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일보 독립유공자 후손 장병 릴레이 인터뷰 <5> 광복군 송윤화 선생 외손자 해병대1사단 박성욱 중사


박성욱중사.jpg

지난 14일 해병대1사단 박성욱 중사가 국립대전현충원 애국지사 묘역에 잠들어 계신 외할아버지와 외할머니의 묘를 찾아 참배하고 있다. 박 중사의 외할아버지는 1940년대 중국에서 광복군의 일원으로 독립운동을 펼쳤다.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이 되는 다음 달 11일까지 이어지는 ‘독립유공자 후손 장병 릴레이 인터뷰’! 오늘은 임시정부 주석인 김구 선생을 중심으로 1940년 9월 17일 중국의 중경(重慶)에서 창설된 광복군의 일원으로 독립운동을 펼친 송윤화 선생의 외손자, 해병대1사단 박성욱 중사를 만나본다.



“이곳에 영면해 계신, 이름도 얼굴도 없이 조국 독립을 위해 분연히 일어났던 수많은 순국선열을 마주할 때면 국군의 일원인 제가 맡은 임무의 의미와 무게가 결코 가볍지 않음을 느낍니다.”

봄을 재촉하는 따사로운 볕이 더없이 좋던 지난 14일, 국립대전현충원 애국지사 제2 묘역 471번 묘비 앞에 해병대1사단 박성욱(32·부사관 321기) 중사가 섰다. 이 묘의 주인은 광복군 송윤화(1912. 9. 28~1975. 2. 20) 선생 부부. 박 중사의 외할아버지와 외할머니께서 함께 잠들어 계신 곳이다.

“제가 포항에 있어서 자주 찾아뵙지 못하는데 그새 결혼을 앞둔 사촌 동생과 외삼촌이 다녀가셨는지 꽃이 많이 꽂혀 있네요.”

준비해간 조화를 정리한 후 묘를 향해 경례를 올린 박 중사는 “제가 태어나기 전에 돌아가셨기 때문에 직접 뵌 적은 없지만, 어머니께서 기억하는 외할아버지는 언제나 의롭고 기개가 넘치던 분이셨다”면서 “비록 한국광복군의 대원에 지나지 않았지만, 외할아버지처럼 구국의 일념으로 총칼을 잡은 젊은 청년들이 있었기에 오늘의 대한민국이 있는 것이라 생각한다”고 힘줘 말했다.

해병대1사단 본부 군수참모실 장비탄약과에서 화력장비 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박 중사는 군번이 두 개다. 대학에서 법학을 전공하다 2009년 병1085기로 입대해 백령도에서 근무하던 중 군복의 매력에 빠져 이듬해 복무 변경을 신청, 병기부사관(부사관 321기)으로 임관했다.

다부지고 꼼꼼한 성격의 그는 임관 초기부터 두각을 나타냈다. 문과 출신이라 처음엔 전투 장비를 다루는 일이 쉽지 않은 상황에서도 초급반 교육을 1등으로 수료한 데 이어 적극적인 군 생활로 1년 사이 해병대사령관과 육군교육사령관 등 3성 장군이 수여하는 상장을 2개나 받아 주변을 놀라게 했다. 또 전국에 흩어져 있는 해병 부대로 전출 다니면서도 끊임 없는 자기계발에 힘써, 현재는 동국대(경주 캠퍼스) 대학원에서 경영학 석사 수료를 앞두고 있다.

“직업군인으로 산다는 것이 쉽지만은 않은 일이지만, 독립유공자의 후손으로서 부끄럽지 않은 삶을 살기 위해 부단히 노력한다”는 박 중사는 지난해 여름, 군인으로서의 마음가짐을 새롭게 하는 특별한 경험을 했다. 바로 국방TV가 제작한 다큐멘터리 ‘국군의 뿌리를 찾아서’에 출연한 일이다.

“육·해·공군, 해병대 각 1명씩 4명의 현역 간부가 단국대학교 사학과 한시준 교수님과 함께 독립운동의 현장을 답사하며 국군의 뿌리를 찾아가는 프로젝트였습니다. 4주 일정 촬영 중 특히 9박10일 동안 9014.8㎞에 걸쳐 중국과 러시아에 있는 신흥무관학교 터, 봉오동 전적지, 청산리대첩 기념비, 최재형 선생 생가, 안중근 의사 단지동맹비 등을 답사하면서 우리 선조들의 독립을 향한 열정과 숨결을 피부로 느낄 수 있었습니다.”

답사 중 가장 인상 깊었던 곳으로는 중국 신흥무관학교 터와 러시아 안중근 장군 단지동맹 기념비를 꼽았다.    


송윤화.jpg


“신흥무관학교는 과거 우리 독립군을 양성했던 곳인데 그 역사적 현장이 제대로 보존되지 않아 많이 아쉬웠습니다. 또 안중근 장군 단지동맹 기념비는 군인으로서 가져야 할 큰 가치인 ‘위국헌신 군인본분’을 가슴 깊이 새기며 내가 맡은 임무에 최선을 다해야겠다는 각오가 절로 들게 하는 곳이었습니다. ‘군복의 의미’를 다시금 되새기는 소중한 시간이었습니다.”

한국이 아닌 독립운동의 현장에서 독립군가를 부르던 순간도 잊지 못한다고 말했다.

“독립군들이 전투에 앞서 사기를 끌어 올리기 위해, 또는 승전고를 울리고 나서 불렀을 장면이 떠오르면서 제 몸에 있는 피가 더욱 뜨거워지는 느낌이었습니다. 또 동행한 한시준 교수님께서 국군은 대한제국군에서 의병으로, 다시 독립군과 광복군으로 이어지는 정신적 뿌리를 계승하고 있고 나라를 위해 헌신하신 선배들의 정신을 잊지 말아야 한다고 하신 말씀이 지금도 기억에 남습니다.”

마지막으로 기회가 된다면 외할아버지께서 활동하셨던 중국 개봉 등의 광복군 활동지도 답사하고 싶다고 밝힌 박 중사는 “조국의 독립을 위해 기꺼이 목숨 바쳤던 분들의 정신을 이어받아, 국군 부사관으로서 수평적 리더십과 전문지식을 갖춘 정예 군인이 되겠다”고 각오를 밝혔다. <국방일보 대전에서 글=송현숙/사진=양동욱 기자>


송윤화 선생은?   


송윤하선생.jpg



국가보훈처가 발간한 『독립유공자공훈록』에 따르면 1912년 9월 28일 경기도 개풍에서 태어난 송윤화 선생은 서른세 살 되던 1944년 일제의 억압이 극에 달하자 광복군에 입대하기 위해 중국으로 떠났다. 그리고 제3지대 제1구대 1본대 소속 28명의 대원 중 한 명으로 주로 개봉 등지에 파송돼 군사훈련에 매진했다. 당시 제식을 비롯해 초보적 분대 소대 전투 훈련이며 특히 게릴라 작전에 필요한 포복파괴기술과 각종 총기 사격술 등이 필수과목이었다.

광복군 제2지대장 이범석 장군을 중심으로 국내 진입 작전이 눈앞에 다가온 1945년 8월, 일제가 조기 항복하면서 광복을 맞은 송 선생은 다른 동지들과 함께 귀국해 내 나라 내 땅에서 일가를 이루고 살다가 1975년 2월 20일 타계했다.

그의 유해는 경기도 송추에 있는 선산에 모셔졌다가, 광복 50주년이던 지난 1995년 10월 12일 국립대전현충원으로 이장됐다. 정부는 대통령 표창(1963)과 건국훈장 애족장(1990)을 추서하고 선생의 애국정신과 헌신을 기렸다.



  아래는 송윤화 선생의 비에 새겨 놓은 비문이다.

  낯선 땅 큰 대륙에
  품은 뜻 펼치시며
  조국을 찾겠노라
  비비람 벗하셨네
  
  오로지 외곬으로 신명을 다바쳐서
  그날의 어둔 꿈길 오늘에 밝히시고
  겨레의 얼이 되시어
  이 언덕을 지키시네
  
       시인 이국주 





  1. 해병대 95호

    해병대 95호 해병대 95호가 발간되었다. 해병대지는 해병대에 대한 다양한 소식과 유익한 상식정보를 담고 있는 격월간으로 발행되고 있다. 이번 [해병대] 95호에서는 특집<인천상륙· 서울탈환 전투사>& 회고록, <마린온 순직자 3주기 추모행사> <군산·장항·이리지구 전투 전승행사><통영지구전투카드뉴스>등에 대한 자세한 ...
    Date2021.09.08 By관리자 Views74949
    Read More
  2. 선배해병들의 이야기 슬기로운 해병생활

    선배해병들의 이야기 슬기로운 해병생활 <해병대 페이스북>
    Date2021.08.29 By관리자 Views60952
    Read More
  3. 해병대 기수별 연도별 입대일자 1000기 이전

    해병대는 현재 매월 1개 기수를 선발하여 양성하고 있다. 해병대는 교육단에서 신병교육을 실시한 1975년부터 2011년까지는 매월 2개 기수가 입대하였으나 해병대 2사단 총기사건 이후 병영문화 개선의 일환으로 2012년부터 월 2개 기수를 통합 1개 기수로 선발하여 양성하기 시작했다. 2012년 첫 입대한 기수는 1157기가 1...
    Date2021.08.24 By관리자 Views414275
    Read More
  4. [안승회 기자의 군(軍)금해] 43세 김혁 상사, 해병 특유의 도전 정신으로 미 해병대 DI(훈련교관) 교육 수료

    [국방일보 안승회 기자의 군(軍)금해] 43세 김혁 상사, 해병 특유의 도전 정신으로 미 해병대 DI(훈련교관) 교육 수료 해병대 김혁 상사가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주 패리스 아일랜드 훈련소에서 미 해병대 DI 교육을 받고 있다. Marine Corps Recruit Depot Parris Island, S.C. 제공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주 패리스 아일랜...
    Date2021.08.01 By관리자 Views48998
    Read More
  5. 해병대지 94호

    해병대지 94호 해병대지 제94호가 발간되었습니다. 연간 6회 발행되는 해병대지는 해병대 홍보지로서 다양한 독자층을 대상으로 제작, 배포하고 있으며 해병대지 주요 내용은 LIVE해병대, STORY해병대, SMART해병대, 포토뉴스, 병영탐방 등 해병대관련 다양한 소재로 만들어집니다. <해병대사령부 정훈공보실 문화홍보과 기...
    Date2021.07.20 By관리자 Views41063
    Read More
  6. 해병대지 93호

    해병대지 93호 연간 6회 발행되는 해병대지는 해병대 홍보지로서 다양한 독자층을 대상으로 제작, 배포하고 있으며 해병대지 주요 내용은 LIVE해병대, STORY해병대, SMART해병대, 포토뉴스, 병영탐방 등 해병대관련 다양한 소재로 만들어집니다. <해병대사령부 정훈공보실 문화홍보과 기획취재>
    Date2021.05.13 By관리자 Views30487
    Read More
  7. 국가보훈처, 4월의 6·25전쟁영웅에 김용호 해병대 중위

    국가보훈처 4월의 6·25전쟁영웅에 김용호 해병대 중위 국가보훈처는 6·25전쟁 당시 경기도 장단지구 전투에서 중공군에 맞서 백병전을 벌였던 김용호(1929~1952) 해병대 중위를 '2021년 4월의 6·25전쟁영웅으로 선정했다고 31일 밝혔다. 김 중위는 1952년 3월 해병도 소위로 임관해 장당지구를 방어하던 해병대 제1연대 11중...
    Date2021.04.01 By관리자 Views14730
    Read More
  8. 해병대 기수 연도별 입대일자 1000기 이후 2009 - 2021년

    해병대 기수별 연도별 입대일자 2009년 - 2022년 해병대는 현재 매월 1개 기수를 선발하여 양성하고 있다. 해병대는 교육단에서 신병교육을 실시한 1975년부터 2011년까지는 매월 2개 기수가 입대하였으나 해병대 2사단 총기사건 이후 병영문화 개선의 일환으로 2012년부터 월 2개 기수를 통합 1개 기수로 선발하여 양성하기...
    Date2021.01.24 By관리자 Views469490
    Read More
  9. 을지무공훈장 강복구 대령, 해병대였다는 것… 그 어떤 무공훈장보다 자랑스러워

    강복구 옹이 성남시 외곽에 위치한 호국무공수훈자 공적비 앞에서 지난날 해병대의 투혼을 떠올리며 상념에 젖고 있다. [국방일보 스페셜리포트] 2020년 올해는 6·25전쟁이 발발한 지 70주년이 되는 해다. 이에 국방저널(국방일보)은 대한민국 무공수훈자회와 공동으로 매달 6·25 전쟁영웅을 찾아 나라를 지키기 위해 앞장서...
    Date2020.12.01 By운영자 Views8325
    Read More
  10. 프로복서가 된 해병대 장교 '최시혁 대위'

    프로복서가 된 해병대 장교 '최시혁 대위' / 해병대지 90호
    Date2020.10.25 By운영자 Views5870
    Read More
  11. 해병대 유실지뢰 탐색작전 펼치다!

    해병대 유실지뢰 탐색작전 펼치다! / 해병대지 90호
    Date2020.10.25 By운영자 Views991
    Read More
  12. 진동리지구전투 및 통영상륙작전 전승기념행사

    진동리지구전투 및 통영상륙작전 전승기념행사 / 해병대지 90호
    Date2020.10.25 By운영자 Views921
    Read More
  13. 위기의 순간, 언제나 함께하는 해병대 신속기동부대

    위기의 순간, 언제나 함께하는 해병대 신속기동부대 / 해병대지 90호
    Date2020.10.25 By운영자 Views952
    Read More
  14. 해병이 되는 과정을 사진으로 담는 임영식 사진작가

    해병이 되는 과정을 사진으로 담는 임영식 사진작가 - 해병대지 90호 그의 사진에는 훈련병들의 땀과 노력과 열정이 담겨져 있다. 카메라 셔터를 누를 때 살아있음을 느낀다는 해병대 블로그 <날아라마린보이> 임영식 사진작가를 만나봤다. <글/사진 해병대지 편집팀> <해병대지 날아라마린보이 임영식 사진작가 캡춰>
    Date2020.10.21 By운영자 Views1635
    Read More
  15. “해병 군복 입으면 두려울 것 없었다… 전쟁 다신 일어나선 안돼”

    [6.25전쟁영웅을 찾아] 을지무공훈장 신현우 중사 국방일보 기획연재 스페셜리포트 글=정호영/사진=양동욱 기자 신현우 옹이 인천상륙작전 기념관 마당에서 인천 시내를 바라보며 지난날을 회상하고 있다.사진=양동욱 기자 인천광역시 연수구에 있는 인천상륙작전 기념관 마당에서 신현우 옹과 무공수훈자회 인천지부장이 상...
    Date2020.09.14 By운영자 Views250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2 Next
/ 22


CLOSE