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명의 낙오자도 끝까지 책임진다’

‘해병·간부 생활신조’ 매일 두 차례 제창

마음가짐·행동양식이 달라짐을 느껴

 

병 인성교육·간부 리더십 교육 강화

빅데이터 분석, 사건사고 선제적 예방


rokmc_1.jpg

▲ 해병대1사단 포병연대 본부중대 장병들이 19일 오전 과업정렬 중 해병 생활신조를 제창하고 있다. 사진=문찬호 중사


rokmc_2.jpg

▲ 해병대1사단이 밝고 건강한 병영문화를 만들기 위해 시행하고 있는 동기생의 날 행사에 참가한 병사들이 포항 운하 탐방을 마치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rokmc_3.jpg

▲ 해병대1사단 7연대 주임원사 조병진 원사가 부사관 활동지침서를 꼼꼼히 살펴보고 있다. 사진 제공=문찬호 중사


해병대헌장.jpg



“해병은 해병대의 명예를 실추시키지 않는다! 해병은 선임을 존경하고 후임을 사랑한다! 해병은 해병을 때리거나 다치게 하지 않는다! 해병은 약자를 보호하고 힘든 일에 앞장선다! 해병은 전우를 지키며 끝까지 함께한다!”

 19일 오전 8시50분 경북 포항시 해병대1사단 포병연대 본부중대 다목적홀. 50여 명의 해병대 병사들이 오전 일과 시작을 앞두고 과업정렬을 위해 한자리에 모였다.

 과업정렬을 마치기 직전, 이들은 ‘해병 생활신조’를 한목소리로 제창했다. 50여 명의 일치된 목소리에서는 결연함이 느껴졌고 ‘해병 생활신조’를 외치는 병사들의 눈빛은 유난히 초롱거리며 빛났다.

 

모든 간부 ‘리더십 요약자료’ 꼼꼼히…


 소래호 상병은 “해병 생활신조를 매일 오전과 오후 과업정렬 때마다 제창하고 있다”며 “마음속으로 생활신조 한 조항 한 조항의 의미를 생각하면서 외치다 보면 스스로 마음가짐이 굳건해지는 것은 물론 병영생활 자체가 달라지는 것을 느낄 수 있다”고 말했다.

 “해병들에게 자긍심과 자존심, 존재감을 일깨워줘라! 3無(무관심, 무질서, 무계획)의 벽을 허물어라! 3不(불안, 불신, 불통)을 깨고, 건전한 소통을 이루어라! 해병대의 이름으로 일도양단(一刀兩斷)의 조치를 취해라!”

 사단 정비대대장 문성현 중령의 책상 위 탁상형 게시대에는 이 같은 내용의 ‘공감과 소통의 리더십 요약자료’가 펼쳐져 있었다.

 문 중령은 “요약자료를 출력해서 읽어보고 항상 눈에 보이는 곳에 게시해 둔다”며 “부대를 지휘하는 데 스스로를 돌아보는 지침서로 활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문 중령뿐만 아니라 사단 내 전 간부들은 매주 월요일마다 제공되는 이 자료를 읽어보며 부대관리와 지휘에 활용하고 있다.

 오전 10시 7연대 주임원사실. 연대 주임원사 조병진 원사가 형광펜을 들고 두툼한 책 한 권을 꼼꼼히 들여다보고 있었다.

 해병대사령부가 만들어 배포한 부사관 활동지침서였다. 이 책자 75쪽에는 병 인성교육(충·효·예)은 전담교관에 의해 하도록 규정돼 있었다.

 조 원사는 이를 근거로 중대급 행정관을 전담교관으로 병사들의 인성교육을 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작업을 하고 있었다. 중대급 행정관 중 병 인성교육 전담교관을 지정하고 신병 전입 때 이들이 순환하며 인성교육을 하는 방식을 도입해 추진하기로 한 것이다.

 이외에도 조 원사가 펼쳐놓은 A4 용지에는 부사관 활동지침서 내용 구현을 위한 지원·추진사항이 인사, 의무, 정보, 작전 등 각 참모기능별로 빼곡히 메모 돼 있었다.

 조 원사는 “부사관의 활동이 병영문화를 바꿔나가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모든 활동 하나하나를 부사관 활동지침서에 따라 하고 있다”며 “이 지침서를 바탕으로 현장중심의 활동을 통해 새로운 병영문화를 만들어 가고 있다”고 말했다.

 이처럼 해병대는 병영문화 혁신을 위해 사령관부터 말단 병사까지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상훈 해병대사령관은 최근 ‘해병대 병영문화 혁신의 칼을 다시 들어 올리며’라는 제목의 지휘서신을 통해 “우리 해병대 전통의 핵심에는 ‘한 명의 낙오자도 끝까지 책임지고 돌본다’는 전우애가 있다”며 “현실인식을 분명히 하고 모든 역량을 쏟아 저변의 문화를 다시 새롭게 쌓을 것”을 당부했다.

 또 해병이라면 생명처럼 여겨야 하는 병영문화혁신 행동강령을 일반명령으로 제정, 전 장병이 준수하도록 했고 매일 아침저녁으로 전 장병이 ‘해병 생활신조’와 ‘간부 생활신조’를 제창하고 있다. 특히 무적해병의 핵심이 ‘가족 같은 단결력’에서 비롯된다는 신념이 해병대 병영 저변에정착되도록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자부심·긍지 고취 ‘해병대 헌장’ 제정


 해병대의 역사와 전통을 되새기고 해병대원으로서 자부심과 긍지, 명예심을 갖게 하기 위해 ‘해병대 헌장’도 제정했다. 또 ‘전사(戰史) 속의 리더십’ 사례를 발굴해 포스터와 영상, 교육자료 등으로 제작, 전 장병이 가슴에 담고 선배 해병들을 롤 모델로 삼도록 했다.

 병영문화혁신의 선도적 주체로서 간부의 역할과 책임의식을 강화하기 위해 해병대 리더십센터를 보강해 간부 리더십 교육을 강화하고 간부의 상담역량 강화를 위해 양성과정에 상담기법 교육시간을 반영했다.

 해병대 상승불패의 전통은 해병대 부사관의 헌신적인 희생과 숨은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했다는 판단에 따라 해병대는 창끝 전투력 발휘의 전투지휘자이자 상륙전의 전문가로서 병사들을 교육하고 있다. 또 작전과 부대관리의 가교역할을 하는 부사관의 역할과 책임을 확립하기 위해 지난 5월부터 ‘부사관 활동 활성화 태스크포스(TF)’를 운영하고 있다.

 부사관의 책무와 역할, 신조 등을 정립해 ‘부사관 활동 및 운영규정’을 제정했다.

 또 최근 5년간의 사건·사고 빅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사전 징후를 식별하고 과학적으로 예측해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예방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지휘관(주임원사), 헌병, 법무, 감찰, 정훈 등 주요 기능들이 5부 합동으로 동시에 부대를 진단하고 전문적인 식견을 토대로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등 선제적인 대처를 하기 위해 ‘사고발생 때 선제적·효과적 처리 및 대응’ 지침을 만들어 시행 중이며 곧 규정으로도 제정할 예정이다.

 해병대1사단 인사참모 좌태국 중령은 “최상의 전투력 발휘를 위해서는 자부심이 넘치고 건강한 병영문화가 먼저 조성돼야 한다”며 “병영문화 혁신이 목표를 달성할 때까지 추진동력을 잃지 않도록 주기적으로 성과측정과 분석을 하고 우수사례와 유공자를 포상하는 동시에 감찰활동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국방일보 이석종기자>



  1. 해병대 병역명문가 고 노준옥 씨 가문

    매년 해병대에서는 3대 이상 해병대 출신으로 군 복무를 마쳤거나 복무하고 있는 가문을 대상으로 해병대 병역명문가를 선발한다. 이는 해병대 병역명문가의 명예를 선양하고 희생과 헌신에 대한 존경과 감사의 뜻을 전하기 위해서다. 가정의 달을 맞아 2019년도에 &#039;해병대 병역명문가&#039;로 선정된 고 노준옥씨 가문을 만나보...
    Date2020.07.07 By운영자 Views8534
    Read More
  2. 전쟁기념관 7월의 호국인물 고길훈 해병 소장

    전쟁기념관 7월의 호국인물 선정된 고길훈 해병 소장. 사진 전쟁기념관 고(故) 고길훈 해병 소장은 1922년 7월 10일 함경남도 영흥군에서 태어났다. 1944년 도쿄 메이지[明治]대학 문과를 졸업하고 광복 이후 귀국하여 1946년 5월 11일 해군에 입대하였다. 1949년 4월 15일 해병대 창설에 참여하여 초기 해병대의 체제정립에...
    Date2020.07.02 By운영자 Views7859
    Read More
  3. 국가보훈처 선정 4월의 6․25전쟁영웅 성관식 해병대 소령

    국가보훈처는 ‘성관식’ 해병대 소령을 4월의 6․25전쟁영웅으로 선정하였다. 성관식 소령은 중공군의 대규모 인해전술에 대항해 사천강가 36전진진지를 성공적으로 방어하여 임진강 일대 핵심 요충지를 확보하는 큰 전공을 세웠다. 성관식 소령은 1928년 광주(光州)에서 태어나 1951년 3월 수원농과대학을 졸업한 후6·25전쟁...
    Date2020.06.30 By운영자 Views6691
    Read More
  4. 2020년 2월 호국인물 천춘식 이등병조

    전쟁기념관은 6·25전쟁 당시 안동지구 전투에서 큰 전공을 세운 천춘식 해병 이등병조( 현 하사)를 2020년‘2월의 호국인물’로 선정, 발표했다. 천춘식 해병 이등병조는 1929년 서울시 용산구 효창동에서 태어났다. 1949년 7월 해군 14기로 입대하여 해군에서 교육을 받았으나, 도중에 새롭게 창설된 해병대로 편입되어 해병...
    Date2020.02.23 By운영자 Views2101
    Read More
  5. 광복군 송윤화 선생 외손자 해병대1사단 박성욱 중사

    국방일보 독립유공자 후손 장병 릴레이 인터뷰 &lt;5&gt; 광복군 송윤화 선생 외손자 해병대1사단 박성욱 중사 지난 14일 해병대1사단 박성욱 중사가 국립대전현충원 애국지사 묘역에 잠들어 계신 외할아버지와 외할머니의 묘를 찾아 참배하고 있다. 박 중사의 외할아버지는 1940년대 중국에서 광복군의 일원으로 독립운동을 펼쳤...
    Date2019.03.24 By운영자 Views3636
    Read More
  6. 1966년 지덕칠 해군중사 산화

    고(故) 지덕칠 중사(추서계급)의 무훈을 기리는 동상. 상자 안의 흑백사진은 고 지 중사의 모습이다. 베트남에 파병된 청룡부대의 1대대는 1966년 2월 1일 꽝웅아이 성 바딴간 반도 지역을 흐르는 강 하구에서 수로를 탐색하는 미 해병대 수중폭파반 (UDT) 활동을 보호하는 ‘강구(江口) 작전’에 투입되었다. 대대는 헬기로 ...
    Date2019.01.31 By운영자 Views2710
    Read More
  7. 해병대서 트럭 운전하며 꿈 확실해져… 구교민 선진버스 사원

    해병대2사단 운전병 출신으로 군 복무 중 미래를 준비해 전역 직후 선진버스 입사에 성공한 구교민 사원이 운전석에 앉아 환하게 웃고 있다. 사진 국방일보 이경원 기자 “해병대 덕분에 제 꿈을 찾을 수 있었습니다. 군 복무는 저에게 인생의 공백기가 아닌 미래를 준비하는 시간이 됐습니다. 결과는 희망 기업 취업 성공으...
    Date2019.01.14 By운영자 Views1944
    Read More
  8. 혹독한 해병대 훈련 견딘 힘, 우리의 특별한 경쟁력!

    해병대 여군장교 출신 세븐일레븐 박지나 사원. 김포=국방일보 양동욱 기자 해병대사관후보생(OCS) 출신 박지나 사원 “취업을 준비하는 장병 여러분, 자신감을 가지세요. 군에서 힘든 훈련을 이겨내며 기른 인내심과 조직을 이끌며 쌓은 리더십은 우리의 특별한 경쟁력입니다.” 해병대사관후보생(OCS) 110기로 2014년 해병대...
    Date2018.11.29 By운영자 Views899
    Read More
  9. 강원도 화천의 해병대 화천지구전투전적비

    자유수호탑에서 바라본 파로호 전경. 파로호는 중공군을 격파한 호수란 뜻으로, 6·25전쟁 당시 이승만 대통령이 지었다. 사진=국방일보 이헌구 기자 화천군은 강원도 북서부에 있는 산수가 뛰어난 청정고장이다. 북쪽의 군사분계선을 사이에 두고 서쪽에는 철원군, 동쪽으로는 양구군, 남쪽으로는 춘천과 경계하고 있다. 면...
    Date2018.04.17 By운영자 Views1882
    Read More
  10. 전진구 해병대사령관『인문의 숲에서 경영을 만나다』

    전진구 해병대사령관이 병영생활에서 독서의 중요성을 설명하고 있다. 국방일보 이경원 기자 지휘관이 갖춰야 할 조건 ‘통찰력’ 통찰력은 전투를 승리로 이끌고 부하를 살리는 지름길 ‘집단지성’으로 시너지 창출해야 발전 4차 산업혁명시대 ‘감성 리더십’도 당부 전진구(중장) 해병대사령관은 장병들에게 ‘꿈과 희망’을 강...
    Date2018.02.25 By운영자 Views1346
    Read More
  11. 1966년 8월 11일, 해병대 이인호 대위 베트남전 전사

    8월 11일, 1966년 8월 11일, 이인호 해병대 대위가 베트남전에서 전사한 날이다. 대위는 작전에 늘 앞장섰다. 1966년 8월 11일 베트남 투이호아 지역에서 실시된 ‘해풍작전’. 베트콩이 은신하는 곳으로 의심되는 동굴을 수색하는 이날 작전에서도 그의 마음가짐과 자세는 한결같았다. 그는 동굴 속으로 들어가 수색해 나갔다...
    Date2017.08.09 By운영자 Views2479
    Read More
  12. 해병 정신으로 고비사막 마라톤 완주한 3인의 해병대 예비역

    고비사막 마라톤 대회에 참가한 김영록 씨가 사막을 달리고 있다. 중국 몽골고원의 고비사막 전경.사진 제공=김영록 예비역 병장 “52도에 육박하는 기온에 숨이 턱턱 막혔어요. 식량, 의류, 취침 장비로 가득 찬 배낭은 어깨를 짓눌러왔죠. 양발에 생긴 손바닥 크기의 물집을 터뜨리며 계속 걸었습니다.” 김영록(홍익대 전자...
    Date2017.07.11 By운영자 Views2647
    Read More
  13. 한미 해병대 연합 전술고공강하 훈련 현장취재 - 국방일보

    해병대1사단 수색대대 고공강하 팀원들이 지난 17일 경북 포항 조사리 공정훈련장에서 열린 한미 연합 고공강하 훈련에서 미 육군 CH-47 헬기를 타고 약 7000피트 상공에 올라 자유강하를 하고 있다. 사진=국방일보 양동욱 기자 연습이 아니다. 실전이다. 목숨을 건 훈련을 대충 할 수는 없다. 그래서인지 표정에 미동도 없...
    Date2017.03.19 By운영자 Views1642
    Read More
  14. 3월의 625전쟁 호국영웅, 김형우 해병대 삼조

    3월의 625전쟁 호국영웅, 김형우 해병대 삼조 3월의 625전쟁 호국영웅, 김형우 해병대 삼조 3월의 625전쟁 호국영웅, 김형우 해병대 삼조 / 국가보훈처
    Date2017.03.12 By운영자 Views840
    Read More
  15. 3월11일은 해병대6여단, 연평부대 창설기념일

    [서북도서 절대사수! 서해 NLL 이상무!] 3월11일은 해병대 6여단과 연평부대의 창설기념일입니다. 바다 건너편 적과 대치하고 있는 6여단ㆍ연평부대 장병들. 서북도서 장병들에게는 매순간이, 매번 진행되는 훈련이 실전입니다. 지금 이 순간에도 육지와는 멀리 떨어진...서북도서에서 조국수호의 임무를 수행중인 장병들을 ...
    Date2017.03.12 By운영자 Views868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2 Next
/ 22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