된 이명수 장로(당시 청룡부대 하사)의 사진 역사 사진 속 주인공 찾기 - 정조준 금지 철모 사진의 이명수씨 ‘정조준 금지’라는 글자가 적힌 철모를 쓴 병사 사진 또한 베트남전쟁을 상징하는 유명한 사진이다. 전장에 선 장병들의 소박하지만 솔직한 희망이 담긴 ...
    Date2010.09.02 By운영자 Views12593
    Read More
  9. No Image

    해병대사령부의 부활 및 4성장군 해병대사령관제도확립

    본글은 해병대 예비역 소령 김성삼님께서 2010년 8월 25일 해병대홈페이지 자유게시판에 올리신글입니다. 해병대사령부의 부활 및 4성장군 해병대사령관제도확립 LA 에 머므루르고 있는사이, 천안함사태로 인한, 우리군에대한 언론기관의 언급에 느낀바있어, 아래와 같이 언론기관에기고한 제목과 부제를 보냅니다. - 아 래 ...
    Date2010.08.25 By운영자 Views8294
    Read More
  10. 3부자 해병 - 최현호(부사관140기)

    최현호: 부사관 140기 포항 1사단 근무 / 장남-최일규 1088기 백령도 6여단 근무 / 차남-최창규 1114기 김포 2사단 근무 1980년 포항 / 해병 제1상륙사단(당시9118부대) 정문 입간판 앞에서... 당시는 북문이 정문이었음. 1979년 어느날 칼라필름으로 처음 찍은 사진... 포항. 사진출처 : 청원청주 해병전우회
    Date2010.08.22 By슈퍼맨 Views11849
    Read More
  11. No Image

    해병대전우회의 복장통일에 대하여

    제 각각의 위장복,작업복,그린사지,정복.....팔각모,베레모,빨간 팔각모.....거기에 해병대에는 있지도 않은 이상한 복장등이 어우러진 모습....이게 해병대가 모이는 곳에 가보면 가장 먼저 눈에 띄는 것입니다. 거기에서 사람들은 그럽니다. 해병대는 단합도 잘되고 그러는데 복장은 안된다. 해병대전우회의 복장이 통일되...
    Date2010.08.21 By슈퍼맨 Views7645
    Read More
  12. No Image

    김윤근 해병제1여단장과 5.16

    김윤근(金潤根):만주 육군군관학교 제6기생(45년) 광복후 해사졸, 미국 해병대학졸, 연세대 경상대학원졸, 해병사 군수국장, 해병1상륙사 참모장, 수도방위 사령관, 5·16쿠데타 주역으로 국가재건 최고회의 교통체신 위원장·부정축재자 처리위원·헌법(개정)심의위원회 위원, 해병제1여단장, 중장예편, 호비사장, 5·16민족상...
    Date2010.08.19 By운영자 Views25804
    Read More
  13. 영국해병대사령관 원더풀! 한국해병대(2009년)

    - 영국 해병대사령관 첫 방한, 한국 해병대와 군사외교 활동 가져 - 해병대사령부 등 해병대 부대 방문 통한 양국 해병대간 우호 증진 - 판문점 방문, 분단된 한반도 현실 속 해병대 역할의 중요성 공감 한국 해병대사령부를 방문한 영국 해병대 사령관 앤드류 샐몬 소장 해병대1사단에서 상륙훈련 시범을 참관하고 있는 앤...
    Date2010.08.15 By운영자 Views12443
    Read More
  14. 임대한,임민국 쌍둥이 형제해병

    대한민국은“대한∙민국 ”형제 해병이 지키겠습니다!” - 임대한, 임민국 쌍둥이 형제, 같은 기수(신병 1096기)로 입대해 화제 - 쌍둥이의 형제애! 신병훈련의 인내와 극기를 통해 해병대 전우애로! - KIDA 근무 중인 부친의 권유로 입대, 당당한 해병으로 강철 담금질 ▲ 유격훈련 간 서로의 안전장비를 확인해 주는 임대한, 임...
    Date2010.08.12 By운영자 Views6341
    Read More
  15. 해병 1102기 중 26명, 대를 이어 입대

    - 365명 중 26명이 아버지를 이어 해병대 선택, 자부심 넘쳐 - 2명은 할아버지와 아버지에 이어 3代째 해병으로 입대 - 한 기수 중 약 5% 인원 수준으로 代를 이은 해병 탄생 지난 9월 28일 해병대 교육훈련단에 입대하여 6주간 훈련을 받은 해병 1102기 365명 중 26명이 대를 이어 해병대를 선택하여 해병이 되었다. 또한 ...
    Date2010.08.11 By운영자 Views695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22 Next
/ 22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